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jpg

오르텐시아 사가(オルタンシア・サーガ -蒼の騎士団-)가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 게임은 체인 크로니클로 증명된 체인 시나리오 RPG의 DNA가 반영, 글로벌 누적 다운로드 700만을 돌파할 정도로 출시 전보다 대기만성형 RPG로 거듭났다.

국내 출시가 임박한 지금 오르텐시아 사가의 히스토리를 알아보고자 출시 이전부터 지금까지 주요 이슈를 정리했다. 해당 이슈는 국내 버전의 업데이트와 이벤트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 현지화 작업과 별도로 게임의 방향성을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34.jpg

오르텐시아 사가 - 와이디온라인 제공
혼돈의 시대를 맞이한 오르텐시아 왕국에서 펼쳐지는 기사들의 스토리를 다룬 중세 판타지 RPG로, 세가 자체 IP를 활용한 방대한 양의 시나리오와 세계관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전개 방식이 게임의 몰입도를 높이며 특히 국내의 기존 모바일 RPG와는 차별화된 한 편의 중세 영화를 보는 것 같은 고퀄리티의 일러스트와 탄탄한 스토리 라인이 특징이다.

12.jpg

오르텐시아 사가라는 이름은 '세가 네트웍스 미디어 컨퍼런스 2014 Autumn'에서 공개됐다. 개발사는 f4samurai로 보더 브레이크 모바일, 걸스 배틀에 이어 '오르텐시아 사가'가 세가의 스마트 폰 게임 개발 프로젝트 3번째 프로젝트로 낙점됐다.

2월 19일 오르텐시아 사가의 공식 홈페이지가 개설되고, 세상을 첫선을 보일 사전 등록을 시작했다. 2015년 4월 22일 정식 출시 당시 사전 등록은 24만 명으로 세가의 명성에 비해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한 축에 드는 수준이었다. 

이전에 출시한 체인 크로니클의 비중이 막중했고, 스마트 폰을 시작으로 PS VITA와 글로벌 진출까지 감행하던터라 오르텐시아 사가의 출발은 상대적으로 조촐했다. 시점을 바꾼 체인 크로니클의 또 다른 버전이라 생각할 정도로 오르텐시아 사가의 시작은 미약했다.

31.jpg

그러나 체인 크로니클로 검증된 체인 시나리오의 강점을 고스란히 이어받은 오르텐시아 사가의 저력은 시나리오 업데이트에 있었다. 본편이 아닌 외전부터 선행 공개, 캐릭터를 추가하는 식으로 콘텐츠의 확장을 노렸다.

실제로 이 게임의 메인 스트림은 주인공급 캐릭터가 이끌어가는 본편이며, 평행 세계 개념으로 같은 시간 다른 장소에서 벌어지는 또 다른 이야기를 외전으로 풀었다. 그러나 외전은 7장까지만 진행하고, 본격적인 업데이트인 본편 8장부터 오르텐시아 사가의 세계관을 서서히 구축하기 시작한다.

이때 진행한 미디어믹스는 니코니코에서 진행한 오르텐시아 국영 방송으로 업데이트를 설명하고, 게임 내에서는 10연차를 통한 부스팅을 병행한다. 그래서 새로운 시나리오가 등장할 때마다 매출 순위가 수직으로 상승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13.jpg

특히 2016년은 본편 2부 0장부터 11장(최종)을 모두 추가했다. 한 달에 한 번씩 정기 업데이트를 강행, 시나리오와 함께 새로운 캐릭터를 추가했다. 여기에 다음 정기 업데이트까지 SSR 등급 캐릭터를 받을 수 있는 이벤트를 매번 진행했다.

이러한 패턴은 일종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것으로 시나리오를 추가하고, 다음 시나리오까지 기사단 토너먼트를 진행하면서 콘텐츠의 소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출시한 이후 오르텐시아 사가에 최초로 등장한 UR 등급 마리엘을 받을 수 있는 '왕국 기사단 통일전' 이벤트는 치열했다는 후문이다.

시나리오를 추가할 때 정기적으로 4명의 캐릭터가 함께 등장하고, 기사단 이벤트의 한정 캐릭터 획득 이벤트까지 더해지면서 오르텐시아 사가의 세계관은 하나둘씩 채워진다. 만약 캐릭터만 추가했다면 양산형 뽑기 RPG로 혹평을 받았겠지만, 이를 중화시킨 것은 캐릭터의 사연과 배경이 녹아든 스토리였다.

32.jpg

캐릭터의 도감만 채우는 것이 아닌 스토리까지 채워 풍성하게 만들어 숨겨진 이야기를 알게 하는 것, 오르텐시아 사가의 확실한 경쟁력으로 통했다. 

