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주소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을 통한 소유권 분쟁 예고




패션 테크 기업 크로키닷컴이 운영하는 '지그재그'의 일부 도메인 주소가 암호화폐 거래소 '프로비트'로 연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디지털 알박기 혹은 도메인 알박기로 특정 제품, 브랜드, 기업 등의 도메인을 자사의 사이트로 연결, 다른 사이트를 랜딩 페이지로 활용 중인 것으로 <본지> 확인 결과 밝혀졌다.

29일 크로키닷컴, 오션스 등에 따르면 지그재그의 원래 주소 'https://zigzag.kr' 대신 'http://zigzag.co.kr'를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하면 프로비트로 연결된다.

크로키닷컴의 지그재그는 상대적으로 PC보다 스마트폰의 앱에 기반을 둔 사업체로 지난해 6천억 원 이상의 거래액을 달성한 패션앱으로 암호화폐 거래소 사업 진출 소문이나 관련 기사도 없다. 

크로키닷컴 관계자는 "해당 문제를 확인해보겠다"라고 말했다.

프로비트는 코인마켓캡 기준 하루 거래량 420억 원 규모의 중급 거래소로 343개의 거래쌍으로 비트코인을 비롯한 다양한 알트코인을 취급하고 있다.

지그재그와 프로비트의 연관성에 대해 크로키닷컴 측은 프로비트의 운영사 오션스와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다.

현 상황에서 크로키닷컴에 따르면 지그재그의 인지도에 편승한 프로비트의 도메인 '알박기' 의혹이 강해진다. 4년 전 라인(LINE) 도메인을 두고 법정 공방을 벌였던 라인 주식회사와 모 건설업체의 선례와 비교할 때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인터넷주소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조정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사안은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이하 인터넷주소법) 12조 '부정한 목적의 도메인 이름 등의 등록 금지'에 해당해 크로키닷컴과 오션스의 원활한 합의가 아니라면 법정 공방도 예상된다.

인터넷주소법 12조에 따르면 ①누구든지 정당한 권원이 있는 자의 도메인 이름등의 등록을 방해하거나 정당한 권원이 있는 자로부터 부당한 이득을 얻는 등 부정한 목적으로 도메인 이름 등을 등록·보유 또는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② 정당한 권원이 있는 자는 제1항을 위반하여 도메인 이름 등을 등록·보유 또는 사용한 자가 있으면 법원에 그 도
메인 이름 등의 등록말소 또는 등록 이전을 청구할 수 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프로비트의 의도다. 지그재그의 인지도에 편승해 거래소 홍보와 회원 가입 등의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했는지 여부다.

지그재그의 정상 주소인 'zigzag.kr'는 등록인이 윤상민으로 확인됐으며, 책임자는 크로키닷컴이다. <본지>가 크로키닷컴에 확인 결과 등록자는 지그재그의 공동 창업자 윤상민 CTO로 확인됐다.

<본지>가 프로비트로 연결되는 'zigzag.co.kr'의 정보를 확인했더니 오픈젠㈜이라는 회사가 등록인으로 책임자는 우상철로 확인됐으며, 최초 도메인 등록일은 1997년 8월 5일이다. 또 지난해 10월 8일에 변경한 이후 도메인 사용 만료는 올해 10월 15일로 도메인 1년 사용 비용을 갱신한 것으로 추정된다.

잡코리아의 기업정보에 따르면 오픈젠㈜은 메일서버, DNS서비스, 웹하드 서비스 등 웹기반 앱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회사다. 오픈젠과 오션스의 연결고리는 DNS 서비스 사업을 진행 중인 디앤에스에버(주)의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우상철로 프로비트의 운영사 오션스의 공동 창업자 우상철 CTO와 이름이 같다.

특히 디앤에스에버(주)는 프로비트(https://www.probit.kr)의 도메인 등록과 책임자로 되어 있다.

프로비트의 백서에 따르면 '우상철CTO는 프로비트의 기술 개발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프로비트를 창업하기 전에는 리눅스 인터내셔널㈜(Linux InternationalInc.), 디앤에스에버㈜의 창업자이자 CEO로 재직하였습니다'라는 문구를 팀 소개 페이지에서 확인했다.

정리하면 프로비트 운영사 오션스-디엔에스에버㈜-오픈젠에 공통적으로 언급된 인물이 우상철 CTO다. 또 지그재그(http://zigzag.co.kr)와 프로비트의 도메인 등록자의 이메일 주소가 <sangcheolwoo@gmail.com>로 같다. 

