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떴다방처럼 운영하는 '이노베이션 존'의 악순환



이쯤 되면 알트코인 대량 학살에 나선 거래소의 횡포다. 

멕스씨((MEXC)는 이전부터 상장과 상장 폐지를 남발했던 거래소로 최근에는 프로젝트 103종의 거래쌍을 지웠다. 단순한 거래쌍 제거가 아니라 국내 거래소처럼 투자유의 종목 지정부터 상장 재심사를 간소화, 사실상 정리보다 분리 수거에 가까운 행태가 빈번한 사업자다.

19일 멕스씨에 따르면 스테이블 코인 USDD와 USDJ를 포함해 103종의 알트코인을 상장 폐지, 다음 달 30일까지 출금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 외에는 대규모 상장 폐지를 단행했다.

이면에는 거래소의 스페셜 트리트먼트 룰(ST Warning Rules)에 따라 ▲시작가 대비 3일 경과시 60% 하락 ▲연속 30일 하루 거래량 5만 테더 미만 등이 주효하며, 규제 리스트나 선동이나 보안 이슈 등은 일반적인 투자유의 종목 지정 방식이다.

4월의 상장 폐지 리스트 / 자료=멕스씨

또 103종을 살펴보면 일부 프로젝트를 제외하고, 모두 멕스씨의 이노베이션 존에서 선발된 신생 알트코인이다. 그래서 거래 기간이 짧게는 3개월, 길게는 2년까지 지난 프로젝트지만, 흡사 떴다방처럼 상장을 빌미로 토큰 구매를 유도하는 변칙 영업이다.

과거 국내외 거래소가 상장 투표나 프라이스 서베이로 일종의 필터링을 거쳤다면, 멕스씨의 이노베이션 존은 멕스씨의 거래소 토큰 엠엑스 토큰(MX)으로만 참여할 수 있는 탓에 거래소는 손해보지 않는 장사다.

엠엑스 토큰은 1개당 7,370원(2024년 4월 19일 CMC 기준)으로 토큰도 팔고, 이노베이션 존에서 거래 중인 프로젝트는 내부 규정에 따라 상폐의 희생양으로 전락하기 쉽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노베이션 존에 입점하는 프로젝트도 거래소 상장 폐지와 동시에 프로젝트도 소멸, 이른바 거래소와 팀이 짜고 치는 엠엑스 토큰 판매 총책처럼 보인다는 사실이다.

또한 멕스씨는 금융위 공식 발표로 국내에서 불법으로 영업 중인 거래소가 밝혀졌음에도 배짱 영업을 이어가고 있어 항상 주의가 요구되는 사업자다. 

 

728x90

 

컴투스홀딩스, 부정확한 정보에 유감 표명



엑스플라(XPLA)가 랜덤 리스팅(RANSOM LISTING) 논란에 휩싸이자 진화에 나섰다. 

최근 SNS를 중심으로 특정 거래소에 상장했다는 자료가 퍼졌지만, 컴투스홀딩스 측은 이를 적극 부인했다. 해당 사업자와 미팅이나 연락 등 일체 접촉을 한 적이 없으며, 관계자의 코멘트도 올해 3월 비트겟 상장을 설명한 공식 자료를 도용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1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국내에서 영업 중인 바스프(가상자산취급업자)는 37곳이며, 이를 제외한 사업자는 모두 불법이다. 

이번에 문제가 된 바스프는 지난달 4일 국내에 정식 오픈했다고 홍보한 ㄱ 거래소다. 거래소 측은 설명 자료에서 해외에 법인을 두고, 국내는 지사를 오픈했다고 설명했지만 특금법에 따라 미신고 사업자로 분류된다.

엑스플라는 2년 전 코인엑스(CoinEX) 상장으로 곤욕을 치른 바 있다. 당시 코인엑스는 금융위가 공개한 불법 거래소 16곳에 포함된 사업자로 컴투스홀딩스와 엑스플라 재단은 '특금법의 무지' 사태 이후 상장 관련 이슈는 사실 확인을 거쳐 공개하고 있다.

컴투스홀딩스 관계자는 "정확하지 않은 정보인 탓에 현재 조치를 취했으며, 해당 사업자의 홍보 자료에 언급된 엑스플라 상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728x90

로닌 탑재 블록체인 게임 라인업으로 시험대




그라비티의 라그나로크 몬스터 월드가 로닌(RON)을 탑재한 블록체인 게임으로 출시를 준비 중이다. 

