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에 승소했어도 시장 악화로 경영난까지 겹쳐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의 연쇄 폐업 징조가 보인다. 

지난해 1월 붐비트로 시작된 거래소 연쇄 파산은 루빗, 코인빈, 코인네스트, 프릭스빗, 트래빗, 비트키니, 탑비트, 올스타빗에 이어 2020년 1월 코인이즈까지 왔다.

30일 국내 암호화폐 업계에 따르면 1세대 거래소 코인이즈는 오는 14일 오후 3시까지 출금 서비스 지원을 끝으로 영업을 중단한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6월 FAFT의 권고안 확정으로 벌집계좌를 사용 중인 국내 거래소는 사실상 시한부 선고를 받아 정해진 수순을 밟는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그러나 벌집계좌 사용으로 계약 해지에 몰렸던 코인이즈는 농협은행에 승소한 바 있어 거래소 업계는 의외의 반응이다. 

코인이즈는 영업 중단 전까지 33개의 암호화폐를 원화마켓(KRW)에서 거래했으며, 2019년 9월에 상장한 일코인(ILCoin)이후 추가로 상장된 프로젝트가 없었다. 

A 거래소 관계자는 "벌집 계좌를 이용해 영업 중인 거래소가 금융권과 소송으로 이겼다. 정부의 가이드라인만 있는 상황에서 금융권의 조치는 무의미하다는 것을 증명한 사례"라며 "다른 거래소도 코인이즈와 농협의 판결을 참고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 거래소 관계자는 "규제의 칼날은 피했지만, 정작 거래소의 영업 중단은 피하지 못했다. 알트코인의 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고, 코인이즈와 규모가 비슷한 거래소도 사정이 비슷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인이즈를 운영한 웨이브스트링 관계자는 "금융권의 계좌발급 정책에 대한 최종항고심에서도 승소하며, 내부적으로는 정직하고, 투명하게 운영한 결과라고 자부심을 가졌다"라며 "정직하게 운영할수록 시장의 반응은 다르게 받아들였고, 경영상황이 악화돼 영업을 중단한다"라고 말했다.

 

주식 양도, 거래소 통합, 외부 자본 유치로 경쟁력 확보



오는 4월 암호화폐라는 명칭을 암호자산으로 변경하는 4월 금융상품거래법·결제 서비스법 개정안 시행을 앞두고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업계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일본은 2017년 비트코인을 세계 최초로 합법적 자산으로 인정한 국가로 2020년 4월부터 투자자 보호를 앞세운 법을 시행하면서 일본에서 영업 중인 거래소도 분주해졌다.

29일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업계에 따르면 후오비 재팬(Huobi Japan), 타오타오(TaoTao), 자이프(Zaif), 비트게이트(Bitgate) 등이 신주 발행, 글로벌 거래소 협력, 거래소 통합, 주식 양도로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후오비 재팬은 지난달 26일 신주 발행으로 일본 금융 서비스 회사 도카이 도쿄 파이낸셜 홀딩스(TTFH, Tokai Tokyo Financial Holdings)로부터 5억6400엔(한화 약 54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TTFH는 1929년 영업을 시작한 증권사로 후오비 재팬과 암호화폐 거래, IEO(initial exchange offerings), 지역 화폐 발행, 암호화폐 관리 및 저장 서비스 분야 등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를 강화한다.

또 타오타오는 Z 홀딩스의 자회사 'Z 코퍼레이션', 바이낸스와 전략적 제휴에 관한 협상을 시작했다. 3사는 암호자산 거래 기술 제공과 거래소 운영 지원 등 바이낸스의 일본 재진출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지난해 3월 신규 계좌 개설이 차단된 자이프와 비트게이트는 일선에서 물러난다. 

2014년에 설립된 자이프는 2년 전 비트코인 캐시와 모나코인의 유출 사고로 금융청의 경고를 받아 사실상 영업을 중단, 내달 12일 현지 투자 컨설팅 업체 '휘스코 디지털 에셋 그룹'의 암호화폐 거래소 '휘스코'로 서비스를 이관한다.

지난 23일 비트게이트 운영업체 SNC는 지분 58.1%를 다이 홀딩스 그룹(DHG)에 양도하고, 자회사로 편입됐다. 

DMM FX 홀딩스가 인수한 DMM 비트코인과 GMO 인터넷 그룹의 GMO코인이 일본 암호화폐 시장을 양분한 가운데 최후의 승자는 누가될지 현지 업계의 귀추가 주목된다.


