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의 암호화폐 관련 규제 부재로 초기 협의 사항 엇갈려




대만에서 국위선양에 앞장서고 있는 스마일게이트의 MMORPG 유닛 로드나인이 라인 넥스트(LINE NEXT)에 발목을 잡혔다. 

지난 7월 라인 넥스트가 스마일게이트와 협력해 로드나인의 아이템 마켓을 준비 중이라는 공식 자료는 사실과 전혀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항목에서 사실과 전혀 다른 항목이 공개됐으며, 미디어를 대상으로 공개된 자료 전문은 일부 국가에서 삭제돼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11일 라인 넥스트에 따르면 9월 중 공개를 앞둔 로드나인 대만 빌드의 아이템 마켓은 NFT가 아닌 일반 아이템을 판매할 예정이다. 

이미 티저 사이트가 공개된 이후 예약자에 한해 카이아(KLAY)가 보상 특전으로 제공됐고, 설명 자료에서도 애플페이와 구글 페이, 카이아 토큰으로 로드나인의 아이템을 살 수 있다는 자료가 배포됐음에도 두 달이 지나도록 방치 중이다.

대만은 국내 특금법-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금융위로 이어지는 규제와 관리·감독기관의 부재가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태국과 마찬가지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정회원도 아니며, 아시아 태평양 자금세탁방지구(Asia/Pacific Group on Money Laundering) 회원국으로 이름을 올린 게 전부다. 그래서 법 시행 시기와 법에 명시된 암호화폐의 용도와 범위에 따라 아이템 마켓 자체의 존립 여부가 달라진다. 

문제는 라인 넥스트가 스마일게이트, 엔엑스쓰리게임즈 등과 협의할 때 규제 리스크에 대해 논의했는 지 여부다. 또 라인 넥스트가 7월에 공개한 'LINE NEXT and Smilegate’s Strategic Collaboration for a Gamer-Centric Gaming Economy' 제하의 자료가 스마일게이트와 협의를 이뤘는 지도 물음표다.

9월 11일부터 개발사 자체 서비스로 전환




테일즈런너를 위해 함께 뛰었던 스마일게이트와 라온엔터테인먼트가 아름다운 이별을 준비한다. 과거 나우콤 시절부터 서비스, 19년 차 장수 온라인 게임으로 입지를 다졌던 테일즈런너는 라온엔터테인먼트의 서비스로 전환된다. 

8일 스마일게이트, 라온엔터테인먼트 등에 따르면 양사는 계약 연장 대신 퍼블리싱 계약을 종료, 라온엔터테인먼트는 자체 서비스로 스마일게이트는 채널링 사업 파트너로 변경된다.

이로써 계약 종료에 따른 DB 이관 대신 스마일게이트는 퍼블리싱에서 채널링으로 전환, 개발사와 퍼블리셔가 게임의 원활한 서비스를 위해 양측이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게임업계는 피파 온라인2, 서든 어택, 크로스파이어, 스페셜 포스 등 개발사와 퍼블리셔의 분쟁으로 선량한 유저들이 피해를 본 사례가 종종 있었다. 서비스 초기 개발사와 퍼블리셔의 구조로 개발과 서비스를 분담했지만, 서비스 기간에 비례해 게임의 흥행 여부에 따라 양측이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해 서비스 일정이 차질을 빚기도 했다.

하지만 테일즈런너는 여러 차례 계약 연장 끝에 재연장 대신 개발사와 퍼블리셔가 각자의 역할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테일즈런너는 9월 10일 스마일게이트의 서비스 빌드는 종료된다. 대신 개발사는 한게임과 스마일게이트 등 두 곳에서 채널링 방식으로 전환, 서비스의 주체가 개발사 중심으로 재편된다. 이후 개발사의 서비스 역량이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스마일게이트 관계자는 "테일즈런너의 다양한 모습을 기대해 주시기를 진심으로 바라며, 스마일게이트 또한 런너 여러분과 같은 자리에서 계속 응원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대한민국 평정 꿈꿨던 전국제패M 5개월 만에 고배



스마일게이트가 전국제패M 서비스를 10월 5일 종료한다. 2023년 5월 16일에 출시, 약 5개월(143일) 만에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

전국제패M은 페퍼콘에서 개발, 화려한 이펙트와 함께 준수한 타격감으로 느와르 장르 특유의 손맛을 강조한 3D 횡스크롤 액션 RPG다. 대한민국 실제 지명으로 이루어진 구역을 무대로 싸웠던 장점을 앞세웠지만, 아쉽게도 6개월도 채우지 못했다.

이미 신규 다운로드와 인앱 결제는 차단됐으며, 10월 5일부터 11월 3일까지 환불 신청을 받는다.

스마일게이트 관계자는 "그동안 많이 부족했던 전국제패M을 좋아해 주시고, 즐겨주신 선배님 여러분의 성원에 깊이 감사의 말씀 전해드린다"고 말했다.