그라비티는 지난해 6월 제로엑스앤드(0x&)가 라그나로크 IP를 활용한 게임을 개발 중이라는 공식 발표 이후 로닌 재단이 직접 공개, 로닌을 탑재한 라그나로크 IP 최초의 블록체인 게임 탄생을 예고했다.

18일 로닌 재단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로닌을 탑재한 라그나로크 몬스터 월드를 출시한다. 이로써 라그나로크 IP를 활용한 블록체인 게임은 더 샌드박스(SAND)와 협력한 라그나로크 메타버스와 라그나로크 랜드버스에 이어 세 번째 실증실험이다.

코인원에서 거래 중인 로닌

또 로닌 생태계에 합류한 여덟 번째 블록체인 게임이자 이미 합류를 확정지은 오픈월드 MMO 'Tribesters'와 선의의 경쟁을 펼치게 된다.

로닌은 개발사 스카이 매비스가 엑시 인피니티(AXS)의 확장을 목표로 이더리움 생태계 합류를 위해 설계된 사이드 체인이다. 그래서 엑시 인피니티와 마찬가지로 메인넷이 존재하지만, 이더리움 기반인 탓에 엑시 인피니티와 로닌은 코인이 아닌 토큰이다.

대신 P2E에 특화된 프로젝트로 총발행량 10억 개 중에서 31%에 해당하는 3억1352만6603개가 풀렸으며, 유통량 계획서에 따라 소각없는 락업 해제가 예고된 프로젝트다. 그 결과 일반적인 프로젝트 팀의 분배는 ▲개발사 스카이 매비스 30% ▲커뮤니티 30% ▲리워드 25% ▲생태계 1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닌 분배 물량 / 자료=로닌

현재 로닌은 바이낸스와 오케이엑스의 테더마켓(USDT)에서 거래 중이며, 국내는 코인원과 코빗의 원화마켓에 거래쌍이 개설돼 1개당 4,180원에 거래 중이다.

단 IP의 브랜드 파워와 P2E 프로젝트의 만남이 성사됐음에도 게임의 성공까지 보장된 것은 아니다. 앞서 언급한 실증실험이라고 표현한 이유도 제로엑스앤드가 게임 개발사보다는 국내외 블록체인 게임업계에 친숙한 길드 개념에 가까워 NFT 렌탈 비즈니스의 테스트 성격이 짙다.

결국 정식 출시 이후 블록체인 게임과 지원하는 P2E 프로젝트, 거래소의 상장 메타 등 현 상황에서 라그나로크 IP보다 엑시 인피니티-로닌의 브랜드가 앞선다는 점에서 결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728x90

태국 디지털 자산 시장에 '디지털 토큰'으로 거래 앞둬




|공감신문=정동진 기자|마브렉스(MBX)와 클레이튼(KLAY)이 태국 디지털 자산 시장에 나란히 입성한다. 클레이튼은 업비트 태국에 이어 2차 상장, 마브렉스는 태국 시장 진입이 처음이다.

12일 태국 디지털 자산 거래소 비트쿱(Bitkub)에 따르면 마브렉스와 클레이튼 등 프로젝트 2종의 상장을 예고했다. 이들은 비트쿱이 정한 내부 규정에 따라 암호화폐가 아닌 디지털 토큰으로 분류, 거래쌍 개설을 앞두고 있다.

태국은 2018년 5월 시행된 디지털 자산 사업에 관한 긴급 법령(Emergency Decree on Digital Asset Businesses)에 따라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관계 법령과 현지에서 운영 중인 규제의 장막을 쳤다. 이는 대한민국이 2021년 3월부터 특금법과 금융위원회가 규제를 시작한 것과 비교해 3년이 앞선 규제 환경이다.

비록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정회원은 아니지만, 대한민국이 속한 아시아 태평앙 자금세탁 방지기구(APG(Asia Pacific Group on Money Laundering)의 회원으로 디지털 자산 규제를 촘촘하게 메우고 있다.

그래서 태국 디지털 자산 시장은 암호화폐와 디지털 토큰을 법령에 정의하고, ▲밈 토큰(Meme token) ▲팬 토큰(Fan token) ▲NFT ▲거래소 토큰 등 상장 금지 조항과 ICO는 별도의 ICO 포털에서 심사하는 등 일본과 인도네시아의 화이트 리스트 코인 방식이 유효하다.

