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ABI

97개 은행이 참여한 프로젝트 스푼타 기반 기관용 CBDC 연구




프로젝트 레오니다스는 이탈리아에서 2023년 7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한 CBDC 프로젝트다. 국내 금융기관이 민간의 성격을 앞세워 스테이블 코인에 열을 올리는 것과 달리 은행들만 참여, 핵심만 추려 연구를 진행한 프로젝트라는 점이 다르다.

특히 이탈리아는 과거 리라에서 유로로 전환, 유로존에 있는 국가임에도 CBDC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자연스럽게 자국에서 진행한 CBDC 프로젝트는 유로존 국가와 연계한 CBDC까지 고려, 국가 간 통합 CBDC 표준화를 위한 연구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프로젝트 레오니다스(Project Leonidas)
유비소프트가 출시한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의 주인공이었던 카산드라는 레오니다스의 후손이었고, 게임에서 등장한 레오니다스의 부러진 창을 기억한다면 우리가 아는 바로 레오니다스 왕이 맞다.

하지만 프로젝트 레오니다스는 정확히 Project Leonidas로 Liquidation Effective ONchaIn Dlt Asset on Spunta의 약자다. 이를 풀어서 설명하면 Spunta Banca DLT 플랫폼에서 은행 간 계좌이체, 즉 청산 과정을 온체인 방식으로 구축해 효율성을 높여 전통 금융을 DLT로 대체한다는 의미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2021년 1월 13일 '755호 : 디지털 뱅킹 혁신 어워즈 수상자의 성공전략'에 Spunta Banca DLT를 이탈리아 은행들과 블록체인 기업, 이탈리아 은행협회(ABI, Associazione Bancaria Italiana), 이탈리아 은행연구혁신센터(ABI LABS)가 구성한 블록체인 연합체라고 설명한 바 있다.

프로젝트 레오니다스 설계도 / 자료=ABI LAB

이를 쉽게 접근한다면 1980년 대에 한국은행과 시중은행이 모여 구축한 전자금융공동망을 DLT로 구현한 것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다. 그래서 프로젝트 스푼타는 DLT 플랫폼의 이름이기도 하며, 이전에 소개한 다른 국가의 CBDC 프로젝트에서 R3의 코르다(Corda)를 기반으로 구축한 DLT 플랫폼이기도 하다.

그 결과 프로젝트 레오니다스는 프로젝트 스푼타에서 구축한 'Spunta Banca DLT'를 기반으로 이탈리아 은행협회의 프라이빗 체인과 R3와 일본 IT 기업 NTT DATA가 참여, 기존 플랫폼을 17개 은행만 참여하는 기관용 CBDC 프로젝트로다.


프로젝트 스푼타 진행 프로세스 / 자료=ABI LAB

97개→17개, 테스트 기간 5개월
프로젝트 레오니다스는 프로젝트 스푼타에 비해 참여 기관도 적고, 테스트 기간도 짧다. 하지만 2017년에 개발해 2020년 10월 정식으로 출시된 프로젝트 스푼타와 달리 기관용 CBDC에 집중, 자국 내 은행 공동망 구축을 바탕으로 확장까지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스푼타는 허가받은 사업자만 참여하는 퍼미션드(Permissoned) 방식에 이탈리아 은행협회가 별도로 구축한 ABI LabChain(프라이빗 개념)을 활용했다. 제한된 환경에서 금융기관만 참여, 각종 금융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고려해 보안까지 고려한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이는 CBDC나 스테이블 코인도 해당하는 것으로 금융기관이나 사업자가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범위를 두고, 사업자와 현행법의 조율이 필요한 구간이다.

