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에게도 있지 않나요? 그런 추억의 식당

추억의 레스토랑 ~심금을 울리는 추억 시리즈~(원제, 思い出レストラン 〜心にしみる昭和シリーズ〜)는 오뎅집 인정 이야기와 추억의 식당 이야기 시리즈에 이어 등장한 새로운 '레스토랑' 시리즈다. 

화려함보다는 투박함, 빠름보다는 여유, 적당히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타이쿤의 소소한 재미 등 이전부터 선보인 느림의 미학에 초점이 맞춰진 작품이다.

그래서 RPG나 퍼즐, 대전 격투 등의 장르와 달리 경쟁과 생존의 요소가 없다. 오히려 키우기 게임과 다른 방식으로 식당의 레벨(?)을 올리고, 이에 맞춰 테이블과 주문할 수 있는 음식 추가 등으로 서서히 확장하는 방식에 중점을 둔다.

게임 방식은 간단하다. 음식 주문이 들어오면 만들고, 빈 접시가 보이면 부리나케 치우는 방식을 반복하면서 '티끌 모아 태산'처럼 가게의 살림을 서서히 늘려간다. 당연히 음식을 주문하는 손님이 단골로 변모하는 과정은 '손님의 이야기'로 확인, 일종의 도감을 채우는 방식이다. 

그 결과 손님이 선호하는 음식을 사전에 파악하고, 빠르게 대응하면서 골드(게임머니)를 모으는 게 관건이다.

그래서 플레이 성향에 따라 보상형 광고와 인앱 결제로 빠르게 엔딩을 향해 도전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때가 되면 모인다는 생각으로 플레이하는 것도 방법이다. 앞서 언급한 '만들고, 서빙하고, 치우고, 계산하고'로 이어지는 플레이 방식이 엔딩까지 이어지는 덕분에 새로운 메뉴 개방까지 시간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이는 오뎅집이나 추억의 식당 시리즈가 추구하는 느림이다. 작정하고 플레이를 시작한다면 게임의 볼륨에 비해 구현된 콘텐츠가 적은 탓에 제대로 된 재미를 느낄 수 없다. 

다만 이전 시리즈까지 플레이했던 유저로서 이번 작품은 광고 노출 빈도나 인앱 결제 비중과 금액이 전작과 많이 달라진 것을 느낀다. 어른들의 사정에 따라 개발비 상승에 따른 수익 창출의 필요성을 알겠지만, 자기 복제에 치우친 나머지 상술에 치중하면 시리즈의 명맥이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세번째 시리즈의 출발을 알린 작품이지만, 카이로소프트처럼 개선과 진화를 등한시하고 사골 우려먹기에 그친다면 추억 시리즈는 호감에서 비호감으로 바뀐다.

그럼에도 '밥이 거기서 거기지'라는 볼멘소리를 하면서도 자신만의 밥집에서 편하게 먹을 수 있는 공간의 편안함, 방치형 게임 본연의 재미에 충실한 추억의 시리즈 특유의 느림까지 추억에 대해 진지한 담론을 게임으로 풀어낸 작품으로 '추억의 레스토랑'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다운로드 경로

iOS
https://apps.apple.com/kr/app/%EC%B6%94%EC%96%B5%EC%9D%98-%EB%A0%88%EC%8A%A4%ED%86%A0%EB%9E%91/id6504782640

안드로이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jp.co.gagex.rigel

 

추억의 레스토랑 ~심금을 울리는 추억 시리즈~ - Google Play 앱

속도 마음도 따뜻해지는, 심금을 울리는 이야기. 꾸준히 사랑받는 인기 시리즈 『식당 이야기』에 이은 대망의 새로운 시리즈 등장!

play.google.com

 

 

‎추억의 레스토랑

‎어디든 있을 것 같은데, 오히려 어디에도 없다. 당신에게도 있지 않나요? 그런 추억의 식당. 여기는 변두리 동네, 멋드러진 골목. 오래전부터 사람들에게 사랑 받아온, 작은 양식당이 있습니다

apps.apple.com

 

신의탑 M, 위대한 여정 대신 씁쓸한 퇴장

네이버 웹툰 신의탑은 위대했지만, 모바일 게임 신의탑 M은 초라했다.

26일 엔젤게임즈에 따르면 신의탑 M은 6월 21일 서비스를 종료한다. 2022년 4월 20일에 출시, 약 3년 2개월(1,159일) 만에 종료하게 됐다.

