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처럼 모바일 RPG가 위세를 떨치기 전에 조용한 흥행을 기록하던 장르가 SNG다. 그러나 예년과 달리 SNG는 몇 몇 게임을 제외하고, 개발 소식도 들리지 않는다.
업계에서 시쳇말처럼 입질이 늦게 온다는 장르의 특성도 있지만, 예전과 달리 SNG의 빈자리를 채울 수 있는 장르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바로 클리커 장르다. 기사에서는 방치형 스타일을 표방한 게임을 모두 클리커로 지칭한다.
혹자는 클리커가 SNG의 변종이나 진화한 형태라고 말한다. SNG가 후반으로 갈수록 경영과 시뮬레이션 요소가 강해지는 것에 비해 클리커는 다른 장르와 퓨전, 색다른 형태로 진화한다.
예를 들면, 게임을 접속했을 때 RPG와 액션, 디펜스 모드처럼 플레이하고, 접속을 끊으면 SNG처럼 수확이나 생산 위주로 돌아가는 플레이 패턴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현재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최고 매출을 기준으로 100위 권에 에브리타운 for Kakao와 아이러브커피 for Kakao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두 게임의 공통점은 PC 소셜 게임에서 다진 두터운 팬층을 기반으로 카카오 게임까지 영역을 확장했다는 것이다.
이 둘을 제외하고, 다른 SNG는 100위 권 밖으로 밀려난 지 오래다. 이를 두고 외부 변수로 카카오 게임의 무용론과 함께 모바일 RPG로 재편된 시장의 분위기를 꼽는다.
또 기간 대비 매출이 다른 장르에 비해 약하다는 점을 들어 시장에서 기피하는 장르로 전락했다. 그러나 단지 시장이 원하지 않았다고 기피했다면 클리커 장르의 득세는 틈새시장을 노린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분명 클리커는 SNG보다 화려하지 못하고, 게임의 수명도 상대적으로 짧다. 대신에 하나의 게임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게임을 동시에 설치, 입맛대로 플레이한다. SNG에서 등장했던 농장이나 밭의 역할을 클리커 1과 클리커 2로 대신한 셈이다.
현재 SNG의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 그저 소재만 바뀌는 화려함만 앞세웠던 비슷한 패턴이 식상하다는 것. 혹자는 모바일 RPG의 득세 탓에 SNG가 힘을 쓰지 못한다는 의견은 변명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이에 비해 클리커는 원초적인 재미에 집중했고, 불필요한 요소는 과감히 덜어냈다.
업계 일각에서는 클리커 장르가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있다. 유행에 편승한 양산형 게임이 많아졌고, 출시되는 게임의 수에 비례해서 피로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스쳐 지나가는 바람으로 그칠지 혹은 또 하나의 시장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뉴스 센터 >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RPG 테스트의 결제 이벤트, 어떤 의미입니까 (0) | 2015.08.17 |
---|---|
추억 따위로 남아 있지 않아 vs 추억 속에 가만히 있어줘 (0) | 2015.07.20 |
2015년 상반기, 서비스 종료 게임 165개 이상 (0) | 201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