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빗썸과 코인원, DAXA 공동 대응 전환
셀프 체인(SLF, 옛 프론티어)이 국내 거래소 업계에서 궁지에 몰렸다. 이미 지난달 바이낸스에서 베이커리토큰(BAKE), 아이덱스(IDEX) 등과 모니터링 종목으로 지정, 재심사가 진행된 가운데 빗썸과 코인원은 DAXA의 이름으로 공동 대응에 나섰다.
8일 빗썸, 코인원 등에 따르면 빗썸은 셀프 체인, 코인원은 프론티어로 대응해 2주에 걸쳐 재심사를 진행한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빗썸은 바이낸스와 마찬가지로 프론티어를 셀프 체인으로 변경, 이더리움 기반 토큰에서 자체 메인넷 '셀프 체인'으로 네트워크 변경까지 지원했다.

이에 비해 코인원은 2020년 11월 19일에 상장한 프론티어의 스왑 지원을 하지 않은 탓에 이전부터 '헤어질 결심'을 했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빗썸은 코인원보다 늦게 상장한 2022년 1월 16일부터 거래했음에도 프론티어에서 셀프 체인으로 변환하는 스왑을 지원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달 7일 바이낸스의 모니터링 태그 종목에 셀프 체인이 언급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이미 폴로닉스의 사례처럼 스왑 지원 없이 프론티어로 상장 폐지를 진행했으며, 빗썸과 코인원 측 모두 ▲전 CEO의 부정 거래 의혹 및 해임 ▲DAO 전환 이슈 등으로 투자 유의 종목으로 지정했다.
이를 시간순으로 정리하면 ▲6월 23일, 재단 입장문 발표 ▲7월 7일, 바이낸스 모니터링 종목 지정 ▲8월 8일, 빗썸·코인원 투자유의 종목 지정 등으로 이어진다. 또 셀프 체인의 익스플로러가 현시점에서 사실상 운영을 멈춘 탓에 재심사 기간에 가동되지 않는다면 회생 가능성은 낮아진다.

그래서 바이낸스와 HTX의 테더 마켓이 빗썸 원화 마켓의 소화 물량 20%을 유지하고 있지만, 바이낸스와 빗썸의 빠지면 다음 물량은 HTX가 흡수할 수밖에 없다. 결국 셀프 체인의 회생 여부는 바이낸스와 빗썸에서 사라진 이후 HTX의 선택에 따라 최악의 상황이 연출될 전망이다.
'상장폐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마블에프앤씨 아픈 손가락 팬시(FNCY), 게이트 상장 폐지 (2) | 2025.07.15 |
---|---|
빗썸, 레버파이(LEVER) 유통량 분탕질에 뿔났다 (0) | 2025.06.30 |
업비트 인도네시아, 피르마체인(FCT2)·모스코인(MOC) 상폐 (0)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