신의탑 M은 웹툰 신의 탑을 기반으로 제작된 모바일 RPG로, 원작의 스토리와 세계관을 정교하게 재현한 2D 그래픽 기반의 수준 높은 액션 연출을 앞세웠다. 

IF 시나리오 대신 이야기의 주인공인 스물다섯번째 밤과 함께 원작의 모험을 직접 체험하는 재미, 주인공 캐릭터만을 위한 성장 시스템인 레볼루션 로드와 인연 스킬을 비롯해 다양한 장비 수집을 통한 강화 시스템 등 원작과 게임만의 요소를 접목했음에도 급작스럽게 서비스 종료를 안내했다.

그 결과 일반적인 모바일 게임 서비스 종료와 달리 환불 지침이 생략, 애플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 등 오픈마켓에서 직접 환불을 접수해야 하는 등 불편함을 초래했다.

엔젤게임즈 관계자는 "내부 사정 속에서도 파트너사와 협력해 서비스를 이어가기 위해 협의를 진행해 왔으나, 파트너사 측 서비스 환경이 강제로 종료됨에 따라 서비스를 지속할 방안을 찾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라고 전했다.

빅게임스튜디오가 블랙클로버 모바일 서비스를 8월 20일 종료한다. 2023년 5월 25일에 출시, 약 2년 1개월(764일) 만에 종료하게 됐다.

블랙클로버 모바일은 일본 애니메이션 ‘블랙클로버’ IP로 개발된 수집형 RPG로, ▲3D로 완벽하게 표현한 카툰 렌더링 캐릭터 ▲콘솔 RPG 방식의 거점 기반 시스템 ▲스킬 연계에 집중한 전략적 전투 ▲월드맵을 통한 마법세계 탐험 등을 앞세웠음에도 애니메이션 RPG의 2년 차 징크스를 극복하지 못했다.

특징으로 애니메이션의 감성을 녹인 몰입도 높은 게임플레이를 제공한다.

이미 신규 다운로드와 인앱 결제는 차단됐으며, 서비스 종료 안내일(6월 20일)을 잔여 캐시에 한해 기준으로 8월 20일부터 9월 19일까지 환불 신청을 받는다.

빅게임스튜디오 관계자는 "블랙클로버 모바일을 즐겨주신 마도사님들께 마지막 인사를 드린다"라고 전했다.

CFX 코인 리스트서 제외돼 즉각 정리




업비트 인도네시아의 상장 폐지가 다시 시작됐다. 인도네시아 바스프 CFX에서 거래 중인 프로젝트만 허용하겠다는 현지 분위기에 따라 거래쌍 청소에 한창이다.

26일 업비트 APAC, 업비트 인도네시아 등에 따르면 스트라이크(STRIKE), 모스 코인(MOC), 히포 프로토콜(HP), 피르마체인(FCT2) 등 프로젝트 4종이 비트코인 마켓에서 사라진다. 

지난 2월 인도네시아 화이트 리스트 코인이 CFX 코인 리스트에서 변경, CFX에서 거래되지 않는 프로젝트는 CFX 얼라이언스도 취급하지 않는다는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미 업비트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현지 바스프는 상장 목록과 상폐 프로젝트를 설명하면서 CFX의 존재를 강조하고 있다.

업비트 원화 마켓에서 거래 중인 모스코인(MOC) / 자료=업비트

이미 스웰네트워크(SWELL)로 시작해 아하토큰(AHA), 하이파이(HIFI) 등이 이러한 연유로 상장 폐지됐고, 이번에 공개된 명단도 CFX 리스트의 영향이 크다. 문제는 업비트 인도네시아에서 거래 중인 프로젝트 중에서 상장 폐지 리스트가 남아 있고, 순차적으로 정리 중이다.

일례로 밀크(MLK)는 인도닥스의 2월 상장 폐지 리스트에 존재했지만, 업비트 인도네시아는 거래 중이다. 하지만 밀크의 코드 네임과 부여된 일련번호가 없는 탓에 상장 폐지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다이(DAI)에서 이름을 바꾼 유에스디에스(USDS)도 상폐 후보군으로 꼽힌다.

6월 25일자 상장 폐지 리스트는 업비트 본진이 오더 북 공유 방식으로 업비트 인도네시아에 거래쌍을 개설, 향후 줄상폐가 이어질 전망이다. 단 업비트 인도네시아를 포함해 현지 바스프에서 사라지더라도 업비트 본진이 거래 물량의 대부분을 차지, 당장 프로젝트 수명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업비트 의존도가 높아지고, 목적 거래소를 찾지 못한다면 업비트의 투자 유의 종목 지정이 곧 가격 급락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USDC.e|USDC Bridge on WEMIX

써클 민트 계정 가입을 제휴로 볼 수 있을까?

