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화이트 리스트 코인 아닌 오더북 공유 형태로 거래쌍 개설



업비트와 업비트 APAC은 이전부터 오더 북을 연동해 상장부터 상장 폐지, 에어드랍 등을 공유한다. 그래서 공식적으로 사업제휴 관계를 제외하고, 업비트 APAC 소속의 싱가포르, 태국, 인도네시아 등은 조인트 벤처 형태로 운영 중이다.

하지만 업비트 태국의 블러(BLUR)를 시작으로 최근 엑세스 프로토콜(ACS)이 업비트 인도네시아와 업비트 태국의 비트코인 마켓에서 거래쌍이 개설되자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지난 7일 업비트 본진에 마스크 네트워크(MASK)와 함께 입성한 엑세스 프로토콜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오더 북 공유 방식으로 업비트 APAC 소속의 거래소에 입성했다. 일반적인 오더 북 공유지만, 이면에는 인도네시아 상품선물거래규제국의 화이트 리스트 코인이 아닌 프로젝트를 입성시켜 의견이 분분하다.

21일 인도네시아 상품선물거래규제국(CoFTRA, The Commodity Futures Trading Regulatory Authority)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화이트 리스트 코인은 일본 금융청이 자금결제법에 따라 JVCEA에 위임한 일종의 사전 심사 제도다. 지난해 1월 229개, 8월 383개가 인도네시아에서 라이센스를 부여받은 바스프가 취급할 수 있는 화이트 리스트 코인이다.

인도네시아는 상품선물거래규제에 따라 ▲분산원장(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상품선물거래규제국의 종합평가(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유틸리티 기반 등 총 3가지 항목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 코인을 심사하며, 사실상 AHP가 실질적인 프로젝트 심사에 가깝다.

또 국내 암호화폐 시장을 특금법과 시행령, 감독규정이 틈을 메우는 것처럼 인도네시아도 상품선물규제를 개정하면서 화이트 리스트 코인의 수를 늘려가고 있다.

내외경제TV가 지난해 8월 공개된 383개의 리스트를 확인한 결과 엑세스 프로토콜의 풀 네임이나 코드네임(심볼)은 없었다.

일각에서는 인도네시아의 화이트 리스트 코인은 일본 암호자산처럼 법정화폐(루피아)로 구입할 수 있는 암호화폐만 해당, 루피아 마켓이 아닌 비트코인 마켓에 입성해 현지 규제와 관계가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인도네시아 화이트 리스트 코인 목록에 라이트코인(LTC)이 존재, 익명으로 전송이 가능한 '밈블 윔블' 기능 탓에 투자 유의부터 상장 폐지를 공유한 업비트와 업비트 인도네시아의 관계를 떠올린다면 이례적인 사례가 될 수 없다는 것도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기존 상품선물거래규제국에서 금융감독청(OJK, otoritas jasa keuangan)이 현지 규제를 담당, 지난해 7월 마헨드라 시레가 금융감독청 청장이 부임한 이후로 CBDC와 중앙 거래소 설립 추진을 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규제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그래서 규제 기관 교체로 일종의 과도기 틈을 파고든 오더 북 공유로 업비트 APAC 밀어주기에 나섰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