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거래 이슈로 요건 갖췄어도 등재 X
수이(SUI)가 비트포인트 엔화 마켓에 상장, 그린 리스트 코인 자격을 갖췄음에도 JVCEA 측은 수이를 리스트에 올리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지난달 4억 달러 규모의 내부자 거래 이슈가 발목을 잡았다며, 거부된 것으로 보고 있다.
21일 JVCEA에 따르면 수이는 오케이 코인 재팬, 바이낸스 재팬, 비트 트레이드 등에 이어 이번 비트포인트까지 총 4곳의 1종 암호자산 거래소가 취급하는 화이트 리스트 코인이다.
수이는 지난해 9월 오케이 코인 재팬이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일본 암호자산 시장에 소개한 프로젝트다. 이후 오케이 코인 재팬은 일본 바스프 업계 최초로 수이 스테이킹 상품을 선보이는 등 그린 리스트 코인 요건을 갖추기 전까지 상장 특수를 누렸다.
그린 리스트 코인은 최초로 거래를 시작한 지 6개월 이상, 3곳 이상 거래소가 취급하는 등 자격을 만족하기 위한 조건 4개를 동시에 갖춰야 한다. 나머지 조항은 JVCEA가 대외적으로 공개하지 않은 부적격 사유다.
즉 무조건 3곳 이상의 거래소가 취급한다는 이유로 그린 리스트 코인이 되지 않으며, 오케이 코인 재팬이 취급한 지 1년이 넘었어도 그린 리스트 코인 목록에 이름이 없다. 참고로 현재 그린 리스트 코인은 33개로 전체 화이트 리스트 코인(법정화폐 엔화로 구입할 수 있는 암호자산) 103개 중에서 32% 수준으로, 수이와 같은 4곳의 거래소가 취급하는 그린 리스트 코인은 헤데라(HBAR) 뿐이다.
또 파일코인(FIL), 디센트럴랜드(MANA), 오엠지 네트워크(OMG), 온톨로지(ONT), 렌더 토큰(RENDER) 등이 바스프 3곳이 취급하고 있음에도 그린 리스트 코인이다.
글로벌 암호화폐 업계에서 수이와 앱토스(APT)는 인지도와 거래량 면에서 화제의 중심이지만, 정작 일본 암호자산 시장은 화이트 리스트 코인 외에 규제에 준하는 가이드라인 탓에 연속 상장을 기대할 수 없어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처분 신청은 무슨...빗썸, 가차 없이 센트(XENT) 상장폐지 (1) | 2024.10.21 |
---|---|
블러드 크리스탈(BC), 日 암호자산 입성...위저드리 시리즈 최초 (0) | 2024.10.16 |
업비트, 트래블 룰 문구 혼선...화이트·VV만 입금 가능 (1)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