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암호화폐 실태 보고 ⑤] 고팍스, 단독 상장 35개
AUC·BCHA·CAMT·DST·GLR·KTT·LED·POLL·STWEMIX 고위험 분류
고팍스가 변했다.
2년 전 3종에 불과했지만, 2년 뒤 단독 상장 프로젝트는 10배 이상 불어난 35종으로 확인됐다. 다른 바스프에 비해 취급하는 프로젝트와 거래쌍이 120개 미만인 것을 고려하면 약 30%를 차지, 위험 범위를 벗어나면서 고팍스에서 거래 중인 프로젝트는 고위험 가상자산으로 분류한다.
1일 내외경제TV 조사 결과 ▲어드밴스드 프로젝트(AUC) ▲비트코인캐시 ABC(BCHA) ▲카멜(CAMT) ▲데이스타터(DST) ▲갤러리코인(GLR) ▲케이튠토큰(KTT) ▲레지스(LED) ▲폴체인(POLL) ▲에스티위믹스(STWEMIX) 등 프로젝트 9종은 전 세계 거래소에서 고팍스만 취급한다.
특히 비트코인캐시 ABC는 과거에 브랜드를 변경해 이캐시(XEC)로 DAXA 소속 거래소 4곳이 취급하지만, 고팍스만 과거의 유물이라고 할 수 있는 BCHA를 사용한다.
이에 대해 고팍스 측은 비트코인캐시 ABC와 이캐시는 액면분할 기술 지연 여부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관점에 따라 사라진 과거의 프로젝트를 거래 중인 것처럼 보이지만, 회사 측은 지원 기술에 따라 프로젝트가 변경돼 다른 프로젝트로 인식했다는 설명이다.
이와 비슷한 예로 고팍스가 취급하는 그린사토시 토큰(GST)는 솔라나 버전만 지원한다. GST는 이더리움과 BSC 버전으로 구분할 정도로 '같은 이름, 다른 네트워크'처럼 코인마켓캡이나 코인게코 등의 통계 사이트는 별도로 구분한다.
고팍스는 국내 한정 단독 상장은 35종에 불과하지만, 앞서 언급한 9종은 출구 전략이 없는 고위험 프로젝트다. 고팍스에서 거래를 중지하더라도 빠져나갈 수 있는 거래소가 존재하는 것과 오로지 메타마스크 외에는 피신할 수 없다면 투자 전략을 바꿔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고팍스가 취급하는 프로젝트는 여느 거래소보다 국세청에 등록되지 않은 프로젝트가 많다. 2년 전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따라 국세청장 고시 바스프는 업비트, 빗썸, 코빗, 코인원 등 4곳에 불과했고,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고팍스의 신고수리(2021년 12월 9일)와 빗썸(2021년 12월 2일 신고수리 완료)의 차이가 크지 않은 점에서 행정 기관과 바스프의 손발이 맞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빗 단독 상장 리스트 35종(2024년 7월 1일 기준)
AI네트워크(AIN) 000033
아라곤(ANT) 000049
아쿠아리어스(AQUA) 001004
어드밴스드 프로젝트(AUC) 미등록
비트코인 캐시 ABC(BCHA) 000099 : 다른 거래소 4곳은 이캐시(XEC) 사용
베리(BERRY) 000104
배틀월드(BWO) 001046
카멜(CAMT) 미등록
캐리버스(CVTX) 미등록
데이스타터(DST) 미등록
20
에덤(EDUM) 미등록
파르카나(FAR) 미등록
게놈파이(GENO) 미등록
젬허브(GHUB) 미등록
갤러리코인(GLR) 미등록
그린사토시 토큰(GST) 솔라나 네트워크만 지원-ETH-BSC 버전도 존재 미등록
갤럭시아(GXA) 001045
하이퍼코믹(HYCO) 미등록
제프월드(JEFF) 미등록
커넥트(KCT) 미등록
30
클레바(KLEVA) 001085
케이튠토큰(KTT) 000482
레지스(LED) 000494
마이크로투버(MCT) 000544
메티스(METIS) 미등록
밀로(MILO) 미등록
미라클플레이(MPT) 미등록
엠스퀘어(MSQ) 미등록
나다프로토콜(NADA) 미등록
폴체인(POLL) 미등록
35
솔로제닉(SOLO) 000994
스타이카(STIK) 미등록
에스티위믹스(STWEMIX) 미등록
벨로프로토콜(VELO) 000896
엑스런(XRUN) 미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