비트쿱은 태국의 업비트라 부를 정도로 법령이 시행된 같은 해 사업을 시작한 6년 차 거래소다. 회사 측에 따르면 비트쿱은 35종의 암호화폐와 75개의 디지털 자산을 취급한다. 

앞서 언급한 암호화폐의 개념은 교환과 거래에 초점이 맞춰진 디지털 자산을 포함한 에이다(ADA)와 이더리움(ETH), 1인치 네트워크(1INCH)와 엑시 인피니티(AXS)와 유틸리티와 서비스 개념이 강한 프로젝트는 디지털 토큰으로 분류한다.

비트쿱도 국내외 암호화폐 거래소처럼 상장과 상장 폐지를 진행하며, 최근에는 OMG 네트워크(OMG)와 완체인(WAN)을 퇴출했다. 특히 모회사가 나스닥 입성을 앞두고 있어, 흔히 말하는 검증된 프로젝트를 선별해 거래쌍을 올리고 있다.

이번 태국 시장 입성에서 수혜주는 클레이튼보다 마브렉스가 될 가능성이 크다. 넷마블은 넷마블 태국이라는 현지 법인이 존재하고, 모두의 마블이나 제2의나라 등 블록체인 게임의 실증실험이 가능하다.

특히 비트쿱의 바트(THB) 마켓에 거래쌍이 개설된다면 마브렉스는 태국의 디지털 자산으로 입성, 이미 인도네시아 화이트 리스트 코인 자격으로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APAC(Asia Pacific) 필드를 완성하게 된다.



728x90

애니모카 브랜즈 日 법인의 서포트 2호 프로젝트



나인 크로니클 M의 NFT 프로젝트 디센트럴 라이즈드 캣(Decentralized Cat, 이하 D:CC)이 코인체크 NFT에서 판매를 시작한다. 

이전부터 국내 블록체인 게임업계가 현지 법인을 러닝메이트로 활용, 1종 암호자산 거래소에서 엔화로 살 수 있는 화이트 리스트 코인을 목표로 내세운 상황에서 색다른 방식으로 일본 NFT 시장에 진출한 사례다.

2일 애니모카 브랜즈 재팬, 코인체크 등에 따르면 나인 크로니클 M의 NFT 'D:CC'를 1개당 0.06 ETH로 책정, 오는 4일부터 300개 한정 판매를 시작한다.

코인체크 NFT는 코인체크가 운영하는 NFT 마켓으로 국내 기준으로 두나무가 운영하는 업비트 NFT라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다. 이번 나인 크로니클 M NFT 판매는 애니모카 브랜즈의 일본 법인이 추진하는 웹 3.0 프로젝트 지원 프로그램으로 지난 3월 팬텀 갤럭시즈에 이어 두 번째 사례다.

이미 KDDI의 NFT 마켓 'αU market'에 팬텀 갤럭시즈 NFT를 입점시켰으며, 나인 크로니클 M의 D:CC는 코인체크가 운영하는 NFT 마켓에서 판매를 시작하는 셈이다.

특히 D:CC에 포함된 NFT 스테이킹으로 획득할 수 있는 'D:CC' 마일리지 토큰 DCCM과 나인 크로니클 골드(NCG)를 획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자는 NFT 구입, 후자는 게임 머니의 개념이지만 현지 1종 암호자산 거래소가 P2E 프로젝트를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발굴한 바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앞서 진출한 마브렉스(MBX)가 대중적인 인지도 없이 자이프(Zaif)에서 거래를 시작, 넷마블의 P2E 프로젝트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가 '애니모카 브랜즈 재팬'의 지원 버프로 일본에서 반향을 일으킬 수 있을지 눈여겨볼 시점이다.

728x90

위메이드 온라인에서 위메이드 재팬으로 사명 변경 후 사업 방향도 재편



위메이드가 일본 법인의 체질 개선을 완료, 위믹스(WEMIX)의 일본 화이트 리스트 코인이자 현지에서 거래할 수 있는 암호자산의 러닝 메이트로 시즌2를 준비한다.

1일 위메이드, 위메이드 재팬 등에 따르면 지난달 위메이드 재팬은 사명을 위메이드 온라인에서 변경하고, 웹 3 사업에 중점을 둔 위믹스의 일본 거점 법인으로 거듭난다.

앞서 지난해 8월 기존 법인이 담당하던 PC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 퍼블리싱과 관련된 사업을 'G.O.P'에 이관, 일본 법인의 역할 변화를 예고한 바 있다.

