특금법 메타 후폭풍에 무기한 서버 점검, 리뉴얼, 폐쇄
중소형 거래소 난립 후유증과 겹쳐 출금 연기로 인한 불편 가중
특금법이 시행된 지 1주일도 되지 않았지만, 반쪽짜리 거래소가 하나둘씩 등장하고 있다. 업계에서 말하는 '반쪽' 거래소는 입금만 가능하고, 출금 지연과 출금이 막혀버린 거래소를 일컫는 말이다.
이미 특금법 시행 전부터 시장의 자정작용에 의해 거래소가 대거 정리될 것이라는 업계의 예측이 맞아떨어지면서 사실상 활동이 멈춰버린 거래소가 속출하고 있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버 점검, 리뉴얼, 사이트 폐쇄 등 거래소의 기능이 멈춰버린 거래소가 등장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가 가중되고 있다.
본지가 특금법 시행 전후로 국내에서 영업 중인 거래소 80곳을 전수 조사한 결과 ▲사이트 리뉴얼(토큰맨, 비트포인트 플러스) ▲사이트 접속 불가(코인빅뱅) ▲최근 6개월 이내 공지사항 없음 등 각종 문제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거래소의 기본적인 상황을 알려주는 '공지사항'은 한때 거래소의 공지메타라 불릴 정도로 중요한 정보를 알려주는 창구였다. 예를 들면, 입출금 안내, 상장과 에어드랍 일정, 거래 서비스 지원 종료 등이다.
일반적으로 거래소가 프로젝트의 로드맵 이행 상황을 점검할 때 공식 커뮤니티(트위터, 미디엄, 디스코드, 텔레그램, 깃허브,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를 확인하며, 커뮤니티에 올라오는 각종 퍼드를 모니터링하면서 풍문에 대한 사실 확인을 요청한다.
일부 거래소는 프로젝트팀이 사업 중단을 알렸음에도 이를 뒤늦게 알아채고 '투자자 기만' 의혹까지 불거졌던 적도 있었다. 그만큼 거래소가 프로젝트팀을 모니터링 했던 사안을 거꾸로 거래소에 적용하면 '반응'이 없는 거래소가 증가하는 추세다.
겉모습만 보면 거래소가 정상적으로 영업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체는 봇과 봇이 사고파는 자전거래 외에 실질적인 거래조차 없다. 또 이더리움 기반 암호화폐의 거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이더스캔과 차이를 보이는 거래소의 거래 내역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거래소 홈페이지의 사고파는 각종 숫자가 정상적인 거래가 진행되지 않는 허위거래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특히 기존 사업자들의 신고 기한이 9월 24일까지 점을 악용, 신고를 최대한 늦춘 상태에서 출금까지 미뤄 기획파산을 가장한 먹튀가 시작될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