<본지>는 프로비트에 사실관계를 요청하니 "메일 주소를 알려줄 테니 이메일로 정리해서 보내달라"는 답변이 왔다. 이에 프로비트에 도메인 소유주와 사용 의도 등을 정리해서 서면으로 발송했으며, 공식 답변이 오는 즉시 추가 취재를 이어갈 예정이다.

넷플릭스 울트라맨 시즌 2 공개 전후로 출시 예상


모바일 RPG '갓오브하이스쿨' 개발진이 의기투합해 개발 중인 울트라맨 비 울트라(ULTRAMAN: BE ULTRA)가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27일 다야몬즈, 쓰부라야 프로덕션 등에 따르면 4월 27일~30일 중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미 iOS와 안드로이드 버전의 사전 등록과 사전 다운로드를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30만 명을 돌파했다.

다야몬즈는 과거 와이디온라인에서 서비스했던 모바일 RPG '갓오브하이스쿨'의 김동균 총괄 PD가 주축이 된 설립된 개발사로 두 번의 시리즈 A와 시리즈 B로 32억 원의 투자를 받아 주목을 받고 있다.

쓰부라야 프로덕션 측도 지난주 보도자료에 4월 27일~30일 중으로 출시될 예정이라고 표기했을 뿐 정식 출시일은 언급하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울트라맨 제작위원회가 넷플릭스의 울트라맨 시즌2 개봉과 맞춰 모바일 게임을 함께 공개하거나 시간 차

를 두고 출시할 것이라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 오는 29일부터 내달 6일까지 일본 골든위크를 앞두고 28일과 29일에 출시될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쓰부라야 프로덕션 관계자는 "오늘(27일) 사전 다운로드 중에 iOS 버전의 서버가 잠시 열렸지만, 정식으로 출시된 것은 아니다"라며 "정식 버전은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심사가 끝나면 공식으로 안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원본(상)과 변형된 CI(하)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 교묘하게 원본 CI를 변형한 파일 노출


파이널 판타지 7 리메이크(FINAL FANTASY VII REMAKE)로 JRPG 명가를 재입증한 스퀘어에닉스의 CI가 '일간베스트저장소(일베)'의 이미지로 변형된 파일이 구글에서 유포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27일 구글에 따르면 '스퀘어에닉스 CI'라는 단어로 이미지 검색 결과 첫 번째 이미지는 일베 회원이 인위적으로 변형한 이미지다. 특히 2015년에 등록된 이미지가 여전히 구글에서 검색되고 있다.

앞서 스퀘어에닉스 이전에도 국내 게임업체를 포함해 기업이나 학교, 은행의 로고가 버젓이 노출돼 이를 인지하지 못해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 바 있다.

CI를 자세히 살펴보면 'SQUARE ENIX'가 'SOㅂARE ENIX'로 알파벳의 QU가 ㅇㅂ로 변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내 IT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법률 정보 고객센터를 통해 '법적 삭제 요청'을 신청하면 차단, 제거, 제한할지 판단한다. 그보다 앞서 법적 요청서를 보내기 전 구글 콘텐츠 팀이 검토할 수 있도록 게시물, 이미지,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우선 신고해야 한다. 

<본지>는 스퀘어에닉스에 해당 이슈를 공유했으며, 스퀘어에닉스 측도 후속 대책을 마련 중이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스퀘어에닉스 관계자는 "담당 부서에 보고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캠페인 취지는 충분히 공감, 이를 진행하는 WHO의 반감 커




#1 이전에 게임을 질병으로 규정한 기관에서 진행하는 캠페인의 취지는 좋지만, 내부에서 공감보다 반감이 크다.

# 2 국내도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한창 진행 중이고, 인게임 이벤트로 레벨업과 경험치 상승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어 별도의 이벤트 참여 계획은 없다.

# 3 5월 초 연휴에 맞춰 게임 내 이벤트를 진행할 계획이라서 PlayApartTogether 캠페인에 동참하지 않고도 충분히 자체 이벤트로 국내 캠페인에 참여할 수 있다고 본다.

위의 이야기는 WHO(세계보건기구)의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PlayApartTogether'에 참여 의사를 묻는 말에 업계 관계자들의 대답이다.

