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의 기관과 의견차 좁히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 못해


특금법이 통과되면서 국내 암호화폐 업계는 제도권 진입에 맞춰 부실 거래소 퇴출과 프로젝트 검증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국내 블록체인 게임업계는 여전히 갈피를 못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게임물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블록체인 게임 중에서 심의를 받고 정식 서비스 중인 게임은 단 한 건도 없다.

현재까지 유나의옷장 for Kakao와 인피니티스타가 심의를 신청했지만, 거부를 당했다. 이후 스카이피플이 '파이브스타즈'로 등급분류 심의 신청을 넣은 게 전부다.

NFT의 환금성에 초점을 맞춘 나머지 과거 모바일 게임의 경매장이 '아이템거래사이트'를 모사해 벌어진 청불 등급과 비슷한 상황이다. 

예년과 달리 디앱과 댑은 국내 게임업계에서 '블록체인 게임'으로 호칭이 바뀐 지 오래다. 알트코인의 사용처를 PC와 스마트 폰에서 구동되는 게임으로 선택, 친숙한 소재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과 달리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나 서비스 업체의 상황은 쉽지 않다. 이전부터 정상적으로 '등급'을 받아서 정식으로 서비스하고 싶은 것과 달리 항상 '심의'가 발목을 붙잡았다.

A 개발사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 심의를 넣어봐야 이득은 없다고 본다. 어차피 신청해도 등급 거부로 이름이 오르내리는 기사 몇 개가 전부다"라며 "일부 메이저 업체가 게임위를 상대를 정식으로 심의를 요구하기 전까지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게임업계에서 블록체인 게임사업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곳은 플레이댑과 웨이투빗 정도다. 향후 위메이드와 엠게임 등 상장업체가 준비 중인 블록체인 게임이 심의를 받을 때 성장통이 예상되는 부분이다.

특히 위메이드는 과거 '유나의옷장'으로 곤혹을 겪었다. 최근 컨퍼런스콜에서 자사의 블록체인 게임에 적용될 코인을 상장시키겠다고 밝힌 이상 심의를 받기 위한 게임위의 입장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B 개발사 관계자는 "출시는 일반적인 모바일 게임으로 출시하고, 업데이트를 통해 NFT와 코인 적용을 준비하고 있다"며 "심의가 나올 때까지 마냥 기다릴 수 없어, 뜻을 같이하는 개발사부터 얼라이언스를 구축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특금법 통과 후 게임법에 따라 심의를 진행하는 '게임위'의 태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심의 거부라는 선례만 있고, '해도 되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C 개발사 관계자는 "이더리움이나 온톨로지나 트론 기반 블록체인 게임이 등장하고 있어, NFT를 위해 국내보다 가까운 일본 진출로 목표를 선회했다"며 "그나마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게임이 자리를 잡은 일본에 출시해 그들과 협업하는 게 생존할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