다시 돌아와서 프로젝트 레오니다스의 목적은 간단하고 명확했다. 스푼타 DLT로 기관용 CBDC를 취급, 정확히 금융기관의 청산(거래, 이체, 대금 결제)에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레오니다스는 처음부터 준비한 수행 과제가 아닌 공모전 방식에서 DLT를 기존 금융, 은행, 보험 등 다른 금융 상품까지 확대해서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 기존 프로젝트 스푼타의 확장까지 고려해야만 했다. CBDC나 스테이블 코인은 프로그래머빌리티(Programmability)를 활용, 단순 이체나 대금 결제를 성격에 따라 특정 조건(예약 이체, 자동 결제)을 만족할 수 있도록 코드를 제어할수 있다.

프로젝트 레오니다스에 참여한 R3 / 자료=R3

그래서 실증 실험 항목에서 MMORPG의 더미 데이터(Dummy data)처럼 카드 사용 정보, 접속 기록, 은행 거래 내역 등을 인위적으로 조합한 합성 데이터를 추가해 이체, 기관용 CBDC로 대금을 결제하는 과정 등을 테스트했다.

목적은 프로젝트 스푼타의 경험을 바탕으로 기관용 CBDC의 효율성 검증과 기술적인 관점에서 프로그래머빌리티로 통제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라는 점에 착안했다. 하지만 개념 증명(PoC)없이 바로 진행한 프로젝트 레오니다스는 일부 테스트 항목에서 문제점을 노출했다.

바로 프로젝트 스푼타에서 구축한 DLT 플랫폼과 기관용 CBDC 결제망을 통합하지 않고, 분리해서 운용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같은 금융 기관이지만, 사용 목적과 범위가 다르다면 네트워크를 분리해 운영해 독립성과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프로젝트 스푼타 참여 기업 일부 / 자료=ABI LAB

결정적으로 실제 데이터가 아닌 테스트를 위한 합성 데이터로 진행한 탓에 프로젝트 스푼타처럼 시중에 공개, 적용하려면 실질적인 데이터로 온전한 테스트를 진행하기 전까지 모의실험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이탈리아는 블록체인의 상위 기술 DLT를 기존 은행들이 디지털 금융으로 활용했고, 이를 토대로 기관용 CBDC까지 확장하려는 시도는 의미가 있다.

다만 금융기관과 같은 하나의 목적을 위해 뭉쳤지만, 보안과 신뢰의 상징인 금융기관도 기관용 CBDC를 위해 공증(公證)이 필요하다고 보고서에 노터리(notary)를 언급했다. 당연히 테스트 기간과 구체적인 PoC가 없는 탓에 프로젝트 레오니다스는 실험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특히 '데이터가 오염되면 결과도 오염된다'라는 IT 업계의 불문율에 따라 합성 데이터로 진행한 실험은 시뮬레이션에 불과했단 점도 프로젝트 레오니다스 이후 또 다른 실험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운영 중인 시스템과 기관용 CBDC를 통합하는 방법론 설명 / 자료=ABI LAB

업비트와 빗썸 이어 코인원도 빚투 방지 총력

결국 코인원도 코인 대여를 서비스로 추가했다. 이로써 DAXA 회원사 중에서 코빗과 고팍스만 남았다. 

회사 측은 금융 당국과 DAXA의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가이드라인에 따라 보수적으로 접근, 이른바 코인빚투 방지를 위해 안전장치를 설정했다. 실제 서비스는 지난주부터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의 코인원 앱 업데이트로 추가됐지만, 오늘(15일)이 되어서야 공식 자료를 배포했다.

이를 두고 업계는 과거 코인원이 마진거래로 고초를 겪어 이에 대해 다른 사업자와 다르게 철저하게 접근, 업비트나 빗썸보다 이슈에 휘말리지 않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비록 코인원도 하락장에서 수익 극대화를 노리는 숏이지만, 청산 리스크를 담보금 대비 88~92%로 설정해 수수료도 하루 0.05%로 산정했다. 일반적인 거래 수수료가 수수료 얼리버드와 같은 쿠폰 없이 0.2%로 책정한 것에 비해 낮지만, 고위험 상품군으로 분류해 단순히 보유하는 홀더에 비해 본격적인 트레이딩인 탓에 거래소도 이슈에 휘말리기 쉽기 때문이다.

