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센터/기획

FET·AGIX·OCEAN→ASI 통합, 국내는 요지부동

우당이 2024. 7. 16. 12:24

4월 통합 계획 발표 후 침묵 유지




클레이튼(KLAY)과 핀시아(FNSA) 생태계 통합을 두고 출범한 카이아(KAIA)의 일정이 연기된 가운데 지난 1일부터 통합 작업이 시작된 페치(FET), 싱귤래리티넷(AGIX), 오션 프로토콜(OCEAN) 등의 행보를 두고 시선이 쏠린다.

전자는 통합 브랜드 출범 이전부터 주목을 받았음에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지만, 후자는 재단과 거래소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프로젝트 3종이 통합하면서 발생하는 메인넷 이전과 유통량 변화 등은 국내 거래소도 해당하지만, 해외 거래소와 달리 국내 거래소 업계는 '협의 중'이라는 짤막한 입장 외에는 지원 여부를 알 수가 없다.

16일 아티피셜 슈퍼인텔리전스 얼라이언스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페이즈 1과 페이즈 2로 구분해 페치, 싱귤래리티넷, 오션 프로토콜 등의 상장 폐지와 병합을 진행 중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DAXA에서 공동 대응하는 종목으로 지정된 바 있으며, 거래소마다 취급하는 프로젝트가 다른 탓에 DAXA를 앞세워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를 두고 거래소의 신중함보다는 홀더를 대상으로 분명하지 않은 신호를 보내면서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도 함께 나온다.

우선 페치, 싱귤래리티넷, 오션 프로토콜은 각각 FET, AGIX, OCEAN이라는 코드 네임을 사용했지만, 통합이 마무리되면 통합 재단 ASA(Artificial Superintelligence Alliance)가 출범해 3종의 프로젝트 코드네임은 ASI를 사용한다. 이미 코인마켓캡과 같은 통계 사이트는 재단의 요청에 따라 코드네임을 변경했으며, 코인베이스를 제외한 바이낸스나 HTX 등은 통합 일정에 따라 기술 지원을 약속했다.

국내외 거래소 업계는 프로젝트의 수명 연장을 위한 메인넷, 마이그레이션, 하드포크, 에어드랍, 스왑 등을 기술 지원 영역으로 분류한다. 이는 거래소의 선택에 따라 지원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거부할 수 있는 거래소의 고유 권한이다. 

대표적으로 바이낸스는 ASI 통합 지원을 일찌감치 밝혔다. 3사 통합이 시작된 7월 1일보다 앞서 지난달 14일 현물, 선물, 마진, 렌딩, 언(Earn) 등에서 거래쌍을 제거하고, 상장 폐지를 시작해 ASI 거래를 위한 사전 작업을 고지했다.

이에 발맞춰 쿠코인, HTX, 비트파이넥스(Bitfinex), 코인이엑스(CoinEx), 게이트아이오 등도 통합 작업을 동참했고, 코인베이스는 지원을 철회했다. 하지만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은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4월 취급하는 프로젝트에 따라 DAXA의 공동 대응 종목으로 지정된 이후 재단과 협의 중이라는 입장 외에는 상장 폐지나 토큰 스왑, 거래 지원과 관련해 공식적인 추가 입장을 밝힌 곳은 없다.

유일하게 코인원만 내외경제TV에 입장을 전달, 코인원 관계자는 "코인원에서 거래지원 중인 AGIX, FET 토크 스왑 등 지원 여부와 관련하여 내부 검토 중이며, 결정되는 대로 공지를 통해 안내 드릴 예정"이라고 설명한 게 전부다.

ASI 재단은 페이즈1에 따라 싱귤래리티넷과 오션 프로토콜은 거래소의 상장 폐지에 따라 코드 네임은 사용할 수 없고, 각각 0.433226 ASI와 0.43335 ASI라는 교환 비율에 따라 변환된다. 단 1단계 통합에서 기반이 다른 싱귤래티티넷과 오션 프로토콜은 이더리움 기반 페치로 우선 이전된다. 지원을 밝힌 거래소는 이 두개의 프로젝트를 자동으로 페치로 전환, 2단계 통합을 준비한다.

이후 2단계 통합에서 페치 1개는 ASI 1개로 교환을 시작, 3개의 프로젝트 컨트랙트 주소를 ASI로 변경하면서 싱귤래리티넷과 오션 프로토콜이 페치로 병합된 1단계 모델에서 ASI로 동기화를 진행한다.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AGIX·OCEAN→FET→ASI다. 앞서 언급한 클레이튼과 핀시아가 카이아로 통합하기 위한 과정에서 프로젝트 2개가 아닌 3개가 합쳐지는 셈이다. 그저 이름과 메인넷의 터전을 바꾸고, 유통량도 변하는 속칭 포대갈이처럼 진행하는 펌핑용 사료로 남용하는 프로젝트가 있는 반면 재단의 노하우를 총동원해 통합 과정에서 기술력을 증명하는 사례도 있다.

이렇게 국내를 제외한 해외는 기술 지원과 통합이 한창이지만, 국내 거래소 업계는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오는 19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을 앞두고 있지만, 가상자산 이용자 권익 보호는 내팽개치고 재단과 협의가 마무리될 때까지 홀더에게 기다리라는 말만 하는 바스프.

사라진 과거의 프로젝트를 골동품처럼 거래하겠다는 국내 거래소 업계의 현주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