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등록 거래소 10곳 명단 공개
필리핀 증권거래위원회(SEC,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Philippines)가 미등록 거래소, 즉 불법 거래소 명단을 공개하면서 규제 수위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허가받지 않고 불법 영업을 일삼는다며 바이낸스 퇴출을 공언한 필리핀 정부 당국의 기조 변화가 감지된다.
4일 필리핀 SEC, 중앙은행(BSP, Bangko Sentral ng Pilipinas) 등에 따르면 ▲오케이엑스(OKX) ▲바이비트 ▲멕스씨(MEXC) ▲쿠코인 ▲비트겟 ▲페멕스▲코인엑스(Coinex) ▲비트마트 ▲폴로닉스 ▲크라켄 등 총 10개 거래소를 불법으로 규정했다.
현재 필리핀은 중앙은행에 등록된 거래소만 합법이며, 그 외에는 불법으로 간주된다. 현지 규제에 따라 거래소는 국내 바스프(VASP)처럼 필리핀은 카스프(CASP, Crypto-Asset Service Providers)로 정의한다.

지난 5월에 공표된 카스프 규제는 크게 현지 법인 설립과 AML 준수 등 일반적인 국내외 암호화폐 규제 시행을 앞두고, 신고 수리에 필요한 사전 준비다. 그래서 이전부터 현지 영업이 필요한 카스프 한정으로 라이센스를 획득하라는 가이드라인이 존재했지만, 기존 사업자 외에는 3년 동안 허가를 내주지 않겠다는 강경책으로 인해 글로벌 거래소들이 대거 퇴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필리핀은 중앙은행의 허가와 심사, 관리와 규제는 증권거래위원회가 수행하는 등 국내와 달리 이중 규제로 안전장치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단 SEC 측은 명단을 공개한 10곳 외에도 다른 사업자도 불법으로 규정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번 명단에서 멕스씨, 쿠코인, 페멕스, 코인엑스, 폴로닉스, 비트마트 등 6곳은 국내 특금법과 가상자산이용자 보호법에 따라 불법으로 분류된다(2025년 8월 4일 금융정보분석원 기준).
다만 필리핀도 국내와 마찬가지로 규제의 틈이 존재하는 데 바로 트래블 룰이다. 현지 규제에 따라 필리핀에서 정상적으로 영업하려면 AML 준수를 위해 트래블 룰을 지켜야 하지만, 일부 거래소는 국내처럼 허가 대신 트래블 룰로 우회하는 법의 사각지대에 머물러있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로쓰(CROSS), 현시점에서 업비트 상장 불가 (2) | 2025.08.06 |
---|---|
카이아(KAIA), 코인무스메에서 '카이아짱'으로 변신 (5) | 2025.07.28 |
디랩스 게임즈(DELABS), 바이낸스 입성 준비 착착 (2)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