이전부터 일본 암호자산 시장은 예년과 달리 P2E 프로젝트를 IEO와 신규 상장 등으로 발굴했다. 그래서 국내 암호화폐 업계에서 클레이튼(KLAY)과 마브렉스(MBX) 등에 이어 세 번째 유력 후보군으로 분류됐으며, 향후 위메이드 재팬의 역할론도 함께 부각될 전망이다.

728x90

네오핀(NPT)은 디파이 특화로 부각, 인텔라 엑스의 색깔은 아직



네오위즈의 원투펀치 네오핀(NPT)과 인텔라 엑스(IX)가 전혀 다른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전자는 거점을 아랍에미리트에 설립해 현지 규제에 최적화된 프로젝트로 거듭나고 있고, 후자는 신중론 속에 거래소 상장 대신 내실 다지기에 한창이다.

1일 네오위즈에 따르면 인텔라 엑스(IX)는 파트너십과 스폰서십 체결 외에 별다른 활동을 하고 있지 않다. 일례로 블록체인 게임 온보딩 러시로 생략하고, 심지어 거래소(CEX) 상장이나 에어드랍, 런치 패드 등 이전에 보여준 프로젝트 팀의 활동 이력도 전무하다.

특히 비트코인의 1억 원 돌파 랠리에도 네오위즈 측은 인텔라 엑스의 상장 시기조차 언급하지 않고, 오히려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짤막한 입장 표명 외에는 별다른 언급을 하고 있지 않다.

일각에서는 네오핀의 국내외 거래소 상장과 사업 방식과 다른 방향으로 접근, 인텔라 엑스의 차별성을 부각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 중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미 넷마블이 네오위즈처럼 마브렉스(MBX)와 팬시(FNCY) 등 두 개의 프로젝트를 운용하고 있음에도 인텔라 엑스의 색깔 찾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다만 네오위즈 측이 밝힌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이라는 단초가 유일하다. 네오핀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디파이에 특화된 탈중앙화 금융 플랫폼으로, 인텔라 엑스는 대중적으로 친숙한 게임을 앞세워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을 표방한 덕분에 향후 게임포털 '피망'과 연계도 기대되고 있다.

네오위즈 관계자는 "인텔라 엑스의 거래 지원과 관련해 현재까지 확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728x90

OMG 네트워크(OMG)와 함께 동시 퇴출 확정



후오비 그룹의 일본 법인 비트 트레이드(옛 후오비 재팬)이 엔진 코인(ENJ)과 OMG 네트워크(OMG)를 퇴출한다. 앞서 코인체크와 GMO 코인이 지난해 6월 OMG 네트워크를 상장 폐지, 비트 트레이드도 정리한 것에 불과하지만, 엔진 코인 퇴출은 비트 트레이드가 처음이다.

14일 비트 트레이드에 따르면 다음 달 11일 오후 2시(현지 시간)를 기해 OMG 네트워크와 엔진 코인의 엔화 거래쌍은 사라진다. 이들은 각각 GMO코인이 2020년 7월, 코인체크가 2021년 1월에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발굴한 암호자산이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엔진 코인과 생태계를 병합한 이피니티(EFI)도 지난해 1월 오케이코인 재팬이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소개한 바 있다. 당시 엔진 코인이 폴카닷 생태계 진입을 위해 NFT 플랫폼으로 '이피니티 프로젝트'를 수행했지만, 실체는 폴카닷(DOT)의 파라체인(일종의 사이드체인) 개념에 불과한 말 그대로 프로젝트 성격이 짙었다.

하지만 지난해 여름 제미니(Gemini), 비트파이넥스, 크립토닷컴, 비트 오아시스 등이 상장 폐지로 정리했으며, 국내는 지난해 9월 업비트가 엔진 코인과 이피니티 생태계 통합에 따른 유통량 이슈로 원화마켓에서 정리했다.

다만 일본 암호자산 시장은 국내와 다른 점이 출금 지원 기간이다. 국내는 상장 폐지 시기를 기준으로 최대 1개월에 불과하지만, 일본 암호자산 업계는 평균 5년까지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거래소가 상장 폐지 사유를 두고 '유동성 부족'이라고 언급하면 적어도 해당 거래소에서 거래량이 없고, 거래량에 따른 수수료 수익이 없어 해당 상품을 정리하는 이치와 비슷하다. 

