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작과 다른 결을 가진 드라마로 부활한 명작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즌 1(The Last of Us Season 1)은 원작 '더 라스트 오브 어스'를 기반으로 제작한 드라마다. 지난달 21일 쿠팡플레이가 HBO 및 HBO Max 오리지널 라인업을 공개했고, 이 중에서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즌 1에 이어 이달 시즌 2가 공개된다.
게임의 실사 영화와 드라마는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즌 1 이전에도 있었지만, 단순한 드라마보다 작품이라 감히 논할 수 있는 건 원작의 힘이다. 또 이러한 기세에 눌리지 않고, 게임 플레이 캐릭터로 접했던 조엘과 엘리를 목소리 배우가 아닌 실제 배우의 연기로 볼 수 있는 점에 대해 감사했다.


드라마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즌 1과 게임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즌 파트 1'은 시즌과 파트라는 단어와 표현의 수단이 달라졌을 뿐 말하고자 하는 부분은 같다.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2도 있지만, 시즌 1과 파트 1의 접점을 언급하면서 기분이 나빠서 생략한다.
우선 OTT로 만난 시즌 1은 회차마다 '그래 퀘스트가 있었어!'라는 탄성과 희미해진 기억이 새록새록 떠올랐다.


PS3에서 출발, 리마스터를 거친 PS4, 다시 PS5까지 이어진 우려먹기 상술이라는 비아냥도 적어도 파트 1은 무적이다. 그만큼 파트 1을 플레이할 유저마다 감동의 깊이와 해석이 분분한 것도 플레이 성향이나 관점에 따라 달라진 파트 1의 힘이다.
당연히 드라마로 탄생한 시즌 1은 조엘과 엘리의 이질감도 아주 잠시였을 뿐 설정이나 세트, 대사 등이 속속 파고든다. 특히 1화 오프닝 CG에 집중한 순간에 희미하게 들리는 OST는 실행을 기다리는 파트 1과 조엘이 일어난 후 진행하는 퀘스트의 향수가 물씬 자극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게임의 '첫 번째 챕터 고향'을 드라마로 만난 반가움이 컸지만, 1화 중반부터 묘한 매력을 가진 드라마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분명 플래티넘 트로피 작업을 위해 그렇게 플레이했던 장면을 '어, 이거 그거다!'라는 추임새로 일시 정지로 살펴보면서 게임과 다른 매력을 가진 품고 있었다. 게임과 드라마의 접점과 결을 달리한 드라마 특유의 전개와 서사는 곳곳에 여러 장치를 사용, 연결 고리를 자연스럽게 풀어내면서 9회까지 쉼 없이 전개했다.
일부 회차는 NPC 대사를 한 편의 에피소드로 구성하는 등 게임과 다른 방식을 차용한 것도 원작과 드라마의 차이 중 하나다. 어둠 속에서 길을 잃었지만, 빛을 찾아 나선 조엘과 엘리의 마지막 장면을 보면서 콧등이 찡했다. 파트 2에서 상상할 수 없었던 충격 대신 시즌 1 메이킹 필름에서 활짝 웃고 있는 배우를 보면서 조엘과 엘리도 함박웃음을 짓기 원했다.


이러한 장면도 웃음기 하나 없이 다시 암울하게 펼쳐질 시즌 2의 1화가 기다려진다. 시즌 2 공개를 앞두고, 파트 1을 다시 설치하는 기분이 참 오묘할 뿐이다.
'뉴스 센터 >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양 더챔버 화곡, 에어컨 점검하니 전선 잘라놔 (0) | 2025.04.07 |
---|---|
[리뷰 #229] 나 혼자만 레벨업 2기, 성진우 100레벨 달성 (1) | 2025.04.01 |
[리뷰 #228] 아리스 인 보더랜드, ♠♥♣◆ & AKQJ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