음악으로 들었던 천일야화...더뮤지션, 3월 30일 고별 연주회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가 더뮤지션 서비스를 3월 30일 종료한다. 2017년 8월 7일에 출시한 이후 약 3년 8개월(1,320일) 만에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

더뮤지션은 '행복한 피아니스트 for Kakao'로 알려진 라이머스(구 아이즈소프트)가 개발, 국내외 대중적인 여러 장르의 음악들을 피아노, 기타, 드럼 등 10여 종의 다양한 악기로 연주해보는 리듬 액션 게임이다.

전작보다 소셜 기능을 강화해 자신이 연주한 곡을 SNS를 통해 친구들에게 공유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버스커 모드'를 통해 다른 유저가 부른 노래를 연주곡으로 플레이 하고 의견을 남기는 등 유저들의 감성을 자극했던 작품이다.

이미 신규 다운로드와 인앱 결제는 차단됐으며, 3월 31일까지 환불 신청을 받는다.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 관계자는 "더뮤지션에 보내주신 애정에 다시 한번 감사 드리며, 뮤지션 여러분과 함께한 추억 잊지 않겠다"고 전했다.

번역가 공개 모집하는 글 올리면서 '보수나 보상' 언급하지 않아 화 키워




스마일게이트가 인디게임 한글화를 위해 번역과 관련된 참여 보상을 생략한 이른바 '열정페이' 뉘앙스의 글을 올려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결국 사과했다. 하지만 사과문에 언급된 '번역 수준에 따른 차등 보상'이 또다시 도화선이 되면서 논란은 다시 커지고 있다.

22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스마일게이트 스토브 관계자가 네이버 카페 한식구(한글화를 하는 사람들의 모임)에 한글화 팀을 찾는다는 구직글을 올리면서 카페 회원들의 날선 비판이 이어졌다.

한식구는 개발사의 규모와 국적을 막론하고 '한글화'를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운영 중인 커뮤니티다. 그래서 개인이나 기업의 요청보다 '게임을 한글로 플레이하고 싶다'는 취지를 살려 순수한 한글화를 진행하고, 이들의 노력으로 빛을 본 작품도 다수 있다.

이번에 문제가 된 부분은 카페의 구인구직란에 'STOVE인디에서 한글화 팀을 초청드립니다'라는 글을 올리면서 번역한 작업물이 '공식적으로 게임에 적용되며, 게임 크레딧에 참여자의 공헌이 표시됩니다'라는 문구였다. 이는 보상이나 계약을 생략하고 번역가나 번역팀의 작업물을 게임에 반영하는 대신 개발자 크레딧에 이름만 올려주겠다는 내용이었다.

이를 접한 일부 회원들은 '커뮤니티 번역 날로 먹으려 든다'며 날 선 비판을 이어갔다. 이는 곧 열정페이와 다를 바 없는 사안으로 한글화를 위한 노력과 고생은 이름만 표기해주고, 보상과 관련된 사안은 일절 언급하지 않아 화를 키운 셈이다.

그래서 사과문을 올려 일단락되는 듯 했지만, 이번에는 차등 보상 이슈가 새로운 화제로 떠올랐다.

스마일게이트 스토브 측은 번역의 내용과 게임의 상태, 번역팀 또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보상 수준을 언급했지만, 상황에 따른 비용 증감이 다시 문제가 됐다. 기업 차원에서 인디게임 알리기의 취지는 좋지만, 계약을 통한 일괄 비용 정산과 추가 비용 발생 부분을 언급하지 않아 문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사과문을 올렸음에도 논란의 불씨가 살아있는 이유는 '한식구'가 전문번역 업체가 아닌 커뮤니티이기 때문이다. 기업의 이윤과 배치되는 금전적인 보상보다 순수한 취미의 영역에서 활동하는 이들에게 업체 간 진행되는 차등 계약의 잣대를 대면서 구인구직글과 사과문까지 악수를 뒀다는 평이다.

'PC도 모바일도 혼란' 카오스마스터즈, 3주년 앞두고 중단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가 카오스마스터즈 서비스를 8월 27일 종료한다. 2017년 8월 29일에 출시한 이후 약 3년(1,095일) 만에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

카오스마스터즈는 PC 온라인 게임 '카오스 온라인' 기반의 모바일 RPG로, 온라인 게임에 이어 모바일 게임도 네오액트가 개발했다. 

원작이 AOS라면 모바일 게임은 턴제 RPG로 전환, 레오닉과 루시퍼 등 카오스 온라인의 인기 캐릭터를 수집해 직접 육성하는 재미와 신성연합과 불사군단 간의 대결을 그린 스토리와 결투장, 공성전, 난투장 등 PVP를 비롯해 길드 점령전, 성벽방어 등 PVE 등 카오스마스터즈만의 콘텐츠를 강조했다.

이미 신규 다운로드와 인앱 결제는 차단됐으며, 서비스 종료 이후 환불 신청을 받는다.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 관계자는 "많은 아쉬움을 남긴 채 이별을 전하게 됐지만, 함께 했던 소중한 추억들은 항상 가슴속에 담아두겠습니다"라고 전했다.