26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펄어비스와 넷마블이 일본에서 진행 중인 #PlayApartTogether 캠페인에 참여 의사를 밝혔다. 이들은 현지 법인의 재량에 따라 캠페인에 참여했으며, 본사와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현재 일본은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확진자 수를 넘어서며 긴급사태 선언으로 현지 게임업계가 5월 8일까지 재택근무로 전환된 상황이다. 특히 현지 게임업체도 확진자가 발생해 업데이트와 이벤트, 출시 연기 등 정상적인 서비스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는 상대적으로 나은 상황이지만, 정작 글로벌 게임업계가 참여한 #PlayApartTogether 캠페인 참여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국내 게임업체는 없다.

국내에서 서비스 중인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PlayApartTogether' 특설 페이지를 확인해보니 넷마블 자회사 잼시티를 제외하고, 모두 해외 게임업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익명을 요구한 게임업체 관계자는 "언제는 질병으로 몰아세우더니 본인들이 궁지에 몰리니까 게임업계에 참여를 유도하는 행태에 공감할 수 없다"며 "굳이 WHO에서 진행하는 캠페인이 아니더라도 독자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이벤트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게임업체 관계자는 "캠페인은 공감하지만, 이를 진행하는 WHO의 반감이 크다. 내부에서도 캠페인 참여를 공유했지만,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없다는 의견이 돌아왔다"고 말했다.

 

일본 유수 게임업체와 함께 현지 캠페인 참여 눈길


펄어비스의 일본 법인 '펄어비스 재팬'이 WHO(세계보건기구)의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PlayApartTogether'에 참여한다. 이는 국내 게임업체 최초로 현지 법인이 일본에서 참여한 사례다.

23일 펄어비스 재팬에 따르면 오는 28일부터 검은사막 모바일(현지 서비스 이름, 黒い砂漠MOBILE)에서 경험치/ 아이템 드랍률 600% 효과가 적용된 이벤트를 5월 11일까지 진행한다.

지난 9일 일본에서 진행 중인 #PlayApartTogether 캠페인의 특설 사이트가 공개됐으며, 펄어비스도 참가업체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게임업계가 몇몇 개발사의 이벤트 형식으로 진행되는 것과 개발사부터 미디어, 구단까지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현재 펄어비스 재팬을 비롯해 ▲요스타 ▲포케라보 ▲펀플렉스 ▲라이트 플라이어 스튜디오(Wright Flyer Studios) ▲구미(gumi) ▲에이팀 ▲아카츠키 ▲XFLAG ▲KLab ▲미러티브(Mirrativ) ▲GREE ▲Gecipe ▲AppBank ▲스튜디오 Z ▲NTT 링크스 ▲ X-LEGEND 재팬 ▲TEAM iXA ▲슈퍼셀 ▲Game8 ▲appget ▲gamewith 등 게임 개발사부터 퍼블리셔, 게임 구단, 게임 미디어까지 다양하게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서 사업을 철수한 모바일 생방송 앱 '미러티브'가 조직위원회의 사무국으로 나서 구글독스로 참가 신청과 지침 초안을 제시, 체계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펄어비스 관계자는 "MMO 장르를 통해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는 커뮤니케이션의 가치를 가장 중시하고 있다. 물리적으로 거리가 있어도 힘든 시기지만 손을 잡고 함께 극복하자"라고 전했다.

한편 #PlayApartTogether는 WHO가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달 30일 18곳의 게임업체와 시작한 해시태그 형식으로 진행하는 캠페인이다.

자회사 시즈 통해 의료진 페이스실드, 4월 말부터 생산


일본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2253명으로 한국(1만694명)을 넘어서면서 마스크 대란을 겪고 가운데 현지는 업종을 초월한 마스크 생산을 시작했다. 이미 파나소닉과 샤프, 도요타까지 마스크 생산에 뛰어들었으며, 완구를 만들던 반다이도 동참한다.

이미 반다이남코 그룹은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연대 대응 기금에 1억 엔을 기부했으며, 자회사를 통한 의료진 마스크 생산까지 나선 것.

22일 반다이에 따르면 자회사 시즈(seeds)가 4월 말부터 의료 현장 지원을 위한 페이스실드 생산을 시작한다. 

시즈는 자본금 1억 엔 규모의 반다이남코 그룹의 자회사다. 1994년 반다이남코 그룹의 장난감 가공 담당 부서로 출발해 금형을 제작, 단순 가공에서 상품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반다이, 반다이 스피리츠 등과 함께 그룹 내 장난감·취미 사업 유닛이다.

