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스킷랩스, 플레이댑, 노드게임즈, 이멜벤처스 등 4곳|한·일 디앱 생태계 경쟁 예고
카카오와 라인이 그라운드X와 라인 블록체인 랩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블록체인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다. 이들은 각각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을 앞세워 클레이튼의 클레이(KLAY), 라인 블록체인의 링크(LN)라는 암호화폐를 발행해 각자의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라인 블록체인은 클레이튼보다 1년 늦게 시작했음에도 라인 디벨로퍼스(LINE Developers)를 통해 디앱 8종을 공개하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라인(LINE)은 라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나이트 스토리(게임) ▲링크사인(전자 계약 서비스) ▲aFan(소셜 미디어) ▲리그오브킹덤(게임) ▲크립토도저(게임) ▲썸씽(노래방 앱) ▲Theta tv(비디오 전송 서비스) ▲크립토 스포츠(게임) 등 디앱 8종을 공개했다.
이 중에서 게임은 4개로 특히 국내 기업 비스킷랩스, 플레이댑, 노드게임즈, 이멜벤처스 등이 참여해 눈길을 끌고 있다.
우선 비스킷랩스는 이오스(EOS) 기반 '이오스 나이츠'로 이름을 알린 게임 개발사다. 이후 클레이튼 생태계에 '나이트 스토리 포 클레이튼'으로 합류할 예정이었지만, 돌연 이더리움 기반 '나이트 스토리'로 독자 출시하면서 클레이튼 연합에서 사실상 탈퇴했다.

또 리그 오브 킹덤은 국내 개발사 노드게임즈가 개발한 게임으로 이전에 이오스 기반 크립토 소드 앤 매직을 선보인 바 있다. 이미 출시된 게임을 'for LINE Blockchain' 버전으로 출시하는 셈이다.
또한 플레이댑의 크립토도저는 NFT 거래소 '플레이댑 마켓플레이스'에서 거래할 수 있는 게임이다. 이전부터 수퍼트리는 플레이댑이라는 별도 법인을 설립, 블록체인 기반 사업에 집중하고 있으며 크립토도저-도저버드를 통해 '도저'를 또 하나의 IP로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이멜벤처스는 아이콘(ICON) 기반의 블록체인을 활용한 노래방 앱 '썸씽'을 선보인 바 있으며, 이번에 라인 블록체인 버전을 출시한다.
특히 이들은 클레이(KLAY), 플라(PLAY), 이오스(EOS), 이더리움(ETH), 아이콘(ICON), 랜드(LAND) 기반 디앱이면서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 코인인 링크(LN)까지 활용할 수 있게 돼 자연스럽게 일본 암호자산 시장까지 공략할 수 있게 됐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체크, 이더리움 클래식 거래...구입·매각 중단 (0) | 2020.10.04 |
---|---|
[쿠코인 1800억 해킹] 국내외 거래소 공조체제 구축 (0) | 2020.09.28 |
[쿠코인 1800억 해킹] 5W1H (0) | 202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