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OMG 네트워크(OMG)와 함께 동시 퇴출 확정



후오비 그룹의 일본 법인 비트 트레이드(옛 후오비 재팬)이 엔진 코인(ENJ)과 OMG 네트워크(OMG)를 퇴출한다. 앞서 코인체크와 GMO 코인이 지난해 6월 OMG 네트워크를 상장 폐지, 비트 트레이드도 정리한 것에 불과하지만, 엔진 코인 퇴출은 비트 트레이드가 처음이다.

14일 비트 트레이드에 따르면 다음 달 11일 오후 2시(현지 시간)를 기해 OMG 네트워크와 엔진 코인의 엔화 거래쌍은 사라진다. 이들은 각각 GMO코인이 2020년 7월, 코인체크가 2021년 1월에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발굴한 암호자산이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엔진 코인과 생태계를 병합한 이피니티(EFI)도 지난해 1월 오케이코인 재팬이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소개한 바 있다. 당시 엔진 코인이 폴카닷 생태계 진입을 위해 NFT 플랫폼으로 '이피니티 프로젝트'를 수행했지만, 실체는 폴카닷(DOT)의 파라체인(일종의 사이드체인) 개념에 불과한 말 그대로 프로젝트 성격이 짙었다.

하지만 지난해 여름 제미니(Gemini), 비트파이넥스, 크립토닷컴, 비트 오아시스 등이 상장 폐지로 정리했으며, 국내는 지난해 9월 업비트가 엔진 코인과 이피니티 생태계 통합에 따른 유통량 이슈로 원화마켓에서 정리했다.

다만 일본 암호자산 시장은 국내와 다른 점이 출금 지원 기간이다. 국내는 상장 폐지 시기를 기준으로 최대 1개월에 불과하지만, 일본 암호자산 업계는 평균 5년까지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거래소가 상장 폐지 사유를 두고 '유동성 부족'이라고 언급하면 적어도 해당 거래소에서 거래량이 없고, 거래량에 따른 수수료 수익이 없어 해당 상품을 정리하는 이치와 비슷하다. 

현재 엔진코인은 바이낸스의 테더마켓이 25% 이상 물량을 소화 중이며, HTX(옛 후오비)와 오케이엑스가 물량을 받치고 있다. 일본 1종 암호자산 거래소 업계에서도 바이낸스 재팬, 오케이코인 재팬, DMM 비트코인, GMO 코인 등이 취급하고 있어 프로젝트 신뢰도의 영향은 미미하다.

단 비트 트레이드가 후오비의 부정적인 이슈를 위해 거래소의 이름을 바꿨지만, 실제 법인은 후오비 재팬이 운영하는 비트 트레이드라는 점에서 연쇄 상장 폐지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728x90

업비트 오더북 공유한 업비트 인도네시아·태국도 상폐



업비트도 업비트 APAC도 플레이댑을 거래쌍을 지운다. 2020년 9월 업비트 인도네시아에서 프라이스 서베이 이벤트 물량 100만 개로 출발했던 프로젝트임에도 해킹 악재로 정리한다.

13일 업비트 APAC에 따르면 업비트 인도네시아와 업비트 태국에서도 플레이댑의 흔적은 오는 25일 같이 사라진다.

플레이댑은 여느 업비트 상장 프로젝트와 달리 업비트 인도네시아에서 1분기부터 진행한 프라이스 서베이 프로젝트다. 2020년 2월 밀크로 시작해 디카르고, 토카막 네트워크, 온버프로 9월에 진행해 '0.000004' BTC로 책정해 첫 거래를 시작했다.

특히 이들은 업비트 본진에 프라이스 서베이 가격으로 원화마켓과 비트코인 마켓에 상장, 국내의 ICO 금지 규제로 해외에서 오더북을 공유로 입성했다.

업계에서 말하는 업비트 버프 프로젝트임에도 해킹 이슈 한방에 플레이댑은 일순간 업비트 디버프 프로젝트로 전락했다. 이미 상장 폐지가 확정돼 4월 25일까지 출금 기한이 설정, 기존 코드네임 PLA를 PDA로 전환하는 스왑 지원 바스프 '바이낸스'가 유일하다.

2주 남짓 시점에서 플레이댑은 물량은 업비트가 50% 이상을 소화하고 있지만, 해당 물량은 바이낸스로 넘어간다. 코인베이스가 공식 스왑 지원에 대해 입장을 표명하지 않은 가운데 플레이댑은 목적 거래소 상장을 위해 하반기를 준비할 수밖에 없다.

결국 플레이댑은 DAXA 공동 대응 종목으로 분류돼 한(恨)이 맺힌 채 한(韓) 떠나는 프로젝트로 남게 됐다.

