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사 영화로 무대를 옮긴 세포들의 열혈 모험기




내 몸의 백혈구와 적혈구를 소중히 아끼는 일하는 세포가 실사 영화로 넷플릭스에 공개됐다. 지난해 일본 현지서 개봉한 영화지만, OTT에 공개된 원작 애니메이션과 실사 영화가 '일하는 세포' 테마로 묶여 한 번에 볼 수 있게 됐다.

그래서 영화 일하는 세포는 원작의 팬이라면 애니메이션과 영화의 미세하게 달라진 결을 확인할 수 있고, 원작의 존재를 모르고 접한 시청자라면 계몽 영화 내지 거꾸로 원작을 찾아가는 역주행의 묘미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초반에 등장하는 각종 병균(?)의 모습은 흡사 특촬물의 빌런처럼 기괴한 복장과 CG가 어우러지며, 자칫 B급 영화의 감성을 가진 작품으로 치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원작의 주인공이자 백혈구 1146과 적혈구 AE3803의 모습은 여전했다. 

극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칫 오글거림과 진지함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대사를 내뱉는 모습 또한 원작의 분위기를 이어간다.

원작의 특정 에피소드보다는 이야기의 큰 흐름에 주요 에피소드를 녹여낸 구성을 채택, 부담 없이 감상할 수 있는 평범한 오락 영화로 거듭났다. 백혈구 1146이 살벌한 대사를 읊어가면서 호전적인 캐릭터를 묘사한 것도 원작이나 영화나 백혈구의 역할과 기능에 충실할 수밖에 없었다. 

또 시쳇말로 하루 종일 짐 나르기에 바쁜 적혈구의 모습도 각자 맡은 지역(?)에 따라 희생되거나 산소 택배에 집중하는 것도 적혈구의 기능에 의미를 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체의 신비를 탐험하는 학습용 영화라 무방할 정도로 원작 재현도 잊지 않았다.

다만 여러 개의 에피소드를 나열하면서 캐릭터의 역할과 성격을 규정했던 원작에 비해 실사 영화는 압축본에 가까운 탓에 백혈구와 적혈구, 그리고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가 생략된 점이 아쉽다. 오히려 애니메이션처럼 시즌제 드라마처럼 구성했다면 스쳐 지나가는 역할보다는 이야기의 이음새가 매끄러웠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럼에도 캐릭터의 성격을 살리고자 리즈(?) 시절의 백혈구와 적혈구, 그들이 눌러쓴 모자에 깨알같이 적힌 일련번호까지 원작의 매력을 살리고자 세세한 소품까지 신경 쓴 점은 후한 점수를 준다. 특히 아버지와 딸의 상황에서 복통으로 인한 절망과 풋풋한 사랑의 감정을 밀어내기와 클럽 파티로 자연스럽게 연결한 설정은 일하는 세포만 할 수 있는 한 편의 시트콤이었다.

자극적이고 폭력적인 설정보다는 한 편의 과학 영화처럼 때로는 진지하고, 가볍지 않게 각종 캐릭터를 앞세워 몸의 소중함을 일깨운 일하는 세포는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kr/title/81779207

 

일하는 세포 | 넷플릭스

호시탐탐 인간의 몸에 침입하려는 각종 세균과 병원균 그리고 끊이지 않는 갖가지 위험 요소들. 새내기 적혈구와 냉철한 백혈구가 신체를 지키기 위해 몸 안에서 사상 최대의 전쟁을 시작한다.

www.netflix.com

 

30일 기준 하루 평균 거래량 5만 달러 미만 정리

어댑터 토큰(ADP)이 HTX에서 퇴출된다. 바이낸스와 오케이엑스 등과 글로벌 거래소 3대장으로 분류되는 HTX는 국내 거래소 업계의 투자 유의 종목 지정처럼 ST라 불리는 스페셜 트리트먼트를 거쳐 상장 폐지를 진행한다.

16일 HTX에 따르면 어댑터 토큰을 포함해 버블(BUBBLE), 디챗(DECHAT), 디센트럴라이즈드 소셜(DESO), 몽코인(MONG), 메손 네트워크(MSN), 피자(PIZZA), 파시크(PRQ), 래빗(RAB), 실리 드래곤(SILLY), 소라(SORA), 업랜드(SPARKLET), 도날드 트렘프(TREMP) 등 프로젝트 13종을 오는 17일 오전 7시를 기해 상장 폐지한다.

일반적인 상장 폐지지만, HTX는 오케이엑스와 마찬가지로 거래량 부족에 따른 수수료 급감을 내세워 정리한다.

빗썸 원화 마켓에서 거래 중인 어댑터 토큰(ADP) / 자료=빗썸

HTX의 상장 폐지는 하루 거래량이 10만 달러 미만으로 보름 이상 지속되면 ST로 분류한다. 이후 ST 아이콘이 배정된 이후 30일 동안 개선의 여지가 없다면 상장 폐지가 진행되며, ST 없이 하루 거래량 5만 달러 미만으로 30일 이상 지속되면 즉시 상장 폐지가 된다.