더욱 코인원은 과거의 악몽이 재현될 수 있는 탓에 서비스 곳곳에 제약을 걸어놔 '청산 리스크'를 강조해 둔 상황이다. 반면에 과거와 달리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업자들이 약속한 조항이 많은 덕분에 일종의 연대 의식도 작용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재 거래소 업계는 특금법과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등에 의해 규제의 장막이 펼쳐졌고, 틈을 메우기 위한 제도권 정비는 진행 중이다. 그래서 법이 제정되기 전까지 기다리는 것보다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추가, 금융 당국과 조율해 예년과 달리 호흡을 맞춰가는 형국이다.

이러한 부분에서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무조건 안 돼'라는 인식보다는 '이 정도는 조심하는 게 좋겠다'라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그 결과 현물 거래 시장만 기형적으로 성장한 시장 분위기와 달리 바스프의 역할과 DAXA의 책임론까지 더해지면서 최소한의 규제를 바탕으로 육성이라는 단어가 조금씩 언급되기 시작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럼에도 과거 야만의 시대에서 하나둘씩 제도권으로 속속 진입, 가이드라인에 따라 서비스를 선보이는 현상은 긍정적이다. 코인원도 별 탈 없이 서비스를 이어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업비트 인도네시아가 9월 상장 메타를 가동했다. 지난달 27일 프로젝트 6종에 이어 9월도 오더 북 공유 방식으로 6개 프로젝트를 비트코인과 테더마켓에 상장했다.

13일 업비트 인도네시아, CFX 등에 따르면 지난 10일 ▲밸런스(EPT)-1451 ▲포르타(FORT)-450 ▲해달 프로토콜(HAEDAL)-1463 ▲라그랑주(LA)-1525 ▲무뎅(MOODENG)-770 ▲뉴턴 프로토콜(NEWT)-1509 등 프로젝트 6종을 비트코인과 테더마켓에 상장했다. 

이전부터 업비트 본진과 업비트 APAC, 특히 업비트 인도네시아는 현지 CFX 얼라이언스로 상장 동기화 주기가 빨라지고 있다. 참고로 이번에 입성한 프로젝트 6종은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상장, 빠르면 2개월 만에 업비트와 업비트 인도네시아에 거래를 시작했다.

특히 무뎅의 경우 업비트 2025년 7월 3일, 업비트 인도네시아 2025년 9월 10일로 업비트 APAC의 자카르타 프로젝트로 합류했다. 과거와 달리 인도네시아 화이트 리스트 코인이 CFX의 거래 지원 리스트로 변경, 업비트 단독 상장보다 국내외 거래소 동시 상장 메타가 빨라진 덕분에 CFX 리스트 업데이트도 빨라진 셈이다.

그 결과 업비트 인도네시아는 프로젝트 215개 / 거래쌍 313개를 보유, ▲업비트 267개 / 거래쌍 573개 ▲업비트 태국 189개 / 거래쌍 274개 등 업비트 태국을 추월했다. 업비트 태국은 밈 코인이나 거래소 코인 등 상장 제한 조건이 걸리지만, 법정 화폐 거래쌍 대신 코인마켓 거래쌍으로 대체하지만 인도네시아는 상대적으로 상장 메타가 CFX의 존재로 활성화되어 있다.

단 변수는 불안정한 인도네시아 정국에 따른 루피아 마켓(IDR) 안전성 확보다. 이미 일부 거래소는 몇몇 프로젝트를 상장 폐지하면서 루피아 거래쌍의 불안 요소를 감지, 거래쌍 중에서 루피아 마켓을 삭제해 관망 중이다.

상처가 극에 달한 순간 찾게 되는 그들의 이야기

에스콰이어 변호사를 꿈꾸는 변호사들(이하 에스콰이어). 미지의 사건을 파헤쳐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 일벌백계에 초점이 맞춰진 법정 스릴러와 결이 다른 드라마가 마무리됐다. 비록 소재는 로펌과 변호사, 법정 등으로 전형적인 법정 드라마의 공식을 따라가지만, 정작 1화부터 12화를 관통하는 주제는 '사랑의 변형'이었다.