 

728x90

국내외 업계 평균 11.91%보다 6% 추가 보상



비트포인트(BITPoint)가 폴카닷(DOT) 스테이킹 서비스로 연 추정 보상률 17%를 제공, 현지 1종 암호자산 거래소로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3년 전 GMO 코인이 이미 시총 20조 원 규모로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소개했고, 비트플라이어와 코인체크 등의 1종 바스프 10곳이 취급하는 그린 리스트 코인이자 현재 시총도 3년 전과 같다.

13일 SBI 홀딩스 그룹, 비트포인트 등에 따르면 지난 12일 국내외 암호화폐 업계 스테이킹 상품군 11%보다 6% 이상 보상을 제공하는 17% 상품을 개시했다.

폴카닷 스테이킹 평균 연 추정 보상률 / 자료=스테이킹 리워드

비트포인트 측은 현지 업계에서 최고의 보상률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강조했다. 이는 현재 SBI 홀딩스 그룹이 보유한 SBI VC 트레이드가 공표한 연 추정 보상률 16.8%보다 0.2% 많은 수치다.

국내 거래소 업계에서 폴카닷 스테이킹은 빗썸의 연 추정 보상률 3.79%~3.94%가 유일하고, 코빗조차 준비 중이다.

현재 일본 암호자산 업계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상승장에서 신규 화이트 리스트 코인은 IEO로 한정 짓고, 그린 리스트 코인을 중심으로 스테이킹 상품 개발에 한창이다. 

이미 1종 바스프가 취급하는 화이트 리스트 코인이 100종에 임박, 화이트 리스트 코인 발굴보다 장기 투자자를 위한 서비스를 선보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배경에는 그린 리스트 코인의 제약이 작용, 신규 화이트 리스트 코인은 최초로 심사한 거래소의 6개월 거래 보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일본 금융청이 JVCEA에 권한을 위임, 업계 혼선과 출혈 경쟁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인 셈이다.

 

728x90

가스비 요정 폴리곤(MATIC) 대신 서리한 레이어1로 테스트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가 레이어2 폴리곤(MATIC) 대신 아발란체(AVAX)를 선택했다. 지난해 GDC 2023에서 폴리곤을 내세웠던 것을 떠올린다면 1년 만에 레이어2 대신 레이어1을 선택한 것이 전부다.

12일 아발란체 따르면 1초당 트랜잭션 수(TPS, Transactions Per Second)는 ▲아발란체, 4500 ▲폴카닷, 1500 ▲이더리움, 14 ▲비트코인, 7 등이다. 단순한 TPS만 본다면 폴카닷의 3배 수준을 상회하지만, 문제는 이론상의 수치가 테스트와 실증실험 단계에서도 나올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이미 넥슨과 아발란체 등이 언급한 서브넷(Subnet)은 아발란체에만 존재하는 개념이 아니다. 이미 사이드체인이나 서비스 체인, 오아시스(OAS)의 버스(VERSE) 등이 메인넷과 연결되는 프라이빗 체인을 의미한다.

또 아발란체의 서브넷은 폴카닷(DOT)의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와 기능이 유사, 속칭 게임업계 용어로 쯔꾸르나 RPG 메이커로 초기 개발 단계에서 진입 장벽을 낮추는 일종의 도구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현재 아발란체를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C체인(Contranct Chain), X체인(Exchange Chain), P체인(Platform Chain) 등 3개의 체인이다. C와 X는 아발란체가 거래소 상장 시 바스프가 거래를 위해 준비하는 체인이며, P체인은 넥슨이 향후 구축할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에서 사용될 체인이다.

이들은 각각 이더리움 생태계 연결을 위한 EVM, 아발란체 거래, 별도의 서브넷 구축을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XCP는 아발란체 네트워크에서 눈사람(Snowman)으로 명칭된 일종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구축해야 한다.

즉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를 위해 NFT 발행과 전송, 보관을 위해 아발란체를 채택했고, 서브넷은 P체인으로 구축한다는 의미다. 다만 NFT를 보관하는 지갑을 아발란체 월렛으로 할 것인지 혹은 넥슨이 직접 별도의 지갑을 선보일 것인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

NFT는 PC와 스마트 폰 게임을 기준으로 전체 이용가의 개념이 약하지만, 암호화폐는 적어도 국내에서 청소년 이용 불가다. 이는 업비트와 빗썸이 청소년 이용불가 사이트로 분류됐으며, 글로벌 서비스를 진행하더라도 일부 국가는 규제 리스크 탓에 서비스 불가로 표기될 수밖에 없다.

특정 프로젝트를 관련 사업의 러닝메이트로 쓰겠다는 의미는 레이어1 중에서 선택한 것에 불과하고, 멀티 체인 지원이나 다른 레이어1을 선택할 수도 있어 아발란체가 넥슨의 구세주는 아닌 셈이다.