게임온, 검은사막 빈자리 '로스트아크'로 채워 하반기 성장 동력 삼아


로스트아크에 러시아에 이어 일본에서도 본격적으로 시동을 건다. 지난해 네오위즈의 일본 자회사 '게임온'을 통해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한 이후, 티저를 공개하면서 출시가 임박했음을 알렸다.

8일 스마일게이트 RPG, 게임온 등에 따르면 로스트아크(현지 서비스 이름, ロストアーク)의 티저 사이트를 개설하고, 게임 정보를 일부 공개했다.

로스트아크는 스마일게이트 RPG가 개발, 국내는 2018년 11월 7일에 오픈베타 테스트를 시작해 최대 동시접속자 35만 명을 기록할 정도로 주목을 받았던 디아블로 스타일의 PC 온라인 MMORPG다.

스마일게이트 RPG는 MMORPG 전문 개발사로 PC 온라인 게임 퍼블리싱을 위한 스마일게이트 웨스트, 국내외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위한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와 함께 스마일게이트 그룹의 계열사다.

앞서 게임온은 5년 동안 서비스했던 검은사막의 빈자리를 로스트아크로 채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기존에 서비스 중인 PC 온라인 게임의 라인업이 견고하지만, 규모가 있는 차세대 MMORPG가 필요했던 것.

게임온에 따르면 서비스 시작일에 따라 ▲ 신 천상비(2003년 3월) ▲ 크로노스(203년 10월) ▲ 붉은 보석(2005년 2월) ▲ 아바(2008년 12월) ▲ 테라(2011년 8월) ▲ 아키에이지(2013년 7월) ▲ 로도스도 전기 온라인(2016년 2월) 등이 PC 온라인 게임 라인업이다.

검은사막도 2015년 5월에 서비스를 시작했을 정도로 게임온에 로스트아크는 2020년을 이끌어갈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4월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는 요스타와 '에픽세븐'의 일본 서비스를 체결, 3개월 뒤에 스마일게이트 RPG는 게임온과 '로스트아크'의 서비스 계약을 체결해 다른 플랫폼과 파트너로 일본 게임 시장 공략에 나설 전망이다.

문제는 일본의 상황이다. 지난 7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도쿄 등 7개 지역에 긴급사태를 선언, 현지 게임업계는 5월 6일까지 재택근무를 시행해 상반기 출시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스마일게이트 관계자는 "로스트아크의 일본 서비스 일정은 아직 정해진 게 없다"라고 말했다.

전장의 먼지가 되어...'탄 전장의 진화' 1000일 만에 산화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가 '탄 전장의 신화' 서비스를 2020년 1월 13일 종료한다. 2017년 4월 18일에 출시한 이후 약 2년 9개월(1,001일) 만에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

'탄 전장의 신화'는 클래식 모드의 팀데스매치와 팀매치, 특수전 등을 통해 남다른 몰입감과 슈팅의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으며, 챌린지 모드의 방호시설, 좀비웨이브 등을 앞세워던 모바일 FPS로 '탄 끝없는 전장'에서 이름을 바꿔 서비스했던 게임이다.

이미 신규 다운로드와 인앱 결제는 차단됐으며, 2020년 1월 13일부터 2월 13일 오후 11시 59분까지 환불 신청을 받는다.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 관계자는 "다양한 이벤트와 더 좋은 업데이트 소식으로 많은 영웅님들께서 즐겁게 플레이하실 수 있도록 노력했지만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고 말했다.

퍼즐이 너무 어려웠나...스노우큐브, 2년 못 채우고 떠난다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가 스노우큐브 서비스를 11월 18일 종료했다. 2018년 5월 4일에 출시한 이후 약 1년 7개월(564일) 만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스노우큐브는 씨터스랩이 개발, '네모로직'으로 잘 알려진 피크로스 형태의 모바일 퍼즐게임으로 각 칸 별로 제시된 숫자를 보고 빈칸의 숫자를 유추해 채워나가는 두뇌 플레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미 신규 다운로드와 인앱 결제는 차단됐으며, 12월 18일 오후 4시까지 환불 신청을 받는다.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 관계자는 "더 나은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하였으나, 더 이상 만족스러운 서비스 제공은 어렵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가 큐라레 마법 도서관의 서비스를 6월 28일에 종료한다. 이로써 2014년 3월 17일에 출시한 이후 약 4년 4개월(1,565일) 만에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


큐라레 마법 도서관은 카드 배틀 RPG 중 최초로 금서를 소환해 친구들과 실시간으로 PvE 플레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카드 배틀 RPG 특유의 탐색 시스템에 3D 캐릭터를 사용해 보는 즐거움을 극대화했으며, 카드 고유 스킬에 따른 사전 세팅과 사후 조작에 대한 재미를 강화했다.


오는 5월 31일을 기해 인앱 결제가 차단될 예정이며, 6월 29일부터 환불 접수를 받는다.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 관계자는 "지금까지 큐라레 마법도서관을 사랑해주신 사서 여러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라고 전했다.


리뷰10K(review10k@gmail.com)

+ Recent posts