사랑은 단순한 호감이 아닌 문자나 숫자로 정의할 수 없는 고결한 감정으로 에스콰이어는 이에 대한 성찰과 담론을 앞세운 이야기를 배우들의 대사로 풀어냈다. 가족과 연인, 부부와 자식 간의 사랑에 대해 접근하는 방식이 특이했다. 

가해자의 범죄나 행위에 대해 단순한 벌보다는 억울함을 호소하는 이들의 시선에 맞춰 극을 전개, 특히 데이트 폭력이나 음주 운전, 동물 학대 등 공분을 일으킬 수 있는 각종 사건 사고를 감정보다 법과 감성을 풀어낸 점이 눈에 들어왔다. 드라마의 시놉시스처럼 법적 대응이나 소송은 어디까지나 최후의 수단일 뿐 최종 병기처럼 모든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만능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윤석훈(배우 이진욱), 강효민(배우 정채연), 이진우(배우 이학주), 허민정(배우 전혜빈) 등이 소속된 율림을 배경으로 송무팀이 맡게 되는 각종 의뢰를 바탕으로 극이 진행된다. 

윤석훈부터 냉철함과 정의의 상징으로 부각되지만, 실상은 자신이 생각하는 정의의 다름과 어른과 조언이 필요한 이들에게 '정의'에 대해 탐구를 요구, 책과 말로 떠드는 정의보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메울 수 있도록 아낌없는 조언하는 캐릭터다. 자신도 부부 생활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고 탓에 자식과 반려동물 등에 대해 금기처럼 대하면서도 정작 누구보다 냉철하게 대처하는 양면성을 지녔다. 

또 쌍둥이 자매로 분한 강효민은 강효민 씨에서 강효민 변호사로 불리는 순간부터 빌드업을 시작하는 캐릭터다. 단순한 선배에 대한 동경보다는 자신이 생각하는 변호에 대해 항상 확신하지만 한편으로는 의문을 가진 노력형 변호사로 거듭난다. 

특히 일부 회차에서 장애가 있는 이들의 변호를 진행하면서 공감대를 강력한 무기로 활용하지만 가끔은 덤벙대는 모습을 노출, 극의 또 다른 중심에서 에스콰이어를 완성하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이 작품의 주제는 사랑의 다채로움에 대해 탐구하는 고민을 거듭해 '사랑이 뭘까요?'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래서 사랑이 식는다는 표현을 사랑이라는 감정이 소진되는 과정에서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이들의 모습을 에피소드처럼 풀어냈다. 

다만 윤석훈과 강효민이 보여주는 일련의 과정이 극 전개에 필요한 상사에 대한 호감보다 연인처럼 변해가는 풋사랑처럼 비친 게 아쉽다.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kr/title/82065691

 

에스콰이어: 변호사를 꿈꾸는 변호사들 | 넷플릭스

국내 굴지의 로펌에 입사한 정의감 넘치는 신입 변호사. 냉정하고 까칠한 상사 밑에서 복잡한 법조계를 헤쳐 나간다.

www.netflix.com

 

펄어비스의 붉은사막 출시 연기를 두고 쏟아진 증권가 리포트는 냉혹했다. 앞서 검은사막으로 원 히트 원더로 강한 신예가 또 다른 사막으로 연기를 거듭하자 미래에셋증권은 '양치기 소년의 말로는 어땠나?'라는 리포트를 냈다.

다만 출시 연기에 따른 성장 동력 실종이나 불투명한 미래라는 표현보다 '붉은사막 출시 연기 타임라인'까지 정리, 여섯 번의 연기는 사실과 사뭇 달라 시장의 혼선을 부추긴다.

시쳇말로 중립이 '그래서 던지라는 거야? 아니면 숏 치라는 거야?'라는 분명하지 않은 태도도 그렇고, 면책조항으로 최종 책임은 투자자의 판단에 달려있다는 설명도 납득할 수는 있다. 하지만 연기라는 C레벨의 정확한 단어 선택이 아니라면 자의적인 해석으로 6회라 칭한 것은 유감이다.

