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젬허브

넥써스가 드래곤 플라이트, 라그나로크 몬스터 월드, 라펠즈M 등 블록체인 게임 1차 라인업을 공개했다. 이 중에서 라펠즈M은 과거 PC 온라인 게임 시절 엔플레버가 개발한 MMORPG로 당시 이름은 라플레 크리에다. 

이후 라플레 크리에는 라펠즈로 이름을 바꾼 이후 엔터메이트의 라펠즈 모바일을 거쳐 라펠즈 유니버스와 라펠즈M으로 수명 연장을 시도했다. 특히 블록체인 게임으로 전환되면서 보라(BORA)와 젬허브(GHUB) 등 P2E 게임으로 반등을 노렸지만, 흥행을 논할 수 있는 성적은 아니었다.

향후 넥써스가 선보일 라펠즈M은 보라와 젬허브에 이어 이더리움 기반 토큰 크로스(CROSS)까지 시도한다면 3전 4기의 블록체인 게임으로 거듭난다. 관점에 따라 실패의 원인을 초창기 게임법의 사행성 조항 걸쳐 시행 착오를 겪은 블록체인 게임으로 볼 것이냐 혹은 보라와 젬허브 등의 프로젝트팀 역량으로 볼 것이냐에 따라 접근이 달라진다.

참고로 라펠즈M은 현 메타보라의 전신이라 말할 수 있는 웨이투빗의 P2E 게임이었고, 젬허브는 기존 보라 1기 팀에서 보라 2기 팀이 추진한 프로젝트다. 이쯤 되면 프로젝트보다 게임에서 원인을 찾는 게 빠를 정도로 '자리는 그대로, 간판만 바뀌는' 현상만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또 라그나로크 몬스터 월드는 이더리움 기반 엑시 인피니티(AXS)와 달리 자체 메인넷을 구축한 로닌(RON)을 채택했다. 그래서 정확히 넥써스의 라인업보다는 라그나로크 몬스터 월드가 로닌에 이어 크로쓰까지 지원하는 멀티 체인 게임에 불과하다.

빗썸 원화마켓에서 거래 중인 로닌(RON) / 자료=빗썸

대표적으로 에니시(enish)의 블록체인 게임 디라이즈 라스트 메모리즈(De:Lithe Last Memories)도 오아시스(OAS) 이후 다음 네트워크 지원으로 로닌을 채택한다고 밝혔을 뿐이다. 흔히 게임업계에서 PC와 스마트 폰, 콘솔 등에서 구동되는 게임을 멀티 플랫폼 지원이라 칭하는 것처럼 블록체인 게임의 멀티 체인 대응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특별한 것도 없는 일반적인 사실에 거창하게 라인업이라 칭하는 것도 앞뒤가 맞지 않는다. 크로스의 태생적인 한계는 메인넷을 구축해야만 토큰이 아닌 코인이라는 점과 이더리움 버추얼 머신(EVM, Ethereum Virtual Machine)으로 이더리움 생태계와 연결된다.

단 EVM은 공짜가 아니다. 이더리움 생태계는 가스비 개념이 존재, 통행세가 필요하다. 재단 측이 가스비를 부담하고, 홀더의 부담은 최소화한다는 게 정설일 뿐 가스비 0의 개념은 애초에 무리다.

아직 제대로 출발도 하지 않은 프로젝트팀에 재만 뿌린다는 일부 의견도 존중한다. 앞서간 이들이 실패했다고 후발 주자도 실패해야 한다는 말은 아니다. 오히려 과거를 교훈 삼아 답습하지 않고, 제대로 해보라는 것뿐이다.

망한 건 다 필연적인 이유가 있는 거다.

BPMG의 클레이튼 기반 프로젝트 젬허브(GemHUB)로 연착륙 기회


플레이위드의 P2E 프로젝트이자 러닝메이트는 젬허브(GHUB)로 밝혀졌다. 젬허브는 클레이튼 기반 프로젝트로 앞서 공개된 플레이위드의 사업파트너로 이름을 올린 BPMG가 개발, 지씨피 리미티드(GCP Limited)가 실질적인 재단이자 프로젝트팀이다.

22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BPMG는 보라(BORA)를 이끌었던 차지훈 대표를 중심으로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젬허브(GemHUB)를 운영 중이며, 젬허브에 사용될 예정인 같은 이름의 프로젝트 젬허브(GHUB)의 실증 실험이 진행 중이다.

특히 초창기 보라처럼 리사이클링 전략으로 기존 게임을 활용해 젬허브를 탑재한 P2E 빌드를 라인업에 포진시켰다.

젬허브의 게임파이 구성도 / 자료=젬허브

현재까지 ▲시드 이야기 후속작 시드 이터널(Sid Eternal) ▲PC 온라인 게임 라펠즈의 P2E 빌드 라펠즈 M ▲프리프의 클래식 버전 '프리프 유니버스' ▲길드오브아너의 P2E 빌드 '히어로즈 9' 등 ▲좀비노이드 등 총 5개가 공개됐으며, 향후 5종을 추가로 공개해 10개의 게임이 젬허브의 블록체인 게임 라인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젬허브는 같은 클레이튼 기반의 프로젝트 네오핀(NPT), 위믹스(WEMIX), 마블엑스(MBX), 보라(BORA) 등과 함께 게임업계 P2E 프로젝트 경쟁 대열에 합류했다.

단지 초창기 1세대 P2E 보라와 달리 덱스 '클레이스왑' 상장과 지갑 서비스 '케이민트' 출시 등 2세대 P2E를 표방해 게임파이(Gamefi)를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프로젝트팀으로서 플레이위드와 사업 파트너를 유지하는 기간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것으로 풀이된다.

클레이튼 스코프에서 확인된 젬허브 스펙 / 자료=클레이튼 스코프

젬허브 팀 자체가 플레이위드 외에도 시드 이야기 개발사 싱타와 일본 게임업체 갈라랩이 파트너로 합류, 라펠즈와 프리프를 라인업에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지씨피 리미티드에 따르면 젬허브는 총발행량 12억 개를 기본으로 ▲생태계, 7억4000만 개(61.67%) ▲투자자, 1억2000만 개(10%) ▲마케팅과 파트너십 1억개(8.33%) ▲팀, 1억6320만 개(13.65%) ▲어드바이저, 7680만 개(6.4%) 등 이미 프로젝트팀이 공표할 백서까지 공개, 거래소 리스팅을 위한 밑 작업을 모두 마친 상태다.

젬허브(GHUB) 컨트랙트 주소
GemHUB
0x4836cc1f355bb2a61c210eaa0cd3f729160cd95e

ECO
0x27130422a693e45ff97552f37d9d37d1422837f2 

Investor
0x000876514c6afc640641b6ab63aab4d0121373ee 

Marketing & Partnership
0x9ed1dfc7ff661ab73b73e21b9dbd8ece506f23b2

Team
0xc2e3631c8ecbf9c0a94dc497d38d18a185178ce0

Advisory
0x083a7f308f75824b14783280375a2e15164d919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