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jpg

모바캐스트의 드래곤 스핀 Z가 1월 29일에 서비스를 종료한다. 이로써 2014년 12월 3일에 출시한 이후 약 1년 1개월(423일) 만에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

드래곤 스핀 Z는 신과 인간 그리고 몬스터가 공존하는 판타지 세계관을 배경으로 450개 이상의 다양한 슬롯몬 캐릭터가 등장하며, 다양한 슬롯몬의 능력을 고려한 팀편성과 세계 최초로 구현된 릴 인(real in)방식의 스핀 배틀 전투를 강조했던 작품이다.

이번 서비스 종료는 국내가 2015년 12월 16일에 일본은 2016년 1월 29일로 한일 양국에서 서비스를 종료한 사례로 남을 전망이다. 이미 신규 다운로드와 인앱 결제는 차단됐으며, 2월 29일까지 환불 신청을 받는다.

모바캐스트 관계자는 "지금까지 드래곤 스핀 Z를 사랑해 주신 모든 모험가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라고 전했다.




71.jpg

모바캐스트 코리아의 드래곤 스핀Z가 12월 16일에 서비스를 종료한다. 이로써 2015년 3월 10일에 출시한 이후 약 10개월(282일) 만에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

드래곤 스핀Z는 신과 인간 그리고 몬스터가 공존하는 판타지 세계관을 배경으로 450개 이상의 다양한 슬롯몬 캐릭터가 등장하며, 다양한 슬롯몬의 능력을 고려한 팀편성과 세계 최초로 구현된 릴 인(real in)방식의 스핀 배틀 전투를 강조했던 작품이다.

오는 23일을 기해 신규 다운로드와 인앱 결제가 차단될 예정이며, 12월 16일까지 환불 신청을 받는다. 환불 신청은 유저 ID, 본인 신분증 사본(앞,뒤), 환불 통장 사본 등을 고객센터로 접수하면 된다.

모바캐스트 코리아 관계자는 "많은 즐거움을 드리고자 드래곤 스핀Z 임직원 모두가 노력하였으나 아쉽게도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드래곤 스핀Z를 사랑해 주신 모든 모험가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라고 전했다.




11.jpg

아무리 화가 나도 기사에 욕을 당당히 적고, 제목만 보고 '기자가 드디어 미쳤구나!' 생각했다면 속은 것이다. 

이번에 소개하는 게임의 정식 명칭은 【18】(エイティーン)キミト ツナガル パズル, 18 에이틴 키미토 츠나가루 퍼즐. 직역한다면 18 18 그대와 이어지는 퍼즐, 과장된 의역(?)을 동원해서 퍼즐을 다른 단어로 바꾸면 18 18 너와 나의 연결고리.

21.jpg
▲ 출시 이후 매출 현황(일본 애플 앱스토어)

22.jpg
▲ 출시 이후 매출 현황(일본 구글 플레이 스토어)

게임 소개부터 난관에 봉착했지만, 꿋꿋하게 게임 이름을 18로 통일한다. 육두문자가 생각나는 게임이지만, 말로 읽어주는 방송용 멘트가 아니라는 것이 천만다행이다.

이름부터 예사롭지 않지만, 18은 모바캐스트의 Global Game Challenge Project로 불리는 GGC 프로젝트 2탄이다. 참고로 지난 3월 국내에 출시한 드래곤 스핀 Z다. 

31.jpg

또 일본 현지에서는 출시 전부터 스페이스 채널 5 시리즈와 루미네스를 기획한 미즈구치 테츠야 PD와 개발팀이 참여한 것으로 주목을 받았다.

게임 출시 전부터 공개된 일러스트는 영락없는 성인 퍼즐 어드벤처 캐서린. 뚜껑을 열어본 결과 영락없는 퍼즐 RPG다. 다소 몽환적인 사운드와 색다른 퍼즐, 특히 게임 이름에 18이라는 숫자를 강조한 것부터 궁금증이 생겼다.

41.jpg

하지만 18의 비밀은 의외로 쉬운 곳에서 풀렸다. 18콤보 이상을 완성했을 때 18이라는 숫자와 함께 특별한 공격이 발동하는 것으로 답은 쉽게 풀렸다. 

게임의 첫인상은 일반적인 퍼즐 RPG에 18콤보라는 독특한 콘텐츠를 구축, 기존 퍼즐과 비틀기를 시도했다. 그 외는 친구를 포함한 최대 5명이 참가하는 전투와 3개 이상의 같은 퍼즐로 콤보를 완성, 공격하는 방식도 비슷하다. 

51.jpg

여기에 상성 관계도 존재하지만, 이전에 등장했던 게임의 상성 관계도 같다. 물론 퍼즐 RPG의 교과서 콘텐츠를 구현, 퍼즐로서 접근한다면 준수한 재미를 선사하는 수준이다.