위믹스(WEMIX)가 써클, 체인링크(LINK) 등과 협력해 USDC.e를 도입한다는 자료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일각에서는 과연 이들과 협력이라는 단어를 언급할 정도의 제휴인지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식으로 체결된 제휴로 사업 파트너 관계가 성립됐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반대라면 역풍을 제대로 맞는다.

우선 USDC.e는 유에스디코인 브릿지(USDC Bridge) 혹은 브릿지드 유에스디 코인(Bridged USDC)으로 표기한다. 비록 유에스디코인이라는 코드 네임을 사용하지만, 업비트나 빗썸,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에 상장할 수 없는 토큰이다. 그래서 덱스(DEX)나 일반적인 거래소에서 USDC로 교환해야 한다.

지난 23일 위믹스가 언급한 유에스디코인 브릿지는 ▲WEMIX Bridged USDC(WEMIX) 혹은 ▲USDC Bridge on WEMIX로 표기해야 한다. 그 이유는 유에스디코인은 써클(Circle)이 발행한 이더리움 기반 프로젝트 USDC와 구분해야 하기 때문이다.

브릿지의 의미는 써클이 아닌 제3자 네트워크에서 발행한 프로젝트다. 시쳇말로 길건너 친구들처럼 이더리움 기반 유에스디코인과 멀티체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유에스디코인은 다르다.

24일 써클 인터넷 그룹에 따르면 유에스디코인은 ▲알고랜드(ALGO) ▲앱토스(APT) ▲아비트럼(ARB) ▲아발란체(AVAX) ▲베이스(BASE) ▲셀로(CELO) ▲이더리움(ETH) ▲헤데라(HBAR) ▲리니아(Linea) ▲니어 프로토콜(NEAR) ▲노블(NOBLE) ▲옵티미즘(OP) ▲폴카닷(DOT) ▲폴리곤 에코시스템 토큰(POL) ▲솔라나(SOL) ▲소닉(SONIC) ▲스텔라루멘(XLM) ▲수이(SUI) ▲유니체인(UNI) ▲월드체인(WLD) ▲엑스알피 렛저(XRPL) ▲지케이싱크(ZK) 등 총 22개의 멀티 체인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즉 22개 멀티 체인은 써클의 심사를 거쳐 '써클 민트' 계정 권한을 부여받은 제3자 네트워크다. 예를 들면, 앱토스에서 발행한 유에스디 코인은 USDC Bridge on APTOS 혹은 USDC Bridge on APTOS로 표기한다.

또 네트워크는 테스트넷과 메인넷을 공개하며, 스테이블 코인을 규제하는 국가에 법령에 따라 입출금 API에 제약을 건다. 특히 유로코인(EURC)은 현재 아발란체, 베이스, 이더리움, 솔라나, 스텔라루멘 등 5개 네트워크만 지원한다.

정리하면 위믹스달러(WEMIX$) 홀더는 위믹스 달러 모듈 서비스로 ▲WEMIX Bridged USDC(WEMIX) 혹은 ▲USDC Bridge on WEMIX로 교환, 다시 유에스디코인(USDC)으로 바꿀 수 있다.

하지만 지난 23일 위믹스 재단 측이 배포한 자료는 의문투성이다. 별도의 심사를 거쳐 자료를 배포했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유에스디코인 민팅 크루 수준에 불과한 계정 권한 등급을 협업과 협력으로 과대 포장했다면 문제가 있다.

그게 아니라면 정확한 설명으로 필요한 말만 했다면 좋지 않았을까.


위믹스 스캔의 유에스디코인(6월 24일 오전 0시 35분 확인)

USDC on WEMIX(네이티브) / USDC
0xE3F5a90F9cb311505cd691a46596599aA1A0AD7D

USDC Bridge on WEMIX / USDC.e
0x44bB111010DfFfb3695F9a1B66aa879976199e7b

바이낸스 재팬, 60번째 거래쌍 개설 예정

바이낸스 재팬은 애견 카페인가. 이미 거래 중인 시바이누(SHIB)와 도지코인(DOGE)에 이어 네이로(NEIRO)도 입양했다. 