국내 거래소 업계처럼 투자 유의 종목으로 지정돼 최소 2주에서 30일 동안 재심사가 진행되는 것에 비해 거래량 부족이 핵심이다. 이들의 특징은 무통보 상장 폐지가 가능하도록 약관에 배치, 글로벌 거래소의 상장 폐지 규칙을 국내에 적용하면 이른바 알트코인 대청소가 발생한다.

이번 상장 폐지 목록에서 어댑터 토큰은 HTX에서 정리되더라도 빗썸 원화 마켓의 물량이 받쳐주고 문제가 없다. 대부분 알트 코인이 게이트와 쿠코인 등 2차 거래소가 버텨주고 있지만, 래빗의 경우 HTX에서 방출되면 목적 거래소가 없는 탓에 알트코인의 수명을 다하고 사라진다.

카카오게임즈가 에버소울(현지 서비스 이름, エバーソウル) 일본 서비스를 8월 20일 종료한다. 2024년 5월 29일에 출시, 약 1년 3개월(449일) 만에 종료하게 됐다.

에버소울은 카카오게임즈의 서브컬처 유닛으로 나인아크가 개발한 수집형 RPG다. 이 게임은 판타지 세계관으로 기반으로 정령의 부름을 받은 ‘구원자’가 되어 정령술사로서 다양한 정령들을 지휘, 강력한 적을 무찌르고 세계를 구한다는 이야기를 앞세운 타이틀이다.

게임업계의 글로벌 원빌드가 아닌 에버소울은 로컬 빌드를 별도로 출시, 글로벌 빌드(2023년 1월 5일 출시)가 선행 출시된 이후에 일본 빌드는 약 1년 6개월 뒤에 출시됐다. 이번 서비스 종료는 일본 빌드 한정이며, 글로벌 빌드와 국내 서비스 영향은 없다.

에버소울의 일본 빌드는 서비스 종료 전까지 신규 정령 추가 대신 게임 내 보상 증가와 복각 이벤트 등을 진행, 파이널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이번 서비스 종료는 일본 빌드 한정이며, 글로벌 빌드와 국내 서비스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온 힘을 다해 함께 노를 저었던 조정부 소녀들

기빗올 우리들의 썸머(원제, がんばっていきまっしょい)는 원작 소설 힘내서 갑시다(작가 시키무라 요시코)를 기반으로 영화와 드라마 등으로 소개된 바 있고, 배급사 측은 워터 보이즈, 스윙걸즈 등과 함께 일본 청춘 영화의 시초가 된 작품이라고 설명한다.

앞서 소개했던 애니메이션에서 CG 작업은 기존 2D와 다른 스타일이기 때문에 이질감이 느껴지나 '기빗올 우리들의 썸머'는 어색함이 덜하다. 아마도 SF나 판타지, 이세계, 메카닉과 달리 목소리 배우의 연기와 캐릭터의 표정 등으로 대사를 전달한 덕분에 감정선이 살아난 듯하다.

이 작품을 보고 느낀 점은 TV 예능 '무한도전 조정 특집'과 비슷하지만 조금은 결이 다른 뭉클함이 떠오른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를 소재로 애니메이션과 영화 등은 교과처처럼 전개되는 방식을 채택한다. 그래서 좌절과 노력, 갈등과 화합 등 반대급부의 감정을 투영하는 캐릭터를 배치, 결국은 승리나 우승 혹은 우승의 문턱에서 좌절하면서도 같이 땀과 눈물을 흘렸던 이들의 감정을 초점을 맞춘다.

애니메이션으로 태어난 기빗올 우리들의 썸머도 이러한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혹자는 뻔한 스토리에 진부한 전개라고 하지만, 이전에 사용하지 단어 중 하나인 '빌드업'을 떠올린다면 하나씩 쌓아 올리는 조정부 소녀들의 이야기가 묘한 울림이 있다.

조정은 다른 스포츠와 달리 결승선을 등 뒤에 두고 경기한다. 보통 질주라는 표현은 앞을 보고 달려가지만, 정작 조정은 노를 젓는 팀원들은 팀원의 등과 숨소리, 그리고 노를 젓는 소리조차 듣지 못한다. 딱 한 사람만 호흡을 맞출 수 있도록 소리를 지를 뿐 조용히 나아갈 수 있도록 각자의 역할에 최선을 다할 뿐이다.

그래서 조정이라는 스포츠와 소녀들의 우정이 빛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또 누구에게나 한 번쯤 그리고 스쳐 지나가서 제대로 기억할 수 없는 신록(新綠)의 푸르름을 알려주고 싶었던 작품이 아닐지 생각한다.

