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외 거래소 업계는 14일부터 스왑 진행
저주받은 스테이블 코인이라는 별명을 가진 이오스(EOS)가 볼타(Vaulta)라는 새로운 이름과 코드 네임 A로 바뀐다. 이미 바이낸스를 비롯한 주요 거래소는 스왑을 공식적으로 지원, EOS 거래쌍 제거를 포함한 상장 폐지 이후 A 거래쌍 개설을 위한 준비 절차에 돌입했다.
20일 이오스 네트워크 파운데이션에 따르면 지난 14일부터 이오스 1개를 볼타 1개로 스왑하는 웹사이트를 공개하고, 교환이 진행 중이다.
현재 이오스 스왑을 공식적으로 밝힌 곳은 글로벌 거래소 3대장 바이낸스, HTX, OKX 등을 포함해 비트마트, 쿠코인, 멕스씨(MEXC), 비트마트, 게이트(옛 게이트아이오), 크립토닷컴, 비트겟 등이다. 또 스왑을 지원하는 거래소는 이오스 재단 홈페이지에서 업데이트가 진행 중이다.

이번 스왑은 거래소 스왑 지원 안내, 이오스 거래쌍 제거와 상장 폐지, 입출금 중단, 자동 거래 취소 등 사전 준비가 진행된 이후에 이오스와 볼타를 1:1 비율로 자동으로 바뀐다. 단 스왑 지원을 밝히지 않는 곳은 상장 폐지가 진행될 예정이며, 볼타 스왑 포털에서 직접 교환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오스를 취급하는 국내 거래소는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으로 스왑 지원에 대해 안내하지 않았다. 국내 바스프는 현물 거래만 취급하는 탓에 스왑 안내에 앞서 스냅샷(현재 보유량을 확인하는 용도)을 기준으로 마이그레이션(보유 수량과 변환 수량을 동기화)을 진행, 이후에 거래쌍을 개설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비록 국외 주요 거래소가 스왑을 진행하므로 국내 거래소 업계도 동참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지만, 경우에 따라 스왑 지원을 하지 않는다면 게이오가 마로(MARO)를 정리한 것처럼 최악의 상황이 연출될 수도 있다.
정작 거래쌍 개설은 동시 상장과 단독 상장을 고수하면서 스왑 안내는 늑장 처리로 일관, 국내 거래소 업계의 현주소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뷰 #237] 네오핀(NPT), 다들 쓰러져도 우린 간다 (0) | 2025.05.21 |
---|---|
카이아(KAIA), 페이셜 DNA 네트워크 '가짜뉴스 법적 대응' (1) | 2025.05.19 |
넥스페이스(NXPC), 업비트·빗썸·코인원 상장 (1)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