이 게임의 서비스 연차를 고려할 때 콜라보는 그렇게 많지 않았다. 지금까지 아르슬란 전기, Fate / staynight Unlimited Blade Works, 7개의 대죄, 디모, 체인 크로니클(TV 애니메이션) 등이 전부다.

오히려 콜라보가 아닌 시나리오 업데이트라는 정공법을 선택한 그들이 정점을 찍은 것이 최근에 진행한 본편 3부 '미래의 날개'다. 시나리오를 정식으로 추가하기 전에 진행한 사전 예약 이벤트에 100만 명(출처 : 세가 공식 발표 자료)이 참여할 정도로 여느 때보다 관심이 뜨거웠다.

14.jpg

문제는 지난 '국내 진출 앞둔 오르텐시아 사가, 일본 성적은?' 기사에서 밝힌 것처럼 업데이트 간격과 일본 빌드와 다른 출발점이다. 

일본 빌드는 2017년 2월부터 본편 3부의 시작을 알렸지만, 국내 빌드는 외전과 본편 중에서 어떤 것부터 진행하느냐에 게임의 향방이 달라진다. 적어도 일본 빌드와 1년의 시간 차이가 존재하지만, 콘텐츠의 소비 패턴이 다르다면 앞당겨지거나 늦춰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단지 언어의 장벽으로 3부의 시나리오가 널리 알려지지 않았을 뿐 자칫 잘못하면 게임을 대하는 기대 심리가 낮아질 수 있다. 한정 이벤트를 진행할 때 영입할 수 있는 캐릭터의 정보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는 본편이 추가될 때 등장한 캐릭터도 마찬가지다.

33.jpg

오르텐시아 사가를 일본 드라마로 비유한다면 성공을 위한 선택지는 리메이크와 단순 더빙으로 좁아진다. 전자는 그들 특유의 정서를 담아서 새로운 그릇에 담아야 하며, 후자는 단지 업데이트 간격과 순서 그리고 성우의 조합을 바꾸면 그만이다.

과거 아이덴티티 모바일이 서비스했던 체인 크로니클의 국내 서비스 종료를 복기할 필요가 있다.




11.jpg

세가 네트웍스의 모바일 RPG '오르텐시아 사가'가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다. 개발사는 국내에 보더 브레이크 모바일로 알려진 f4samurai로 일본은 オルタンシア・サーガ -蒼の騎士団- 【戦記RPG】라는 이름으로 2015년 4월 22일에 출시했다.

현재 오르텐시아 사가는 苍之骑士团(중국), 타이완과 홍콩 그리고 마카오는 Hortensia Saga 蒼之騎士團라는 이름으로 서비스 중이다. 국내 파트너는 와이디 온라인으로 이전에 서비스했던 천만의 용병이나 알비온 전기처럼 택틱스 RPG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21.jpg
▲ 출시 이후 매출 현황(일본 애플 앱스토어)

22.jpg
▲ 출시 이후 매출 현황(일본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일본은 출시한 이후에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30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업데이트에 따라 매출 지표가 급격하게 상승한다는 사실이다. 

일례로 2016년 11월 14일에 업데이트한 '제2부 10장'의 기세에 힘입어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기준으로 194위에서 1주일 만에 183계단 상승한 13위를 기록했다. 세가 특유의 시나리오 RPG DNA를 반영한 덕분에 정기 시나리오 업데이트가 오르텐시아 사가의 상승 동력이다.

특히 현재 진행 중인 시나리오 3부 업데이트는 사전 예약을 100만 명을 돌파했다. 참고로 정식 출시하기 전에 모집한 사전 예약자 24만 명을 돌파한 것과 비교한다면 이전보다 플레이하는 유저들의 충성도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그만큼 오르텐시아 사가의 국내 서비스 명운은 업데이트 간격이다. 현지화는 기본으로 국내 유저들의 플레이 성향에 따라 업데이트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13.jpg
14.jpg
15.jpg
16.jpg




11.jpg

2015년 4월 22일 출시한 세가 네트웍스의 오르텐시아 사가. 현재 일본은 オルタンシア・サーガ -蒼の騎士団- 【戦記RPG】라는 이름으로 중화권은 Hortensia Saga 蒼之騎士團라는 이름으로 서비스 중이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보더 브레이크 모바일을 개발한 f4samurai가 오르텐시아 사가도 개발했다는 사실이다.

이 게임은 출시한 지 한 달 만에 누적 다운로드 100만을 돌파하고, 최근에 4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할 정도로 대기만성형 RPG로 통한다. 특히 체인 크로니클처럼 시나리오 RPG를 세가 스타일로 풀어냈다.