그래서 공개 전에 주목을 받았던 것과 달리 게임은 보통이다. 스테이지 방식의 퍼즐은 캔디크러시 사가 스타일, 상성과 콤보 완성은 퍼즐앤드래곤으로 18의 비밀이 풀렸을 때는 허무했다.

61.jpg

즉 이 게임에서 그래픽 효과와 사운드 효과를 걷어내고, 게임의 토대로 접근했을 때 양산형 퍼즐 RPG라는 결론이 나온다. 즉 그럴싸한 포장지로 감춰놨을 뿐 포장지를 들춰내면 동종 유사 장르와 비교했을 때 경쟁력은 떨어진다.

이름과 18콤보라는 것을 제외하면 유난만 떤 18 그대와 이어지는 퍼즐. 튀는 맛은 있었지만, 퍼즐 게임의 멋스러움은 약한 18의 리뷰였다.

 
12.jpg

 이름 : 18 그대와 이어지는 퍼즐
 개발 : 모바캐스트
 장르 : 퍼즐 RPG
 과금 : 무료 / 인앱 결제
 지원 : 안드로이드 / iOS




드래곤 스핀 Z APK


드래곤 스핀 Z(ドラゴンスピンZ 新感覚スピンバトルRPG (ドラスピZ))

- 2015년 2월 22일 / 버전 1.1.7



com.mobcast.drspz.z01


com.mobcast.drspz.z02


com.mobcast.drspz.z03


com.mobcast.drspz.z04


com.mobcast.drspz.zip





11.jpg

모바사커로 알려진 모바캐스트 코리아가 드래곤 스핀 Z의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드래곤 스핀 Z는 모바캐스트 코리아와 일본의 모바캐스트가 합작한 프로젝트로 스핀 배틀 RPG를 지향한다. 또 모바캐스트 최초의 네이티브 앱(설치형)이자 글로벌 게임 챌린지 프로젝트(Global Game Challenge Project, GGCP) 중에서 첫 번째로 출시한 게임이다.

21.jpg
▲ 출시 이후 매출 현황(일본 애플 앱스토어)

22.jpg
▲ 출시 이후 매출 현황(일본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이 게임은 일본 현지에서 2013년 10월 15일에 안드로이드 버전부터 출시, 현재도 서비스 중이다. 또 국내와 달리 일본은 슬롯배틀 RPG라는 수식어를 사용한다. 아무래도 국내는 슬롯머신이 사행성으로 인식,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리뷰는 일본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 정식 출시 버전은 모바캐스트 코리아의 사정에 따라 콘텐츠가 변경될 수 있음을 미리 일러둔다. 

31.jpg
32.jpg

드래곤 스핀 Z가 슬롯 배틀 RPG를 표방, 최초라는 수식어를 강조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이전에는 라이브플렉스의 미소녀 삼국지 슬롯대전이 있었고, 최근에는 서비스를 종료한 플레이어스의 괴인럼블이 있었다.

사실 드래곤 스핀 Z는 전투 방식을 슬롯머신이라는 아름다운(?) 기기로 변환한 것을 제외한다면 진행 방식은 영락없는 카드 RPG다. 초반부터 중반까지 일반적인 카드 RPG의 동선처럼 진행하며, 후반 패턴도 틀에서 변하지 않는다.

41.jpg
42.jpg

이 게임에서 한 팀은 친구를 포함해서 6명으로 구성되며, 5가지의 속성에 따른 상성 관계가 존재한다. 그래서 효율적인 전투를 위한 상성 배치에 중요하며, 슬롯몬(드래곤 스핀 Z의 몬스터)의 등급도 N~SR까지 분포되어 있어 강화와 진화 콘텐츠도 구현되어 있다.

즉 카드 RPG의 교과서 콘텐츠를 충실히 구현, 슬롯머신을 활용한 전투를 제외한다면 장르가 가진 신선함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51.jpg
52.jpg

단지 특이한 점이 있다면 베팅 액수에 따라 노랑-녹색-빨강으로 구분, 베팅 금액으로 살짝 구분한다는 정도. 이론적으로 자신이 보유한 코인(게임 머니)이 없다면 게임 진행을 할 수 없다. 

물론 드래곤 스핀 Z에서 제공하는 각종 보상이 후한 편이라 '올인' 이후에 잔고가 바닥나서 게임을 접는 경우는 없다.

61.jpg
62.jpg

색다른 소재로 등장을 예고한 드래곤 스핀 Z. 장르가 가진 한계는 여전하며, 이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앞만 보고 달렸던 카드 RPG의 전철을 밟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점을 참고해서 관심이 있는 유저라면 정식 출시 버전을 기다리는 것이 좋겠다.

 
12.jpg

 이름 : 드래곤 스핀 Z
 개발 : 모바캐스트
 장르 : RPG
 과금 : 무료 / 인앱 결제
 지원 : 안드로이드 / iO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