 

728x90

이더리움도 덩달아 폭주, 상승장 속 알트 투자 신중해야



비트코인(BTC)이 심리적 저항선 1억 원을 한때 돌파했다. 앞서 미국 7만 달러, 일본 1,000만 엔을 돌파며, 신고가를 경신한 가운데 위안과 유로가 아닌 원화(KRW)가 1억 고지를 넘나들고 있다.

11일 거래소 업계에 따르면 업비트가 장중 1억 원을 돌파, 빗썸과 코빗에 이어 코인원도 9,900만 원선에 거래 중이다. 현 추세라면 보수적으로 15일 전까지 국내 원화마켓 거래소에서 시작가격이 1억 원대에서 시작되는 랠리를 예고한 상황이다.

비트코인이 1억 원을 돌파한 이상 다음 주자는 이더리움의 600만 원대 고지 돌파에 관심이 모아진다. 국내외 암호화폐 업계는 제도권 진입의 초석 ETF와 반감기라는 인위적으로 조절되는 인플레이션 억제책 등을 비트코인의 상승 동력으로 분석한다.

이면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전통적인 경제와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과 실물 경제의 인플레이션 가중에 따른 반발심리가 반영된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를 두고 기존 4대 안전자산의 범위에 비트코인을 미국 국채나 금과 같은 자산(ASSET)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속칭 상승장에서 기관 투자자의 숫자놀음과 장기 투자로 접근한 일부 투자자 집단이 아닌 개미 투자는 단타 수익이 전부라는 점에서 어느 때보다 경계할 시기다.

 

728x90

선긋기 나선 코인원, 가능성 열어둔 위메이드



코인원이 위믹스(WEMIX) 스테이킹을 선보이며, 기존 코인원 플러스 상품군에 데일리에 이어 위믹스 관련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위믹스의 40 원더스 합류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지만, 현재 양사는 이를 모두 부인하고 있다.

11일 코인원에 따르면 위믹스 데일리(연 1.32%)와 위믹스 스테이킹(8.95%) 등 위믹스 관련 디파이 상품을 서비스 중이다.

앞서 지닥(GDAC)은 위믹스의 백기사로 참전, 통칭 위믹스 친위대로 불리는 40 원더스 멤버로 활동하다 탈퇴를 확정 지으며 바스프 중에서는 NCP(Node Council Partner)가 없다.

코인원의 위믹스 스테이킹 서비스 / 이미지=코인원 갈무리

지난해 위믹스 재상장 이슈로 DAXA의 대의명분이 사라진 현 상황에서 코인원은 이전부터 빌드업을 진행했다. 데일리보다 배당이 높은 위믹스 스테이킹까지 선보이자, 엇비슷한 수익률은 선보이는 원더 스테이킹 참여 여부에 관심이 쏠렸다.

실제 코인원의 위믹스 스테이킹과 원더 스테이킹의 수익률은 2% 남짓 차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인원은 기존 데일리와 스테이킹을 포기, 40 원더스 노드로 참여한다는 소문이 퍼졌음에도 코인원은 끝내 스테이킹을 선보이며 선을 그었다.

이에 대해 코인원은 40 원더스 검토나 참여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최근에 선보인 위믹스 스테이킹으로 항간에 떠도는 소문을 일축했다.

반면에 위메이드 측은 NCP 합류 안건에 대해 모든 과정이 투명하게 이뤄진다면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위메이드 관계자는 "NCP는 위믹스가 내세우는 신뢰의 근간이기 때문에 특정 사업자 특혜는 없다"라며 "현재로서는 가능성보다 모든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안건을 올리고 있어 확답을 줄 수 없다"고 말했다.

 

728x90

원작 불패 깨졌다...크리티카 서바이버, 5개월 채우고 떠나



올엠이 크리티카 서바이버 서비스를 3월 6일 종료했다. 2023년 9월 27일에 출시, 약 5개월(162일) 만에 종료하게 됐다.

크리티카 서바이버는 PC 온라인 게임 '크리티카' 기반의 로그라이크 액션 게임으로, 출시 전부터 원작의 향기를 강조해 3D 그래픽과 무기에 따라 달라지는 캐릭터 외형, 해당 캐릭터에 부여되는 3종의 전용 스킬 등을 앞세웠다.

하지만 소프트 런칭 이후 정식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거쳤음에도 동종 유사 장르의 게임과 경쟁력 확보에 실패, 6개월도 채우지 못하고 단명하고 만다.

올엠 관계자는 "게임의 재미를 위해 노력하였으나, 개발 사항과 현재 상황 사이의 격차를 만회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