현재 반다이남코 그룹과 협업을 통해 의료기기와 가전제품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사출 성형, 정밀 금형 등의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 마스크 생산은 의료기관의 요청으로 현장 지원을 위한 의료진 페이스실드부터 생산한다. 시즈는 열쇠고리형 심폐 소생 음성 유도 장치와 채혈이 필요없는 헤모글로빈 측정 장비를 OEM으로 납품해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반다이 관계자는 "앞으로 의료 현장의 요청에 따라 생산과 일부 판매를 검토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직원 건강과 안전 유념해 업무 효율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2차 실험




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 개학, 언택트 마케팅, 집콕 등 일상이 바뀐 가운데 게임업계는 재택근무에 이어 주 5일제를 대체할 수 있는 주 2·3·4일 근무 실험을 진행한다.

17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 주 4일제 근무(1일 유급휴가) ▲넷마블, 주 3일 출근·2일 재택근무 ▲NHN, 주2일(월/목) 자율출근 등을 4월 한 달간 시행한다.

한때 워라밸에 반하는 크런치 모드로 오명을 썼던 게임업계는 어느 때보다 '업무 성과'에 초점이 맞춰진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것.

A 개발사 대표는 "재택근무를 진행하고 있지만, 오히려 업무 강도는 쎈 편이다"라며 "카톡이나 전화, 화상 회의 등을 진행하면서 공동의 퀘스트를 해결하는 것처럼 소통이 이전보다 활발하다"고 말했다.

지난 2월 말부터 직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재택근무를 시행했지만, 업무의 정상화보다 성과와 효율에 맞춰진 두 번째 실험을 시작했다.

엔씨소프트는 지난 2일부터 모든 직원(4,000여 명)에게 매주 1일(총 4일)의 특별 유급 휴가를 부여하고, 순환 재택근무와 주 4일제 근무를 도입했다.

넷마블은 오늘(17일)부터 직원들은 각자의 상황에 맞춰 3일은 출근하고, 2일은 재택근무로 전환한다. NHN은 최소한의 협업을 위한 주2일(월/목) 자율출근을 유지한다.

365일 24시간 서비스하는 게임의 특성상 항시 대기할 수밖에 없는 업무 환경과 맞물려 일부 게임업체는 재택근무를 진행하면서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한 방책까지 병행했다.

부득이하게 출근하는 직원들을 위해 ▲사내 다중시설 이용제한 ▲공용공간 수시방역 ▲1층 출입구 열화상 카메라 운영 ▲엘리베이터 탑승인원 조정운영 ▲마스크 제공 및 손소독제 비치 등 예방 체계를 구축했다.

B 업체 인사팀 관계자는 "자율성이 생산성까지 담보할 수 있는지 재택, 선택, 자율 출근 등을 병행하면서 측정을 하고 있다"며 "중간 관리자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만큼 회사의 시스템과 관리자의 재량으로 이전보다 효율이 높아졌다고 말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PC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의 운영 노하우가 출근의 유연함에 반영됐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매번 운영의 묘를 강조했던 게임업체가 직원들과 함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탄력적으로 회사를 운영하는 셈이다.


'크립토 스펠' 개발사 크립토게임즈가 블록체인 TCG로 개발


일본 블록체인 게임업계가 IP를 활용한 게임 개발에 나서고 있다. 블록체인 게임으로 태어난 비너스 스크램블, 브레이브 프론티어에 이어 글로벌 누적 다운로드 1200만 돌파에 빛나는 엘리멘탈 스토리도 블록체인 게임으로 영역을 확장한다.

16일 크립토게임즈, 스튜디오 Z 등에 따르면 크립토게임즈는 스튜디오 Z가 서비스하는 엘리멘탈 스토리(현지 서비스 이름, エレメンタルストーリー)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TCG를 개발한다.

크립토게임즈는 블록체인 TCG '크립토스펠' 개발사로 더블점프도쿄가 운영하는 블록체인 게임 지원 프로그램 'MCH+' 1호 게임이다. 브레이브 프론티어 히어로즈에 자리를 내주기 전까지 2019년 6월 25일에 출시해 2주 동안 거래량 900ETH(이더리움)를 돌파해 일본 블록체인 게임 1위로 올라선 바 있다.