펄어비스는 미래도 답이 없다는 말이 하고 싶었다면 '매도' 단 두 글자면 상황은 정리된다. 6번이 양치기 소년이면 7번이면 망조가 들어 가망이 없는 회사라고 칭할텐가. 속칭 저점 매수를 통한 줍줍, 호재를 예측해 롱잡기나 떨궈서 수익내는 숏이나 어차피 사팔사팔이다.

물론 양치기 소년으로 지칭, 정신차리라는 비판이라면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표현이다. 워낙 고점에 물린 이들이 많고, 그동안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일련의 이벤트가 존재했기 때문이다. 

특히 공감대 형성을 위한 미래에셋증권의 명지적견(明智的見)이라면 이 또한 이해한다. 그래도 숫자는 정확해야 한다. 적어도 코인판에서 숫자 가지고 장난치는 순간 졸지에 스캠으로 분류되는 건 일순간이다. 잘못된 자료를 정보로 둔갑시켜 의견을 낸다면 한 번 더 살펴볼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앞선다.

게임업계는 아껴서 X된 게임으로 액토즈소프트의 라제스카, 위메이드의 이카루스를 거론한다. 전자는 출시 전에 엎어졌고, 후자는 10년이 걸려서 출시는 했다. 붉은사막을 라제스카와 비교한다면 개발팀의 생존(?)은 확인할 수 있고, 이카루스와 비교한다면 아직 4년 남았다.

회사 측이 밝힌 2026년 1분기 출시를 '2026년 3월 31일'까지로 좁히면 딱 그때까지다. 다만 출시 이후에 집계될 흥행 지표에 따라 뚝심과 대기만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반대라면 어느 때보다 혹평 폭격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다만 모든 게임은 출시 전까지 기대작으로 분류되고, 9년 전 서든어택2 출시를 앞두고 떠돌았던 문구가 희대의 망언과 명언으로 평이 엇갈리는 것처럼 펄어비스와 붉은사막의 평가는 출시 이후 평해도 늦지 않다.

펄어비스는 까도 내가 깐다.



마약판을 설계하는 강수, 더 높은 곳에 오르려는 관희

비트코인으로 재미를 봤던 야당의 이강수가 84제곱미터의 노우성으로 알트코인의 쓴맛을 봤다. 개봉일 기준으로 넷플릭스 영화 84제곱미터보다 먼저 극장의 관객을 만났던 영화 야당이 넷플릭스에 공개됐다.

설계자 이강수(배우 강하늘), 신분 상승을 노리는 구관희 검사(배우 유해진), 옥황상제 마수대 2팀장 오상재(배우 박해준), 마약 스캔들로 배우의 생명을 다한 엄수진(배우 채원빈)이 유통업에 종사하는 장어집 사장 김학남(배우 김금순), 경쟁 유통업자 염 사장(배우 유성주), 슈퍼맨 조훈(배우 류경수)과 맞물려 선과 악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이들의 암투가 주류를 이루는 범죄 영화다.

그래서 등장하는 배역 중에서 악당의 기질을 가진 이들이 대부분이지만, 상대적으로 선(善)으로 투영된 옥황상제 오상재 팀장을 제외하면 절대적인 선악은 없다. 오히려 오 팀장조차 엄수진을 앞세워 범죄 현장을 급습, 일망타진을 노렸던 탓에 일말의 죄책감을 보여주는 게 전부다.

시작부터 동업자(?) 정신이 약한 이강수의 생기발랄한 탄산음료 두 병으로 이야기를 시작, 오 팀장과 수갑을 반띵하는 강수의 마지막 액션(?)까지 쉼 없이 달린다. 

마약 투약 혐의로 당한 이강수와 구관희의 만남부터 단순한 형과 동생 사이가 아닌 비즈니스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관계로 설정, 의기투합해 각자의 목적을 달성했던 이들에게 복선이 깔린다.

