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신고 사업자(거래소, 지갑) 출금 진입장벽 ↑
업비트가 자금세탁방지(AML, Anti-Money Laundering)를 강화한다. 업계는 금융 당국이 특금법에 따라 신고하지 않은 사업자(거래소, 지갑)와 거래를 문제 삼아 이전보다 조치를 강화했다는 말이 나오지만, 두나무 측은 공식 부인했다.
6일 두나무에 따르면 업비트는 입금처가 확인되지 않은 100만 원 미만의 디지털 자산 출금을 제한한다. 이는 기존 트래블 룰이 거래 투명성 확보를 위해 100만 원 이상으로 규정했지만, 업비트의 조치는 트래블 룰과 별도로 진행되는 AML 강화 차원으로 읽힌다.
특히 특금법 시행에 따라 국내 거래소 업계에 트래블 룰이 적용된 2022년 3월 25일 이후 약 3년 만에 강화된 조치가 시행되는 셈이다. 이를 두고 관련 업계는 업비트를 시작으로 DAXA 회원사가 포함된 트래블 룰 솔루션(베리파이 바스프, 코드)을 채택한 바스프도 대응할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이미 금융 당국이 미신고 거래소 명단을 공개했지만, 이들에 대한 별도의 제재가 없어 속칭 불법 바스프와 거래한 국내 바스프의 목줄을 조이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업비트는 별도의 설명을 첨언하지 않았지만, 국내 거래소 업계는 확인되지 않은 개인지갑이 제재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유력하다. 이는 곧 포지티브 규제로 업비트가 허용한 개인지갑 ▲메타마스크 ▲카이아 ▲팬텀 ▲폴카닷 ▲케플러 등 외에는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흡사 프로젝트가 업비트에 상장하면서 지갑 연동 테스트 혹은 국외 거래소에서 업비트로 전송할 때 정찰병(최소 전송 수량)을 보내는 방식과 비슷하다. 이전부터 월렛은 바스프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스테이킹과 랜딩, 디파이 등과 서비스를 추가하면서 특금법상 신고 대상이 아니었다.
그 결과 특금법 사각지대가 발생해 지갑 사업자는 특금법 신고 대상에서 빠지면서 변칙적인 행태가 이어졌지만, 이번 조치로 업비트 내부 평가에 따라 확인되지 않은 지갑은 원천적으로 차단될 전망이다.
업비트 관계자는 "기존 AML을 강화하는 차원"이라고 짧게 말했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 구미(gumi), 아이겐레이어(EIGEN) 노드 검증 (0) | 2025.02.10 |
---|---|
바이낸스 재팬, 애니메코인(ANIME) 상장 대신 비엔비(BNB)로 대체 (0) | 2025.02.04 |
디라이즈 라스트 메모리즈, 로닌(RON) 대응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