분명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감동의 메시지를 전달했던 작품이었기에 관점에 따라 애니메이션으로 탄생한 '기빗올 우리들의 썸머'의 감흥은 이전보다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작품이 말하고 싶었던 메시지는 소설이나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모두 '포기하지마'라는 희망을 품고 살아가라는 바람이다.

참으로 묘한 시기에 개봉하는 '기빗올 우리들의 썸머'는 그 시절에 빛났던 청춘(靑春)을 소환, 희망과 열정을 다시 떠올리게 한 소중한 작품으로 기억할 듯하다. 또 하나의 첨언은 개인적으로 귀멸의 칼날의 네츠코의 목소리를 '기빗올'에서 만날 수 있어 기뻤다.

제목: 기빗올: 우리들의 썸머
감독: 사쿠라기 유헤이
목소리 출연: 아마미야 소라, 이토 미쿠, 타카하시 리에, 키토 아카리, 하세가와 이쿠미 외
수입/배급: 찬란
공동제공: 소지섭, 51K
개봉: 2025.06.18

비트포인트 재팬,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거래 시작




밈코인의 아이콘 오피셜 트럼프(TRUMP)가 일본 암호자산 시장에 입성한다. 상반기 화이트 리스트 코인 발굴 소식이 뜸했던 일본 암호자산 업계지만, 특정 상황과 시기에 따라 요동치는 밈 코인을 두고 이전과 달라진 풍경이 감지된다.

13일 JVCEA, 비트포인트 재팬 등에 따르면 오피셜 트럼프의 첫 거래를 시작한다. 

비트포인트 재팬은 프로젝트 제노(GXE), 페페코인(PEPE), 오시 토큰(OSHI), 캡틴 츠바사(TSUGT) 등을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발굴한 바 있다. 국내 암호화폐 업계에서 카이아(KAIA, 옛 클레이튼)를 발굴한 일본 1종 암호자산 거래소지만, 시바이누(SHIB) 이후 밈코인과 P2E 프로젝트 등으로 구성된 라인업을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소개하고 있다.

일본 암호자산 업계는 SBI 홀딩스 그룹의 계열사가 취급하는 프로젝트 등급을 구분, 특정 프로젝트 특화 바스프로 자리매김하려는 전략이 아닌가하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SBI 홀딩스 그룹은 SBI VC 트레이드, SBI FX 트레이드, 비트포인트 재팬 등 거래소 3곳의 주인이다.

비트포인트 재팬도 SBI 계열사로 합류 전까지 에이다(ADA)나 트론(TRX)을 소개했지만, 인수 이후 밈코인 위주로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비해 SBI VC 트레이드는 체인링크(LINK)를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소개한 이후 USD 코인(USDC) 취급과 DMM 비트코인 합병 등 몸집과 양질의 라인업을 꾸리고 있다.

그래서 오피셜 트럼프의 일본 암호자산 입성을 두고, SBI VC 트레이드가 아닌 비트포인트 재팬이 취급한 배경에 대해서도 '버리는 카드'라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추억은 간직할 때 아름답다...밀리언아서 링, 7개월 만에 단명

뉴큐브게임즈가 밀리언아서 링 서비스를 7월 15일 종료한다. 2024년 11월 27일에 출시, 약 8개월(231일) 만에 종료하게 됐다.

밀리언아서 링은 스퀘어에닉스의 공식 라이선스를 받아 퍼펙트 월드 게임즈 산하 밀리언 스튜디오가 개발한 턴제 카드 액션 RPG다. 밀리언아서 시리즈 특유의  다양한 카드를 조합해서 자신만의 덱을 완성하는 재미를 앞세웠지만, 정작 실질적인 서비스는 6개월을 채우는 데 그쳤다.

이미 신규 다운로드와 인엡 결제는 차단됐으며, 8월 14일까지 환불 신청을 받는다.

뉴큐브게임즈 관계자는 "남은 기간 마지막까지 즐겁고 의미 있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판도(PANDO)는 괜찮나...판도니아의 전설, 1300일 앞두고 사라진다

조이블이 판도니아의 전설 서비스를 7월 11일 종료한다. 2022년 1월 14일에 출시, 약 3년 6개월(1,275일) 만에 종료하게 됐다.

판도니아의 전설은 아르메스 대대륙 영웅 소환, 업그레이드, 수집, PvE, PvP 전투, Link 시스템 등을 앞세운 수집형 RPG다. 자칫 평범한 모바일 게임으로 인식됐지만, 실제는 판도(PANDO) 코인이 탑재된 P2E 프로젝트다.

현재 게이트가 판도 물량을 대부분 소화하고 있지만,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판도의 운명도 결정될 전망이다.

이미 신규 다운로드와 인앱 결제는 차단됐으며, 5월 12일부터 6월 12일까지 결제한 금액만 내부 기준에 따라 7월 11일까지 환불 신청을 받는다.

조이블 관계자는 "판도니아의 전설에 많은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신 용사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서비스 종료라는 유감스러운 소식을 안내드리게 되어 죄송한 마음"이라고 전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