23일 바이낸스, 바이낸스 재팬 등에 따르면 오는 25일 이더리움 기반 밈코인 네이로(NEIRO)의 거래를 시작한다. 거래쌍 NEIRO / JPY가 개설되면 바이낸스 재팬은 프로젝트 100까지 40개를 남겨두게 된다.

네이로의 풀 네임은 퍼스트 네이로 온 이더리움(First Neiro On Ethereum)으로 바이낸스 재팬이 발굴한 60번째 프로젝트이자, 일본의 114번 째 암호자산으로 등재될 예정이다. 앞서 시바이누와 도지코인 등 밈코인의 거래쌍을 보유, 이번 네이로까지 페페와 함께 밈코인 메타를 완성했다.

빗썸 원화마켓에서 거래 중인 네이로(NEIRO) / 자료=빗썸

하지만 밈코인은 기술보다 커뮤니티의 놀이 문화에 가까워 특정 시기와 상황에 따라 가격이 요동치는 프로젝트로 분류된다. 특히 네이로는 발행일 기준으로 1년도 되지 않은 프로젝트로 초반 인지도 상승을 위해 인터넷에 공개된 비탈릭 부테린 지갑에 전송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국내는 빗썸과 코인원의 원화 마켓에서 거래 중이지만, 거래 물량의 30%는 바이낸스 글로벌의 테더 마켓에 소화 중이다. 이전부터 바이낸스 재팬은 바이낸스 글로벌에서 거래 중인 프로젝트를 업비트와 업비트 APAC의 오더 북 공유처럼 활용, 거래쌍을 늘려가고 있다.

단 프로젝트 100을 위한 거래쌍 100개는 SEBC 인수 이후 화이트 리스트 코인 발굴보다 거래쌍 확충에 집중, 이전보다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이다.

테더(USDT) 준비금 규모 / 자료=테더

스테이블 코인이 때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 제대로 된 현행 법령이 없는 틈을 타 흡사 테마주와 분위기에 편승한 흐름이 이어지면서 스테이블 코인이 시장에서 유망한 사료처럼 사용되고 있다.

과거 테라 루나 쇼크 이후 국내외 암호화폐 업계가 무담보 코인 내지 알고리즘 코인의 위험성을 인지, 가상자산과 암호화폐의 범주에서 규제의 장벽을 쌓아 올리는 데 집중했다. 이에 비해 국내는 테라 쇼크 이후 스테이블 코인의 규제가 사실상 없어 특금법 시행 이전의 무법지대가 펼쳐지고 있다.

이미 스테이블 코인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지극히 상식적인 부분에 대해 논의를 등한시하면서 정책 남발과 스캠 난립 등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2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가상자산은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그에 관한 일체의 권리를 포함한다)다. 이에 비해 화폐·재화·용역 등으로 교환될 수 없는 전자적 증표 또는 그 증표에 관한 정보로서 발행인이 사용처와 그 용도를 제한한 것은 제외한다.

그렇다면 스테이블 코인은 전자 증표이면서 경제적 가치를 담보하고 있다. 거래와 이전이라면 전자, 교환할 수 없다면 후자다. 당연히 후자는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라 간편 결제로 분류, 지역사랑상품권법처럼 발행부터 자금 관리, 등록과 환전 등 세부적인 조항이 필요하다.

단지 스테이블 코인이 속칭 뜨겁다고 해서 기존 법령의 규제 대신 새로운 법으로 업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은 무모하다. 오히려 현재 금융위가 접수를 받고 있는 '제2차 혁신금융서비스'에 스테이블 코인 사업을 포함시켜 성공과 실패를 논할 수 있을 정도의 자료 축적이 필요하다.

일부 업체가 스테이블 코인 상표권을 등록하고, 해외 스테이블 코인의 기준에 맞춰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말은 불과 몇 년 전 코인판에서 벌어진 현상과 비슷해 기시감이 든다.

스테이블 코인이 가상자산과 토큰 증권, RWA나 NFT와 다르더라도 결국 'Same business, Same risk, Same rule'에 따라 규제의 장막이 우선이다. 무턱대고 장밋빛 미래만 제시하면서 현실적인 대안도 없고, 스테이블 코인이 대세가 될 것이니 도입이 시급하다는 말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래서 스테이블 코인이 무엇 때문에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다면 과거 스캠과 다를 게 없다. 기존보다 뛰어난 결제수단 혹은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이상 실험과 검증 없이 실전 배치 공약만 남발하는 게 정상인가.

아직 정신 못 차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