필리핀 STO 거래소 'ALLEX' 운영사 스탠다드 캐피탈과 제휴


 

페이프로토콜로 알려진 다날이 일본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27일 다날 재팬, 스탠다드 캐피탈 등에 따르면 양사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 개발 협력을 위해 제휴를 체결했다. 다날 재팬은 결제 시스템과 개발과 인프라를 제공하며, 스탠다드 캐피탈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솔루션을 제공한다.

양사는 새로운 경제권 창출을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 보급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스탠다드 캐피탈은 지난해 시큐리티 토큰 스탠다드 프로토콜(STSP)를 공개하면서 인도네시아는 후오비 인도네시아와 Virgo, 칠레는 WAYVX 등 현지 파트너와 협업하고 있다.

이후 필리핀에 STO(Security Token Offering) 거래소 올엑스(ALLEX)를 오픈해 보안토큰 거래소 글로벌 전략에 시동을 걸고 있다.

이번 협력으로 다날은 일본 법인을 통해 현지 결제 시장을 블록체인으로 공략할 수 있는 원동력을 얻게 됐으며, 스탠다드 캐피탈은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 개발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시총 10위권 암호화폐 속속 결제 수단 채택, 실물결제 생태계 확장 나서



폰허브(Pornhub)가 테더(USDT)를 품었다. 

폰허브는 로고만 봐도 누구나 아는 글로벌 성인 사이트로 지난해 암호화폐 버지(Verge, 코드네임 : XVG)를 결제 수단을 채택했으며, 소속 모델에게 급여를 암호화폐 옴니(Omni)로 제공하면서 국내외 암호화폐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23일(현지시간) 폰허브에 따르면 테더를 결제 수단으로 추가하고, 지갑 트론링크 사용법을 공개했다. 
폰허브 측은 페이팔의 계약 중단으로 소속 모델의 급여 지급에 문제가 생겨 테더를 채택했다고 설명했다.

페이팔의 제한 정책에 따르면 ▲음란한 것으로 간주되는 상품 ▲특정 음란물이나 음란 서비스 ▲증오, 폭력, 인종 대립, 기타 유형의 차별 또는 금전적 착취 범죄 촉진 등으로 파트너와 계약을 종료할 수 있다.

해외 암호화폐 업계에 따르면 폰허브는 테더를 비롯해 트론(TRX), 리플(XRP), 버지(XVG), 옴니(Omni) 등을 결제 수단으로 사용한다. 이 중에서 테더와 리플, 트론은 알트코인의 대장주로 암호화폐 시가총액 10위권 이내로 투자수익률이 보장된 프로젝트로 통한다.

지난해 4월 버지를 결제수단으로 채택하면서 코레이 프라이스(Corey Price) 폰허브 부사장은 "역사적으로 성인엔터테인먼트는 첨단 기술 도입에 크게 공헌했다"라며 "버지 채택으로 암호화폐 업계에 자극이 됐으면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폰허브와 페이팔의 계약 중단을 두고 비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창펑 자오(CZ) 바이낸스 CEO가 "이제 암호화폐 차례인가?"라는 트윗을 남겼기 때문이다. 

예상은 빗나갔지만, 폰허브는 다시 한번 암호화폐 친화 기업으로 평가받을 전망이다. 

Z 코퍼레이션-타오타오와 전략적 제휴를 위한 협상 시작


[비아이뉴스] 정동진 기자=바이낸스가 일본 시장에 재도전한다. 

최근 한국에 지사 설립을 공표한데 있어 엔화까지 법정화폐로 암호화폐를 구입할 수 있는 바이낸스의 FOB(Freedom of money) 플랜을 가속화하고 있다.

20일 바이낸스, Z 홀딩스 등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Z 홀딩스의 자회사 Z 코퍼레이션, 암호화폐 거래소 타오타오(TaoTao)와 전략적 제휴를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3사 협약은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한 포석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현재 타오타오는 일본가상화폐 교환협회(JVCEA)의 1종 회원이자, 일본 금융청의 라이센스를 발급받은 암호화폐 거래소다.

바이낸스의 움직임은 지난해 9월 일본에서 허가를 받은 라인의 자회사 LVC 주식회사와 비슷한 면이 있다. 직접 진출이 아닌 간접적으로 협력해 일본 시장을 우회적으로 진출한 것.

