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굴 강조한 블록체인 게임 퇴장, 마이닝이 게임 내 불균형 초래해 유저 급감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는 블록체인 게임이 기존 게임과 비교되는 최고의 강점이자 미래로 통하지만, 서비스를 종료한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9일 일본 게임업계에 따르면 아이들 익스플로어(Idle Explorer, アイドルエクスプローラー)가 12월 2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일본의 1세대 블록체인 게임으로 웹브라우저에서 구동했으며, 암호화폐 결제를 통한 게임 플레이가 아닌 채굴을 통해 게임 내 경제 시스템을 구성했다.

이 게임은 2018년 8월 28일에 출시해 헤카톤 케이브(Hecaton Cave)에 블록체인을 도입했다. PC나 스마트 폰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SNG처럼 사용자의 CPU 성능에 비례해 크리스탈(게임 머니)을 채굴할 수 있도록 구축했다.

일반적인 카드 RPG의 교과서 콘텐츠인 수집, 강화, 한계돌파, 덱 구성 등 채굴 요소만 없다면 기존에 서비스 중인 게임의 모습과 같다. 

개발사 스마일 메이커 측은 "PC에서 사용하지 않는 CPU의 자원을 활용해 최대 168시간까지 채굴을 진행할 수 있으며, 한 번에 9만9999개까지 획득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실제 채굴은 CPU 오버클럭 수준의 사용률을 보이며, 게임에 존재하는 CPU 파워 게이지를 1~100%까지 조정해 채굴하는 방식이다. 

아이들 익스플로어가 실패한 원인이 바로 CPU 성능에 비례한 크리스탈 수집이다. 모바일 게임의 페이투윈처럼 크리스탈 보유량에 따라 캐릭터 수집과 장비 교체 주기에 영향을 준 탓에 게임의 밸런스가 무너졌던 것.

특히 CPU 사용률이 고사양을 요구한 PC보다 높아졌고, 전기 요금과 PC에 걸리는 트래픽도 무시할 수 없었던 탓에 알트코인의 평균수명처럼 1년을 넘긴 시점에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