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더리움 머지 이후 파벌전에서 밀려 ETC와 다른 노선



이더리움 페어가 코드 네임을 ETHF(Ethereum Fair)에서 디스 체인(DIS)으로 변경한다. 이미 상장된 거래소는 입출금 중단 이후 리브랜딩을 거쳐 거래를 재개했으며, 앞으로 이더리움 페어 대신 디스 체인이라는 새로운 이름과 거래쌍으로 갈아탄다.

27일 이더리움 페어 재단에 따르면 비트마트와 HTX(옛 후오비)는 거래쌍의 코드네임을 변경했으며, 앞서 상장된 게이트아이오, 멕스씨(MEXC), 비트겟, 비트루 등도 뒤를 따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9월 6일 이더리움은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으로 전환되는 머지(Merge) 업그레이드가 진행됐다. 그 결과 증명하는 방식이 바뀐 탓에 구형 이더리움 이더리움피오더블유(ETHW)와 신형 이더리움포스(ETHS)로 파벌이 갈렸다.

머지 이후 PoS로 노선이 바뀐 이더리움은 혼선을 막기 위해 국내외 거래소 업계는 코드 네임을 ETHS 대신 기존 ETH로 사용하기로 합의한다. 이때 국내 5곳 협의체인 DAXA가 특정 프로젝트 하드포크에 따른 에어드랍 지원여부에 개입, 당시 이더리움피오더블유와 이더리움 페어 중에서 DAXA는 이더리움 페어 에어드랍만 지원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멕스씨(MEXC)에서 거래 중인 이더리움 페어 / 자료=멕스씨

즉 정리하면 머지 업그레이드 이후 이더리움 홀더를 대상으로 ETHW와 ETHF 등 2종의 에어드랍 토큰을 지급받았다. 자연스럽게 이더리움은 ETHW와 ETHF의 상위 개념으로 자리잡았고, 나머지는 머지 업그레이드 부산물로 취급받으면서 일부 거래소 상장 외에는 존재감이 없었다.

비트코인이 하드포크를 거쳐 비트코인캐시와 비트코인에스브이 등으로 분파가 나뉜 것처럼 이더리움도 마찬가지였던 것. 그럼에도 이더리움 클래식이 이더리움의 회귀를 노렸던 파벌로 잡은 것에 비해 이더리움 페어는 채굴노조가 주창하는 과거의 전유물로 전락, 생태계 병합으로 도약을 노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참고로 이더리움피오더블유는 50개 이상의 거래소에 상장된 것에 비해 이더리움 페어는 5개에 불과하며, 이 중에서 의미 있는 거래물량을 기록 중인 거래소는 게이트 아이오, 비트겟, 멕스씨 등에 불과하다. 

2023년 막바지에 디스체인으로 이름을 바꾼 이더리움 페어, 이더리움이 PoS로 갈아탄 게 그렇게 싫었는지 디스(dis)의 의미가 남다르게 다가온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