21.jpg
▲ 출시 이후 매출 현황(일본 애플 앱스토어)

22.jpg
▲ 출시 이후 매출 현황(일본 구글 플레이 스토어)

게임의 콘텐츠는 오르텐시아 스토리와 애넥도트(캐릭터 스토리)를 진행하고, 요일 던전과 길드 던전이라 통하는 기사단전 등 크게 4개의 줄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전에 체인 크로니클을 경험한 유저라면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래서 체인 크로니클처럼 일본의 전형적인 왕도 RPG처럼 진행, 결과보다 과정에 초점이 맞춰진다. 게임의 일반적인 목표는 드림팀(4명)을 구성하는 것이며, 전투의 효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진형 시스템이 부가 콘텐츠로 따라온다.

31.jpg
32.jpg

여느 모바일 RPG와 달리 텍스트가 많은 편에 속해 언어의 장벽은 확실히 존재한다. 사실 게임의 세부적인 스토리와 캐릭터의 사연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전투만 집중하더라도 게임의 플레이는 지장이 없다. 오히려 전투 위주로 진행하더라도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숙달할 수 있다.

물론 뽑기를 통해 좋은 캐릭터를 영입, 그에 따른 캐릭터 스토리를 진행하는 것으로 강화하는 것이 주된 임무다. 스테이지에 입장해서 별도의 미션이 존재하고, 이를 해결할 때마다 퍼펙트 클리어와 비슷한 별 3개를 받는다. 혹여나 별 2개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처음에는 신경쓸 필요가 없다.

41.jpg
42.jpg

세부적인 공략을 통해 일본의 위키를 구글 번역기를 통해 해법을 찾거나 나머지는 게임의 흐름에 자연스럽게 맡기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앞서 언급한 개발사가 보더 브레이크 모바일을 개발한 이력이 있어 일부 시스템은 전작의 시스템을 계승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대표적인 콘텐츠가 바로 기사단전으로 일종의 길드전이라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다.

51.jpg
52.jpg

다만 문제가 있다면 보더 브레이크 모바일 시절에 겪었던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 오르텐시아 사가에서도 그대로 재현했다. 시쳇말로 이왕에 시스템을 구현할 것이라면 기존의 문제점을 수정하고 보완하고 가져왔어야 할 콘텐츠를 다시 구현, 또 하나의 스트레스로 작용한다는 사실이다.

기자도 언어의 장벽보다 짜증이 났던 콘텐츠 중 하나였다. 실력이 엇비슷한 유저와 매칭을 통해 패배했다면 공략을 연구할 가치는 있다. 그러나 양민학살 수준의 매칭을 계속 반복, 오히려 게임에 대한 좋지 않은 기억만을 심어줬던 콘텐츠로 남는다.

61.jpg
62.jpg

또 전투 중심으로 진행하더라도 유저가 개입할 수 있는 요소는 체인 크로니클보다 제약이 많다. 그저 유저가 보유한 캐릭터를 진형에 맞게 배치하는 것이 전부이며, 스킬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생각보다 전투의 박진감은 떨어진다.

처음에는 택틱스 방식으로 차근차근 전투를 진행, 아기자기한 전투 스타일에 대해 신선하다고 생각했다. 이후 한 달이 넘도록 밋밋한 전투 방식에서 더 이상 쾌감을 느낄 수 없었다는 것도 오르텐시아 사가의 흠이다.

71.jpg
72.jpg

또한 갤럭시 S6에서 구동했음에도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랙과 잦은 로딩은 게임의 요구 사양이 높은 것이 아닐까하는 착각이 들 정도였다. 그때마다 게임의 옵션에서 캐시 삭제를 통해 극복했지만, 플레이 시간에 비례해서 게임 플레이가 느려지는 현상은 스트레스로 다가왔다. 그나마 이러한 현상도 초창기 빌드보다 나아진 것이다. 

가뜩이나 느려터진 캐릭터의 육성 속도와 기사단전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접속이 뜸해지는 지경에 이르렀고, 결국 이번 리뷰를 마지막으로 게임을 삭제해버렸다.

81.jpg
82.jpg

특히 오르텐시아 사가를 통해 확실하게 깨달은 점이 하나 있다. 처음에 일본의 왕도 RPG로 각종 시스템과 콘텐츠의 선순환 구조를 기대했지만, 정작 문제는 견고한 콘텐츠가 아닌 이를 제대로 구성하지 않은 엉성함에 있었다.

오르텐시아 사가를 통해 첫인상은 배신한다는 점을 확실하게 배웠다.

iOS

안드로이드

 
12.jpg

 이름 : 오르텐시아 사가
 개발 : SEGA Networks / f4samurai
 장르 : RPG
 과금 : 무료 / 인앱 결제
 지원 : 안드로이드 / iOS
 비고 : 첫인상은 배신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