현재 엔진코인은 바이낸스의 테더마켓이 25% 이상 물량을 소화 중이며, HTX(옛 후오비)와 오케이엑스가 물량을 받치고 있다. 일본 1종 암호자산 거래소 업계에서도 바이낸스 재팬, 오케이코인 재팬, DMM 비트코인, GMO 코인 등이 취급하고 있어 프로젝트 신뢰도의 영향은 미미하다.

단 비트 트레이드가 후오비의 부정적인 이슈를 위해 거래소의 이름을 바꿨지만, 실제 법인은 후오비 재팬이 운영하는 비트 트레이드라는 점에서 연쇄 상장 폐지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728x90

업비트 오더북 공유한 업비트 인도네시아·태국도 상폐



업비트도 업비트 APAC도 플레이댑을 거래쌍을 지운다. 2020년 9월 업비트 인도네시아에서 프라이스 서베이 이벤트 물량 100만 개로 출발했던 프로젝트임에도 해킹 악재로 정리한다.

13일 업비트 APAC에 따르면 업비트 인도네시아와 업비트 태국에서도 플레이댑의 흔적은 오는 25일 같이 사라진다.

플레이댑은 여느 업비트 상장 프로젝트와 달리 업비트 인도네시아에서 1분기부터 진행한 프라이스 서베이 프로젝트다. 2020년 2월 밀크로 시작해 디카르고, 토카막 네트워크, 온버프로 9월에 진행해 '0.000004' BTC로 책정해 첫 거래를 시작했다.

특히 이들은 업비트 본진에 프라이스 서베이 가격으로 원화마켓과 비트코인 마켓에 상장, 국내의 ICO 금지 규제로 해외에서 오더북을 공유로 입성했다.

업계에서 말하는 업비트 버프 프로젝트임에도 해킹 이슈 한방에 플레이댑은 일순간 업비트 디버프 프로젝트로 전락했다. 이미 상장 폐지가 확정돼 4월 25일까지 출금 기한이 설정, 기존 코드네임 PLA를 PDA로 전환하는 스왑 지원 바스프 '바이낸스'가 유일하다.

2주 남짓 시점에서 플레이댑은 물량은 업비트가 50% 이상을 소화하고 있지만, 해당 물량은 바이낸스로 넘어간다. 코인베이스가 공식 스왑 지원에 대해 입장을 표명하지 않은 가운데 플레이댑은 목적 거래소 상장을 위해 하반기를 준비할 수밖에 없다.

결국 플레이댑은 DAXA 공동 대응 종목으로 분류돼 한(恨)이 맺힌 채 한(韓) 떠나는 프로젝트로 남게 됐다.

 

728x90

국내외 업계 평균 11.91%보다 6% 추가 보상



비트포인트(BITPoint)가 폴카닷(DOT) 스테이킹 서비스로 연 추정 보상률 17%를 제공, 현지 1종 암호자산 거래소로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3년 전 GMO 코인이 이미 시총 20조 원 규모로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소개했고, 비트플라이어와 코인체크 등의 1종 바스프 10곳이 취급하는 그린 리스트 코인이자 현재 시총도 3년 전과 같다.

13일 SBI 홀딩스 그룹, 비트포인트 등에 따르면 지난 12일 국내외 암호화폐 업계 스테이킹 상품군 11%보다 6% 이상 보상을 제공하는 17% 상품을 개시했다.

폴카닷 스테이킹 평균 연 추정 보상률 / 자료=스테이킹 리워드

비트포인트 측은 현지 업계에서 최고의 보상률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강조했다. 이는 현재 SBI 홀딩스 그룹이 보유한 SBI VC 트레이드가 공표한 연 추정 보상률 16.8%보다 0.2% 많은 수치다.

국내 거래소 업계에서 폴카닷 스테이킹은 빗썸의 연 추정 보상률 3.79%~3.94%가 유일하고, 코빗조차 준비 중이다.

현재 일본 암호자산 업계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상승장에서 신규 화이트 리스트 코인은 IEO로 한정 짓고, 그린 리스트 코인을 중심으로 스테이킹 상품 개발에 한창이다. 

이미 1종 바스프가 취급하는 화이트 리스트 코인이 100종에 임박, 화이트 리스트 코인 발굴보다 장기 투자자를 위한 서비스를 선보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배경에는 그린 리스트 코인의 제약이 작용, 신규 화이트 리스트 코인은 최초로 심사한 거래소의 6개월 거래 보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일본 금융청이 JVCEA에 권한을 위임, 업계 혼선과 출혈 경쟁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인 셈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