앞서 라인은 라이센스를 발급받기 전에 일본 금융그룹 노무라홀딩스와 블록체인 기반 금융 사업을 진행했다. 단순한 암호화폐 거래가 아닌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업으로 라이센스를 받기 위한 물밑 작업을 미리 해오고 있었던 것.

그래서 라이센스를 받기 위한 부담을 타오타오로 줄이면서 일본 지사 설립까지 노린 바이낸스의 행보에 일본 암호화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문제는 일본 암호화폐 시장의 분위기다. 최근 일본 금융청은 오는 4월 암호화폐를 암호자산으로 바꾸는 법 시행 전에 마진거래 한도를 2배로 축소하겠다며, 의견 수렴에 나섰다.

일본은 거래소 라이센스 발급 외에도 일본 거래소가 취급할 수 있는 암호화폐까지 심사할 정도로 제도권 편입 전부터 규제가 강한 시장으로 통한다.

일본 금융청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22곳에서 거래할 수 있는 암호화폐는 23종이다. 현재 타오타오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라이트코인(LTC), 비트코인캐시(BCH) 등 총 5종을 취급한다.

바이낸스의 FOB에 의해 엔화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 현재까지 확정된 것은 없다. 단지 2018년 3월 23일 바이낸스는 일본에서 무허가 영업을 하다가 적발된 사례가 있으며, 영업 강행을 하지 않아 영업정지만 당하지 않았을 뿐이다.

일본 금융청에 경고를 받아 철수한 이후 재도전하는 배경에 제동이 걸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원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 개발한 BxB 투자, 후오비와 OKEx에 이어 진출

 




바이낸스가 한국 시장을 향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기존 바이낸스 산하 투자전문 자회사에 진행했던 투자가 아닌 바이낸스가 직접 투자했다는 사실까지 공개하면서 한국 시장을 추켜세웠다.

특히 이전부터 한국 진출설에 대해 말을 아꼈던 창펑 자오(CZ) 바이낸스 CEO조차 "아시아에서 블록체인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글로벌 암호화폐 업계 최고의 시장이다"이라 언급할 정도로 이전과 달라진 모습을 보인다.

15일 바이낸스에 따르면 원화기반 스테이블 코인 'KRWB'를 개발한 BXB와 파트너십을 맺고 투자를 진행한다. 또 다양한 국가에서 현지 법인을 설립했던 계획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창펑 자오(CZ) 바이낸스 CEO는 "현재 BxB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한국 시장에서 사업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의 발언으로 바이낸스 한국 진출설은 단순한 소문에 그치지 않고 사실이 됐다.

앞서 바이낸스는 국내에 바이낸스랩스와 바이낸스유한회사를 설립하며, 한국 사용자들을 위한 고객 서비스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3대장 중에서 바이낸스를 제외하고 후오비 코리아와 오케이이엑스 코리아는 국내에 진출, 기반 다지기에 나서고 있다.

이번 바이낸스 행보에 대해 국내 암호화폐 업계 일각에서는 바이낸스의 법정 화폐 대응 계획에 원화(KRW)도 가능성이 있다는 희망 섞인 이야기도 나온다.

현재 바이낸스는 우간다 실링(Ugandan Shilling)을 시작으로 총 24개의 법정 화폐로 암호화폐를 구입할 수 있는 암호화폐-법정 화폐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특히 이미 진출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와 다른 차별화 전략으로 바이낸스의 원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국내 진출 일부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의도적으로 상폐 사실 숨겨


암호화폐 상장과 관련된 소식은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정작 상장 폐지는 유심히 지켜보지 않으면 접할 수 없다.

국내외 거래소가 합심해 구성한 암호화폐 공시 플랫폼 쟁글(Xangle)에서 일부 프로젝트의 상장과 투자유의 종목 지정과 해제, 상장 폐지 등을 확인할 수 있지만, 국내에서 영업 중인 거래소가 참여하지 않아 모든 정보가 반영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에서 영업 중인 일부 암호화폐 거래소는 상장 폐지를 의도적으로 숨겨왔다는 지적이 나온다. 

