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4곳은 유지|그린리스트 코인 자격 유지
리스크(LSK)가 일본 암호자산 시장에서 퇴출된다. 앞서 OMG 네트워크(OMG), 스텔라루멘(XLM), 넴(NEM) 등이 일본 1종 암호자산 거래소에서 상장 폐지된 전력이 있고, 거래소 한 곳의 독자행동에 불과할 뿐이지만 지켜볼 필요는 있다.
12일 비트트레이드(옛 후오비 재팬)에 따르면 오는 12월 19일 오후 3시를 기해 JPY/LSK 거래쌍을 지운다. 단순한 거래쌍 제거가 아닌 비트트레이드가 상장 폐지, 메인넷 이전에 따라 이더리움 기반 리스크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공표한 셈이다.
앞서 리스크는 메인넷 이전 과정에서 기존 리스크 메인넷과 이더리움 기반 리스크로 재단이 양분됐다. 전자는 커뮤니티 클레이어(Klayr)가 이끌고, 후자는 새롭게 바뀐 리스크2의 개념으로 LSK2로 바뀌었다. 하지만 리스크의 코드 네임은 기존 LSK를 사용 중이며, 현재 거래 중인 리스크는 이더리움 기반 프로젝트다.
현재 리스크는 일본 암호자산 거래소 업계에서 리스크를 최초로 발굴한 비트플라이어, 비트트레이드, 바이낸스 재팬, 코인체크, 오케이코인 재팬 등이 거래 중이며, 비트트레이드가 빠지면서 거래소는 4곳으로 줄어든다. 하지만 기존 그린 리스트 코인은 자격은 유지하며, 이더리움 기반 리스크만 거래를 유지한다.
비트트레이드의 상장 폐지 사유는 일반적인 거래량 급감에 따른 수수료 급감보다 메인넷 이전에 대해 의문을 표했다. 8년 차 프로젝트 리스크가 독자 메인넷을 버리고, 이더리움 기반 프로젝트로 일종의 다운그레이드를 진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리스크 메인넷 이면에는 이더리움보다 이더리움 생태계에 종속된 옵티미즘(OP) 기반 프로젝트로 종속됐고, 이는 곧 레이어1에서 이더리움의 레이어2로 프로젝트의 확장보다 단순한 프로젝트의 수명 연장에 불과해 이전보다 프로젝트 정체성이 약해졌다는 의미로 읽힌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브렉스(MBX), NFT 사업 전열 재정비...카이아(KAIA) 거리두기 아냐 (2) | 2024.11.12 |
---|---|
넥슨 NXPC 토큰, 스캠 주의...솔라나(SOL) 기반 X (0) | 2024.11.05 |
홍콩 OSL, 코인베스트 주인 됐다...日 암호자산 시장 출사표 (1)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