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패블릭(FAB) 빗썸 리스크 극복 못 해 상폐|LOOM·WTC·ITC·LBA는 빗썸 물량 적어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된 빗썸의 알트코인 잔혹사는 11월도 여전하다. 예년과 달리 빗썸 코리아-빗썸 글로벌-빗썸 싱가포르 등으로 이어진 빗썸 패밀리 패키지의 버프도 이전과 같지 않다.

법인이 다르더라도 국내 원화마켓(KRW)에서 투자 유의나 상장 폐지가 뜨면 자연스럽게 글로벌과 싱가포르도 퇴출당하는 분위기다. 지난달 빗썸이 국내에서 영업을 시작한 이후 두 번이나 경고를 받은 위쇼토큰(WET)은 패자부활전 성공의 드라마를 쓰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이에 비해 단일 거래소 의존도가 높고, 특히 빗썸 패밀리 패키지의 버프로 승승장구하던 프로젝트팀의 몰락은 예고된 수순이었다. 내년 3월 특금법 시행을 앞두고, 거래소의 목줄을 죄고 있는 금융권의 압박을 대비해 부실한 알트코인의 상장 폐지는 이미 시작됐다.

빗썸 글로벌에서 거래 중이지만, 패블릭의 맥박은 뛰지 않는다. / 자료=빗썸 글로벌

17일 빗썸에 따르면 룸네트워크(LOOM), 월튼체인(WTC), 아이오티체인(ITC), 크레드(LBA)는 상장 재심사가 진행 중이다. 특히 룸네트워크와 월튼체인은 추가로 한 달 연장돼 다음 달 초에 잔류와 퇴출이 결정될 예정이며, 아이오티체인은 오는 24일경에 운명이 결정된다.

지난 5일 빗썸에서 상장 폐지가 확정된 패블릭은 알트코인의 생명력을 잃었다는 평가다. 지난해 7월 빗썸 글로벌 상장에 이어 다음 달 빗썸까지 상장에 성공해 빗썸 버프의 수혜주로 평가받았지만, 1년이 지난 지금 빗썸 패밀리는 독이 됐다.

빗썸이 9월에 경고를 보낼 시기만 하더라도 빗썸 외에 빗썸 글로벌에서 소화하는 10%의 물량으로 버틸 수 있었지만, 두 달 가까이 진행된 재심사 기간에 2차 거래소를 찾지 못해 빗썸 리스크를 그대로 떠안았다.

업비트 원화마켓에서 거래 중인 룸네트워크 / 자료=업비트

블록체인 기반 SNS로 주목을 받았음에도 단일 거래소 의존도가 높고, 텔레그램을 제외하고 3월부터 페이스북, 트위터, 미디엄 등의 커뮤니티를 사실상 방치하면서 재단과 홀더의 의사소통도 전무하다.

빗썸 입성 당시 1개당 18원으로 거래했지만, 현재 개당 3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성장 동력을 찾지 못한다면 프로젝트의 수명까지 위태로운 상황이다.

이에 비해 내달 5일까지 두 달 동안 재심사가 진행되는 룸네트워크와 월튼체인의 상황은 패블릭과 비교해 꽃길이다. 룸네트워크만 하더라도 업비트의 KRW, 라토큰의 ETH, 바이낸스의 BTC 마켓이 각각 10%의 점유율로 리스크 관리 면에서 패블릭보다 앞선다.

OKEx에서 거래 중인 월튼체인 / 자료=OKEx

비록 업비트가 20% 가까운 물량을 소화하고 있지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마켓이 건재해 방어선도 견고한 편이다. 총발행량 10억 개중에서 97%에 해당하는 97억52만754개를 유통했음에도 룸네트워크는 다른 프로젝트와 특이하다는 평이다.

백서 없이 깜깜이 상장이 아닌 오로지 디앱의 사이드체인으로 생태계를 확장해 사용처 확보를 늘리고 있어, 빗썸 리스크는 제로에 가깝다.

이는 월튼체인과 아이오티체인도 마찬가지다. 두 프로젝트는 OKEx의 테더마켓(USDT) 방어선이 각각 20%와 40%로 상장폐지라는 최악의 경우를 고려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나은 편이다. 비록 아이오티체인의 경우 빗썸 원화마켓이 30%를 소화하고 있지만, OKEx와 드래곤EX가 전체 물량의 50%를 소화하고 있어 상폐 리스크는 적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