앞서 크립토게임즈는 PC용 TCG 노바 블리츠의 권리를 개발사인 '드래곤 파운드리'로부터 양수받아 개발 중이다. 드래곤 파운드리는 매직더개더링 디자이너 '리차드 가필드'가 감수한 노바 블리츠(Novablitz) 개발사이자 매직더개더링 前 개발진들이 모여 설립한 개발사다.

이번 엘리멘탈 스토리도 노바 블리츠처럼 사업권을 양수받아 개발하는 사례다. 이미 서비스 중인 '크립토스펠'로 다져진 블록체인 TCG의 노하우를 엘리멘탈 스토리 기반의 신작에 반영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엘리멘탈 스토리는 크루즈의 자회사 스튜디오 Z가 개발한 모바일 퍼즐 게임으로 2015년 6월 1일에 출시된 이후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크루즈는 2015년 한국 법인 '크루즈 코리아' 정리 전까지 업고업고 for Kakao, 좌우무쌍, 몬스터 에그 아일랜드를 출시, 국내 시장에 진출한 경험이 있는 회사다.

게임 출시와 업데이트 연기로 실적 약화 우려, 게임 심의도 멈춰


일본 코로나19 확진자가 8,500명에 육박했다(4월 14일 오후 7시 기준). 이미 일본 도쿄도는 신규 확진자가 2,319명까지 증가해 현지 게임업계도 영향권에 접어들며,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14일 일본 게임업계에 따르면 코지마 프로덕션, 캡콤, 믹시, 마이넷, 스퀘어에닉스,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라인 주식회사 등이 확진자가 발생, 일부 사무실을 폐쇄했다.

특히 대부분 본사가 도쿄에 위치해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5월 6일까지 재택근무로 전환하고, 사무실을 폐쇄해 관계 당국의 지침에 따라 방역 조치를 진행하는 등 직원들의 안전과 건강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현지 게임업계는 지난 2월 21일 요코하마 항에 정박 중인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집단 확진자가 하선하기 전부터 재택근무로 전환한 바 있다.

특히 3월 고이케 유리코 도쿄 도지사가 '도쿄 봉쇄령'을 언급하고, 지난 7일 아베 총리가 도쿄도, 오사카부, 가나가와·사이타마·지바·효고·후쿠오카현 7개 도·부·현을 대상으로 5월 6일까지 봉쇄하는 긴급 사태 선언 전후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것.

이에 따라 일본에 법인을 운영하는 국내 게임업체들도 현지 관계 당국의 지침에 따라 5월 6일까지 재택근무를 병행한다.

국내 게임업계에 따르면 넷마블 재팬, 엔씨소프트 재팬, 넥슨, 펄어비스 재팬, 스테어즈, 시프트업, 하이브(베스파 일본 법인), 게임온, 게임빌 컴투스 재팬 등이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있다.

펄어비스 관계자는 "지난달 30일부터 재택근무를 시행 중이며, 현 상황에 따라 재택근무와 순환 근무를 고려 중이다"라며 "도쿄 내 사재기가 시작되어 마스크와 화장지 등 수급이 쉽지 않은 점을 고려해 재택 기간에도 사용할 수 있게끔 전 직원에게 마스크 10일 치 분량과 손 소독제, 소독 시트 등을 마련해 제공했다"고 말했다.

지난 11일 직원 1명 코로나19 양성 반응, 건물 폐쇄는 안해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현지 게임업계도 서서히 타격을 받고 있다. 코지마 프로덕션과 캡콤, 스퀘어에닉스에 이어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이하 SIE)도 확진자가 발생했다.

13일 SIE에 따르면 남성 직원 1명이 코로나19 확진자로 판정됐다. 회사 측은 직원이 근무한 사무실을 폐쇄하고, 관할 당국의 지침에 따라 방역 조치를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SIE는 코로나19확산으로 물류가 마비될 것으로 예상해 라스트오브어스 파트2와 마블 아이언맨 VR의 출시를 연기한 바 있다.

SIE 측은 지난 1일 해당 직원이 미열 증상으로 집에서 자가 격리 중이었지만, 9일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검사를 실시해 11일에 양성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1월부터 SIE는 코로나19 확산 방지 대책으로 해외여행 금지, 출퇴근 시간 조절, 재택 근무 도입 등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해당 직원은 양성 판정 전부터 출근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SIE 관계자는 "회사 내 확산 억제와 직원과 협력사의 안전과 건강 확보를 최우선으로 정부 방침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 방침을 결정하고 실행하겠다"라고 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