XX 코리아, OO 코리아 등의 거래소는 영어와 중국 간체와 번체 버전에 거래쌍 제거와 상장 폐지를 안내했지만, 정작 한글 버전에는 '상장 폐지'라는 키워드로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

익명을 요구한 A 거래소 관계자는 "한국에서 영업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상장 폐지 공지를 숨겨놓은 것은 맞다"며 "의도적으로 숨긴 것은 아니며, 영문 버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B 거래소 관계자는 "영업 시작과 동시에 상장 폐지부터 알릴 수가 없다. 이미 글로벌 버전에서 확인할 수 있는 프로젝트고, 원화마켓에 상장된 프로젝트도 아니라서 공지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C 거래소 관계자는 "한 번이라도 특정 코인을 거래한 고객이라면 투자유의나 거래쌍 제거, 입출금 중단 안내 등 상장폐지와 관련된 알림을 받는다"며 "신규 고객들한테 알릴 필요가 없을 뿐 일부러 숨긴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후오비 코리아나 오케이이엑스 코리아 등은 영문과 한글 버전에 상장 폐지를 동시에 게재한다. 일부 암호화폐를 제외하고, 본진과 상장 폐지를 공유해 투자자에게 고지하는 것과 배치된다.

국내외 암호화폐 거래소 업계에 따르면 상장 폐지는 거래소 내부에서 리스팅 팀만 관여하며, 상장 폐지와 관련된 모든 사항은 프로젝트 팀과 긴밀하게 협조해 모든 상황을 공개한다.

그 결과 상장 폐지에 관련된 내용은 프로젝트팀 파산이나 시세조작이나 범죄 행위에 가담하지 않았다면 거래소와 프로젝트팀과 협의해 공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각에서는 거래소와 프로젝트팀이 협의라는 명목으로 짜고 치는 판이라는 극단적인 의견도 있지만, 의혹만 제기될 뿐 사실무근이라는 이야기만 나온다.

D 프로젝트팀 리더는 "상장 폐지는 워낙 민감한 이슈라 숨길 수가 없다. 프로젝트팀의 자발적인 상장 포기가 아닌 이상 거래소의 권한으로 폐지한다"며 "투자유의를 걸어놓고 재단이 일부러 매입하는 행태는 뜬소문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우량 알트코인 제외하고 대부분 거래소 횡포에 시달리는 형국




#1, 에이 코인판에서 비트나 이더빼면 시총이 무슨 소용 있나요? 어차피 홀더나 거래소나 돈 벌려고 코인판에 들어온 건데, 상폐 별거 아닙니다 - 거래소 에이전트 A 씨

#2, 여기가 일반 주식시장도 아니고, 상폐됐다고 코인이 사라지는 거 아니다. 전체 물량의 1%도 소화 못 하는 거래소에서 상폐떠도 별 영향 없어요. 프로젝트 팀이 바보도 아니고... - 프로젝트 팀 리더 B 씨

#3, 거래소는 프로젝트팀, 프로젝트팀은 홀더한데 넘겨받는 건데. 상장피 내고 들어가나 도둑상장으로 납치돼 들어가나. 거래소는 뻔합니다. 어차피 수수료 장사치가 어디 가겠습니까 - 블록체인 미디어 C 씨

최근 <본지>가 알트코인의 상장 폐지 자료를 수집하면서 만난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계 관계자의 이야기다.

8일 국내외 암호화폐 거래소 업계에 따르면 예년과 달리 알트코인의 상장 폐지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여름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자금세탁 방지법 권고안 확정과 2020년 1월에만 EU의 제5차 자금세탁 방지법(5AMLD, Fifth European Union Anti-Money Laundering Directive), 오는 28일 싱가포르에서 시행되는 지불 서비스 법(PSA, Payment Service Act)까지 국제적으로 제도권 편입 후 혁신에서 규제로 돌아서고 있다.

최근 시총 3위는 비트박스, 시총 3천억 온톨로지는 비트지(Bit-Z), 시총 20위 후오비 토큰은 코인슈퍼, 시총 5천억 크립토닷컴 코인은 ABCC, 시총 40위 홀로체인은 디코인에서 퇴출당했다.

일반적인 거래소의 상장 폐지는 ▲프로젝트 팀 해산과 업데이트 중단 ▲ 시세 조작 행위 가담과 불법 행위 ▲ 커뮤니티 활성화와 백서에 명시된 플랜 실행 의지 ▲ 거래량 부족 등이다. 특히 FATF 권고안 확정 이후 G20 회원국을 중심으로 다크코인 퇴출 행렬이 이어진 가운데 상품성이 없는 알트코인 상폐 러시가 진행 중이다.

프로젝트 팀이 해산하거나 자발적으로 거래를 포기하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장 폐지는 상장과 함께 거래소의 권한이다. 알트코인의 시가총액 순위가 높고, 투자 수익률이 높아도 거래량이 0이라면 수수료 장사가 되지 않아 시쳇말로 접는다.