강수가 서 검사에게 건네준 금색 라이터가 결국 이들의 악연을 불태우는 장치로 활용, 극 후반부에 갈등의 최고점에서 모든 것을 정리하는 '원툴'로 등장한다. 그래서 이를 두고 강수의 순애보는 서 검사가 추구하는 순수한 악에 의해 무참히 짓밟힌다. 

어찌 보면 형이라 생각했던 존재가 자신의 생명을 위협하는 존재로 그 이전에 철저히 이용만 당했던 터라 중간에 잠시 개연성이 사라질 뻔했지만, 대통령 후보자의 아들 조훈의 등장으로 이들의 관계 설정이 바뀌게 된다. 디딤돌과 뒷배로 맺어진 관계인 탓에 먹이사슬의 정점에서 서 검사의 고민도 충분히 공감이 간다.

그 흔한 라인없는 변방에서 오로지 대서특필되는 굵직한 사건들로 포장해서 올라왔지만, 언젠가 틀어질 관계라는 것을 알고 있었던 터라 이강수와 염 사장의 존재는 불쏘시개로 수명을 다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버려지고, 이용만 당하고, 누명을 쓴 이들이 하나의 앵글에서 서 검사와 조훈을 잡겠다는 목표가 설정, 최후의 한방을 준비해 엉킨 실타래를 풀어가면서 마지막에 웃는 이들이 씁쓸한 승자로 남으면서 막을 내린다. 따지고 보면 살아남은 이강수보다 원래 업을 이어가는 오 팀장이 진정한 승자다.

배우들의 열연과 적당한 러닝 타임 내내 쉴 새 없이 몰아치는 이벤트와 마지막 생중계로 마무리, 아직 극장에서 보지 못했다면 OTT로 감상하기에 제격인 작품이었다.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kr/title/82103699

쿠팡플레이
coupangplay.app.link/ghHS85kDqUb

 

야당 | 넷플릭스

억울하게 교도소에 수감된 청년. 누명을 벗고자 야심 가득한 검사의 정보원이 되기로 한 그가 마약 밀매의 세계에 발을 들인다.

www.netflix.com

 

글로벌 거래소 레이어2 운용 동참

업비트의 기와체인(GIWA Chain)을 공개, 국내외 거래소 업계의 레이어2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 일반적인 암호화폐의 입출금 네트워크를 사업자가 직접 개발, 원활한 입출금과 오입금 전송 방지 등의 강점을 부각해 서비스 품질을 올리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10일 거래소 업계에 따르면 ▲오케이엑스-엑스 레이어 ▲코인베이스-베이스 ▲크라켄-잉크 등이 바스프가 운용하는 레이어2 솔루션이다. 이전부터 국내외 암호화폐 업계는 레이어2를 '레이어2 스케일링 솔루션'으로 접근, 이더리움 생태계 결속과 연결을 위한 사이드 체인이나 서비스 체인의 성격이 강했다.

업비트는 빗썸이나 코인원과 달리 멀티체인 입출금 R/D를 2023년에 완료했음에도 지원하는 프로젝트가 한정, 멀티체인 지원 프로젝트 라인업 추가를 지적받은 바 있다. 대표적으로 비앤비나 BSC를 지원하지 않아 특정 프로젝트 상장이 원천 차단, 이 또한 거래 지원 종목 다변화의 발목을 붙잡았다.

하지만 기와체인의 등장으로 상황은 바뀔 전망이다. 우선 EVM 지원을 필두로 이더리움 생태계와 호환, 향후 기와체인의 기능 추가와 개선 등으로 멀티체인과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해 기반을 다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일각에서는 업비트가 레이어2 경쟁에 참여함에 따라 빗썸도 레이어2 공개가 임박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됐지만, 빗썸 측은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빗썸 관계자는 "(거래소가 자체 개발한) 레이어2 개발 일정이 공개 시점에 대해서는 확인해보겠다"라고 갈음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