국내 4대 거래소는 투자유의종목 지정과 유예기간을 거쳐 상장을 폐지한다. 이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도 마찬가지다. 거래가 되지 않는 거래쌍(BTC, ETH, USDT)을 제거한 후에 최종적으로 정리한다.

짧게는 2주, 길게는 한 달 이내에 상장을 폐지한다. 주식 시장과 달리 알트코인의 상장 폐지는 수명이 다해서 사라지는 게 아닌 이상 다른 거래소에 부활하는 광경이 익숙하다. 독점 상장이 아닌 이상 도둑과 납치 상장으로 수수료 장사에 열을 올렸던 거래소가 상장 폐지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이유다.

국내 A 거래소에서 상장이 폐지된 프로젝트 팀 관계자는 "거래량 10% 미만이고 원화마켓 외에 목적 거래소 몇 곳에 골고루 상장해서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라며 "거래소만 떳떳하고, 프로젝트 팀은 한탕장사로 치부하는 거래소 업계도 우리랑 비슷하다"고 말했다.

글로벌 B 거래소에서 투자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팀 관계자는 "메인넷 이전 과정에서 거래량이 없어 경고를 받았을 뿐 충분히 소명해서 해제됐다"며 "죄를 지은 것도 아닌데 무조건 거래소의 룰에 맞춰 움직일 수밖에 없는게 알트의 현실이다"라고 전했다.

또 다른 C 거래소 퇴출된 팀 관계자는 "단물 다 빨았으니 뱉는 거다. 더이상 나올 수수료가 없으니까 상폐 경고를 보내는 건데, 이건 비용 태워서 MM하라는 의미다"라며 "프로젝트 팀한테 결제해서 봇으로 자전 돌리라는 신호다"라며 설명했다.

거래소 이용 고객과 상장에 목마른 프로젝트 팀까지 무차별 살포




국내외 암호화폐 거래소를 사칭한 스미싱(Smishing)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지난해 연말부터 시작된 피싱은 거래소를 사칭한 문자뿐만 아니라 프로젝트팀을 노린 상장 수수료까지 노리고 있다.

6일 빗썸, 핫빗 등에 따르면 거래소를 사칭한 문자가 배포되고 있으며, 거래소의 상장팀을 가장해 프로젝트팀을 상대로 상장 수수료를 갈취하는 피싱 사이트까지 개설했다.

빗썸은 지난해 6월에 이어 또 피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입니다"라는 제목과 함께 자산이 위험하다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주소를 옮겨달라는 문자가 무작위로 배포되고 있다. 특히 문자 전체 내용을 확인하기 전까지 기존 빗썸 측에서 발송하는 문자로 가장해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빗썸 관계자는 "빗썸 대표번호로 발신되지 않은 문자는 사칭 문자다.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최근 비트소닉과 제휴를 체결한 코인타이거도 피싱 사이트를 발견해 강력하게 경고했다. 이번에 발견된 피싱 사이트는 <www.cointiger.trade>로 현재 도메인은 삭제된 상태다.

코인타이거는 www.cointiger.one , www.cointiger.com, www.cointiger.pro 등 3개만 사용하며, 나머지는 사칭이다.

코인타이거 관계자는 "3개 사이트 외에는 공식이 아니다. 공식을 제대로 확인할 수 없다면 꼭 공식 채널을 통해 직원에게 연락해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핫빗(Hotbit)은 국내외 프로젝트팀에 상장을 시켜준다며 <listing@hotbit.io>라는 메일로 상장 수수료를 요구하는 이들은 모두 불법이라고 강조했다.

핫빗 관계자는 "핫빗은 공식 사이트 외에는 상장 신청을 받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빗썸이 국세청에 803억 원의 외국인 소득세를 냈다. 현행 세법상 기획재정부가 '가상화폐 투자자 개인에 대한 소득세를 부과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음에도 납부한 배경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2일 빗썸에 따르면 국세청이 부과한 5년 치 외국인 소득세 803억 원을 납부했다. 

빗썸관계자는 ''과세당국의 부과처분에 따라 납부했다. 이후 권리구제 절차에서 충실히 소명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앞서 국세청은 2014년부터 4년간 외국인 거래 내역을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기타소득으로 판단, 원천징수 의무를 부과해 803억 원을 과세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